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8개 논문이 있습니다.

1 국제사회보장동향 미국 공적연금 개혁 논의의 쟁점The Issue of Public Pension Reform in the United States
김태근(아델파이대학교)
Tae Kuen, Kim(Adelphi University)
2022년 가을호, 통권 22호, pp.143-151 https://doi.org/10.23063/2022.09.12
2 기획 노동시장 변화에 따른 독일 연금제도 개혁The Recent Pension Scheme Reforms in Response to the Transforming Labor Market in Germany
게르하르트 베커(뒤스부르크에센대학교)
Gerhard, Bäcker(University of Duisburg-Esse)
2022년 여름호, 통권 21호, pp.31-42 https://doi.org/10.23063/2022.06.3
초록보기
Abstract

초록

독일 노인사회보장제도는 노동 시장의 역동성과 내부 구조에 따라 성과가 크게 달라진다. 한편으로 고용관계의 변화로 피고용인의 노후소득보장이 위태로워질 것인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법정연금보험(SPI)은 모든 피고용인에게 적용되지만 고용 불안과 단절로 인해 연금수령액이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흐름은 저임금 노동자들 사이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독일은 자영업자를 위한 의무 보험이 특히 부족한 편이다. 이는 노령 인구가 늘고 있는 현재 인구구조에서 노령층의 빈곤 위험을 높일 수 있는 독일의 고질적인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 노동시장 참여율이 높아지고 연금 가입자가 늘어날수록 인구구성 변화로 인한 SPI의 재정적 부담이 낮아진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3 기획 그리스 연금 개혁의 최근 동향과 함의Recent Trends and Implications on Pension Reforms in Greece
이다미(한국보건사회연구원)
Dah Mi, Lee(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22년 여름호, 통권 21호, pp.19-30 https://doi.org/10.23063/2022.06.2
초록보기
Abstract

초록

그리스는 ‘경제위기’라는 강한 외부 압력에 의해 상당히 강도 높은 개혁을 실시해 왔다. 그 결과, 국내총생산 (GDP) 대비 연금 지출 규모가 크게 감소되는 등 재정 불균형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되며, 남유럽 복지체계의 특성상 오랫동안 파편화(fragmented)되어 운영되었던 공적연금 관리·운영 체계의 단일화를 이루었다. 최근에는 그리스 총고용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자영자, 프리랜서 등 비임금근로자에 대하여 별도의 보험료 부과 체계 변화를 시도하였다. 그리스 사례는 연금 개혁이 적시에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개혁의 강도(intensity)는 더 높아질 수밖에 없음을 보여줌과 동시에 공적연금의 심각한 재정 불균형, 이중화된 노동시장 등 우리와 유사성이 크다는 점에서 향후 한국의 연금 개혁 논의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초록보기
Abstract

초록

변화하는 노동시장에 대한 대응은 일본 연금제도의 발전 과정에서 빼놓을 수 없는 과제였다. 1980년대에는 피용자(被用者) 증가와 자영자 감소라는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2000년대에는 고령자와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증가에 따른 연금권 강화를 목적으로, 2010년대에는 단시간 근로자의 후생연금 적용 확대와 피용자연금 일원화를 위해 개혁이 이루어졌다. 단시간 근로자를 피용자연금에 포괄하고 후생연금 적용 사업소를 확대하는 노력은 현재도 진행 중이다. 다만, 플랫폼 노동과 같은 새로운 근로 형태에 대한 공적연금의 대응은 다른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매우 더딘 상황이다.

5 기획 영국 노동시장 변화에 따른 공·사적연금의 대응The Influence of Labour Market Change on the Public/Private Pension Systems in the UK
문현경(국민연금연구원) ; 유현경(국민연금연구원)
Hyungyung, Moon(National Pension Research Institute) ; Hyun Kyung, Yu(National Pension Research Institute)
2022년 여름호, 통권 21호, pp.5-18 https://doi.org/10.23063/2022.06.1
초록보기
Abstract

초록

이 글은 영국 노동시장의 변화를 보여 주고 이에 따라 공·사적연금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영국의 시간제 고용률과 고용 대비 자영자 비율은 유럽연합(EU) 및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보다 높다. 특히 최근의 자영자 증가는 1인 자영자(Solo self-employment)의 증가가 견인하는 것으로 나타나, 최근 노동시장의 변화를 여실히 보여 주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흐름 속에서 영국 공적연금은 1층 기초연금의 연동 방식 변화를 개선하고 급여 수준을 인상하는 등 최근 노동시장 변화에 취약한 계층에게 혜택이 더 많이 돌아가도록 했다. 한편, 사적연금을 통하여 노후소득보장이 제대로 작동하도록 제도 관련 규제를 강화하여 공공성 제고를 꾀하고자 했다.

7 기획 카자흐스탄 연금제도의 현황과 과제Current Situation and Challenges of the Pension System in Kazakhstan
민기채(한국교통대학교 경영・통상・복지학부 부교수)
Min, Kichae(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2023년 여름호, 통권 25호, pp.34-44 https://doi.org/10.23063/2023.06.3
초록보기
Abstract

Kazakhstan's public pension system consists of several components, including the universal State Basic Pension, the compulsory Old-Age Solidarity Social Insurance, the mandatory Individual Account, and an Old-Age Social Pension of a social assistance type. Currently, Kazakhstan is in the process of transitioning to a post-socialist welfare system. In light of this transition, we suggest that the government shares the responsibility of financing the Old-Age Social Pension with people as pension participants. It is essential to clarify the role of each tier of the pension system to ensure adequate retirement income. Also, steps should be taken to prevent a blind proliferation of social security funds and ensure the unique role of each fund in the system. Lastly, efforts should be made to coordinate the social security system from a holistic perspective.

초록

카자흐스탄의 공적연금제도는 보편적 기초연금인 국가기초연금(State Basic Pension), 의무적 사회보험인 노인사회연대보험(Old–Age Solidarity Social Insurance), 법정민간연금인 강제적립식 의무개인계정(Mandatory Individual Account), 사회부조연금인 노인사회연금(Old-Age Social Pension)으로 구성되어 있다. 탈사회주의 복지체제로 이행하는 과정에 있는 카자흐스탄 연금제도의 과제로서, 사회보험제도인 노인사회연대보험의 부담 주체를 국가만이 아니라 가입자로 확대하고, 적정 노후소득 보장을 위한 연금제도의 각 층별 역할을 정립하며, 사회보장기금의 난립을 막고 각 제도별 기금의 고유한 역할을 보장하되, 사회보장제도의 전체적 관점에서 조정하는 것을 제안한다.

8 국제사회보장동향 프랑스 연금 개혁의 내용과 쟁점Macron’s French Pension Reform Plan and Its Issues
김진리(프랑스 파리정치대학 시앙스포 석사)
Kim, Jinri(Sciences Po)
2023년 여름호, 통권 25호, pp.123-128 https://doi.org/10.23063/2023.06.10

Global Social
Security Re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