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25개 논문이 있습니다.

1 국제사회보장동향 프랑스 적극적연대급여 RSA의 개혁 계획과 근거Reform of the Active Solidarity Income: Macron’s Plan and Its Rationale
김진리(프랑스 파리정치대학 시앙스포)
Jinri, Kim(Sciences Po)
2022년 겨울호, 통권 23호, pp.134-140 https://doi.org/10.23063/2022.12.12
2 국제사회보장동향 국제적 물가 상승에 따른 영국의 긴급 가계 지원 정책UK Government Cost of Living Support Package Following Rising Inflation
권소영(영국 바스 대학교)
Soyoung, Kweon(University of Bath)
2022년 가을호, 통권 22호, pp.159-165 https://doi.org/10.23063/2022.09.14
3 이슈분석 일본 홈리스 실태조사의 결과와 시사점The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e Survey on the Homeless People in Japan
임덕영(한국보건사회연구원)
Deokyoung, Lim(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22년 가을호, 통권 22호, pp.101-115 https://doi.org/10.23063/2022.09.9
초록보기
Abstract

초록

이 글은 2021년 11월에 실시되어 2022년 4월에 결과가 발표된 일본 홈리스 실태조사의 주요 결과를 소개한 것이다. 이를 통해 비슷한 시기에 이루어진 한국의 노숙인 실태조사와 비교 분석을 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일본의 홈리스는 거리에 기거하는 자만을 의미하며, 이들에 대한 실태조사는 5년마다 실시되고 있다. 주요 결과로는 노숙인의 고령화가 진행 중이며 만성화가 심화되고 있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또한 복지서비스 및 의료서비스는 접근성이 높지 않으며 그 효과도 제한적이었다. 실태조사의 체계적인 비교 분석은 한·일 간 정책 범위와 대상이 상이하고 실태조사의 조건이 다른 점 등을 유념한다면, 양국 간 공통된 과제를 확인하면서 문제 해결을 위한 실마리를 찾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4 국제사회보장동향 독일의 아동 긴급추가수당과 기초생활보장에 관한 논의German Discussions on the Emergency Supplemental Child Allowance and the Basic Child Security
정다은(독일 레겐스부르크대학교)
Da-Eun, Chong(Universität Regensburg)
2022년 여름호, 통권 21호, pp.132-137 https://doi.org/10.23063/2022.06.12
5 국제사회보장동향 코로나19 이후 주거 안정성을 위한 미국의 주거 관련 정책U.S. Policies for Housing Securiti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김령희(브랜다이스 대학교)
Lyoung Hee, Kim(Brandeis University)
2022년 여름호, 통권 21호, pp.115-119 https://doi.org/10.23063/2022.06.9
6 이슈분석 우즈베키스탄 사회보장의 오늘과 미래 과제Current Situation and Future Challenges in Uzbekistan’s Social Security
김현경(한국보건사회연구원) ; 곽윤경(한국보건사회연구원)
Hyeon-Kyeong, Kim(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YoonKyung, Kwak(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22년 봄호, 통권 20호, pp.84-95 https://doi.org/10.23063/2022.03.7
초록보기
Abstract

초록

우즈베키스탄의 사회보장제도는 사회보험과 공공부조, 노동시장정책, 의료서비스로 구성된다. 공공부조는 저 소득 가구 대상 양육수당, 아동수당이 대표적이며, 재정 부족으로 대상 포괄성이 낮다. 노령연금은 사회보장 전 체 지출의 80% 이상을 차지하지만, 사각지대가 넓고 보장 수준이 낮다. 고용보험 수급률은 1%로 매우 낮지만, 고용률 제고를 위해 적극적 노동시장정책이 대폭 확대되고 있다. 의료서비스는 원칙적으로 무상 제공이지만 국 가 재정 부담이 커서 서비스 질이 낮다. 따라서 적극적 노동시장정책 강화를 통한 청장년 고용 확대, 전국민건강 보험제도 시행 및 의료 인프라 현대화, 비공식 노동자(59%) 사회보장성 제고, 수급자 선정 및 관리를 위한 정보 시스템 체계화라는 과제에 직면하여, 우즈베키스탄 정부의 노력과 국제협력 확대가 요구된다.

7 국제사회보장동향 일본의 주거 지원 정책: 주택 세이프티넷 제도를 중심으로Housing Assistance Policy in Japan: Focused on the Housing Safety Net System
마쓰시타 마나(오사카공립대학교 도시과학방재연구센터)
Mana, Matsushita(Urban Resilience Research Center)
2022년 여름호, 통권 21호, pp.120-124 https://doi.org/10.23063/2022.06.10
초록보기
Abstract

초록

지속되는 코로나19 팬데믹은 독일 복지국가에 중대한 도전 과제를 제시한다. 첫 번째 과제로는 코로나19 치료로 인해 일을 할 수 없는 이들을 소득 손실로부터 보호하는 것이다. 임금계속지불법에 따른 임금 지급과 뒤따르는 상병수당은 이러한 상황에서 의지할 수 있는 사회보장을 제공한다. 코로나19로 인한 경기 침체로 실직하거나 단시간 근로로 위기를 모면하는 이들을 보상하는 과제도 있다. 격리자의 소득 손실 또한 보상되어야 한다. 지금껏 독일의 사회보장제도는 이러한 도전 과제들에 적절히 대응하였다. 많은 사회수당이 일시적으로 확대되었으며, 감염보호법으로 새로운 수당이 추가되었다. 그러나 자영업자, 특히 1인 자영업자에 대한 보호는 부족한 실정이다. 현재 부상하는 문제는 코로나 백신 접종을 받지 않은 사람을 특정 수당에서 제외시킴으로써 백신 접종을 촉구할 수 있는지에 대한 것이다.

초록보기
Abstract

초록

스웨덴은 2020년 코로나 감염병 확산 과정에서 느슨한 사회적 거리 두기 정책을 폈다. 그 결과 다른 북유럽 국가들보다 높은 수준의 확진 및 사망 건수를 기록하기도 했다. 그러나 다른 주요 유럽 국가들과 비교하면 스웨덴식 대응을 실패라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스웨덴식 방역 정책의 이면에는 상병수당과 관련한 한시 조치들도 눈에 띈다. 크게 네 가지였다. 첫째, 노동자의 유급병가 급여 수준을 20% 정도 늘렸다. 둘째, 유급병가 지출액과 관련해 기업들을 재정적으로 지원했다. 셋째, 가족이 확진된 노동자에게도 급여를 제공하면서 휴가를 유도했다. 넷째, 유급병가에 대한 의료적 인증 의무를 완화했다. 스웨덴은 느슨한 거리 두기를 통해 시민들의 일상을 최대한 보장하는 동시에 상병수당 지급 조건 완화를 통해 노동자의 쉴 권리 역시 적극적으로 보장했다.

Global Social
Security Re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