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47개 논문이 있습니다.

31 국제사회보장동향 아동 행정 패널 시스템 구축 사례: 오하이오주 카이어호가 카운티The Establishment of a Childhood Integrated Longitudinal Data System: A case study of Cuyahoga Country, Ohio
전지수(미국 케이스 웨스턴 리저브 대학교)
Jeesoo, Jeon(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2019년 가을호, 통권 10호, pp.129-135 https://doi.org/10.23063/2019.09.11
32 국제사회보장동향 영국의 아동보호체계 및 개편 현황The UK Child Protection System and the Recent Reform
서영민(런던대학교) ; 김승영(킹스칼리지런던) 2019년 여름호, 통권 9호, pp.125-130 https://doi.org/10.23063/2019.06.10
초록보기
Abstract

초록

이 글에서는 프랑스의 보육료 지불 보상 체계인 ‘Prestation de Service Unique(PSU)’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보육 정책에 주는 시사점을 알아본다. PSU 체계에서는 보육료 지불과 보상이 부모가 이용한 보육 서비스 시간에 근거하여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보육에 대한 부모들의 욕구를 최대한 충족시키는 한편, 일정한 범위 내에서 보육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하여 보육 정책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달성하는 데 기여한다. 또한 보육료를 소득 수준과 부양 자녀 수에 따라 차등화하여 사회적 형평성을 이룩하고자 한다. 프랑스의 보육서비스 지불 보상 체계는 보육 서비스에 대한 부모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는 한편, 보육 서비스의 지속 가능성을 담보해야 하는 국내 보육 정책에 유용한 시사점을 준다.

34 국제사회보장동향 아동 발달 관점에서 본 중국의 아동 정책과 향후 과제Child Policy and Development on Child Development in China
유멍(난징대) ; 장희선(굿네이버스 아동권리연구소)
Meng, Yu
2019년 여름호, 통권 9호, pp.131-140 https://doi.org/10.23063/2019.06.11
초록보기
Abstract

초록

미국에서는 연간 약 2만 명의 아동이 대리보호 체계를 떠나 자립 생활을 시작한다. 주 정부는 대리보호가 종료된 아동에게 연방 재정과 주 재정을 바탕으로 주거와 학업을 중심으로 한 경제적 자립지원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글에서는 미국의 자립지원제도가 보호종료 아동의 자립지원에 대한 공공의 책임성, 사례 관리 일환으로서의 자립 계획, 장기적인 경제적 지원을 중심으로 한 국내 보호종료 아동의 자립지원 정책에 던지는 시사점을 제시한다.

36 국제사회보장동향 일본 정부의 유아교육 및 보육 무상화 정책Making Child Care and Child Education Free in Japan
김명중(닛세이기초연구소) 2018년 겨울호, 통권 7호, pp.141-151 https://doi.org/10.23063/2018.12.15
초록보기
Abstract

초록

일본에서는 2019년 10월 소비세율을 8%에서 10%로 인상함과 동시에 유아교육 및 보육에 대한 무상화 정책을 실시한다. 이 글에서는 일본의 유아교육 및 보육 무상화 정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먼저 일본의 아동보육 및 교육체제와 2015년부터 실시한 '아동, 육아 지원 신제도'를 설명한다. 이어 무상화 정책의 내용 및 향후 과제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초록보기
Abstract

초록

본고는 폴란드 가족정책의 혁명이라 할 수 있는 'Family 500+' 아동수당의 주요 내용과, 시행 3년차에 들어선 시점에서의 성과를 소개하고 우리나라 아동수당제도에 대한 시사점을 찾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폴란드 정부는 아동 양육 가구의 빈곤 문제 해결과 출생아 수 증가를 정책 목표로 명시하였다. 이에 따라 2016년 4월부터 둘째아 이상 만 18세 미만의 모든 아동을 대상으로 가구의 경제적 수준과 상관없이 500즈워티(PLN)를 지급하고 있다. 이는 기존에 저소득 가구에 한정되었던 가족수당 월 지급액의 5배에 해당한다.

38 국제사회보장동향 영국의 시설퇴소아동 지원Supporting Care Leavers in the UK
서영민(런던대학교) 2018년 가을호, 통권 6호, pp.125-130 https://doi.org/10.23063/2018.09.13
초록보기
Abstract

초록

최근 한국에서는 시설퇴소아동 지원 방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시설퇴소아동 지원은 커뮤니티 케어 정책의 5대 핵심 중 하나인 '돌봄 수요자의 지역사회 정착 지원'의 일환이다.

초록보기
Abstract

초록

영국 아동건강가정방문서비스는 전문공공보건간호사나 조산사가 가정을 방문하여 아동의 건강을 돌보는 서비스를 일컫는다. 현재는 보건부에서 시행하는 건강아동프로그램에 흡수되어 0세에서 5세까지의 아동을 둔 모든 가정에 제공되고 있다. 아동건강가정방문사는 가정 방문 시 아동의 건강과 안전을 주기적으로 살피고, 부모의 양육 기술, 가정환경, 아동의 발달 상황 등을 파악하여 필요시 관련 기관과 연계해 지원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40 국제사회보장동향 일본의 아동학대 증가와 아동보호 강화Policy Responses to Child Abuse in Japan
유야마 아쓰시(서울대학교)
Atsushi, Yuyama(Seoul National University)
2017년 가을호, 통권 2호, pp.101-105 https://doi.org/10.23063/2017.09.11
초록보기
Abstract

초록

최근 일본에서는 아동학대 신고가 급격히 증가했다. 신고자의 오해나 착각에 의한 신고를 포함한 총신고 수는 명확하지 않지만 2015년에 아동상담소(일본 내 208개)가 ‘지도’나 ‘조치’를 취한 아동학대 신고건수는 10만 3,260건으로 10년 전(2005년 3만 4,472건)의 3배에 달했다. 지도나 조치가 취해진 아동학대 신고는 지난해에도 크게 증가해 12만 2,578건을 기록했다. 일본이 통계자료를 수집하기 시작한 1990년 이후 26년 연속으로 최고 기록을 갱신 중이다. 후생노동성은 아동학대 신고가 최근에 급격히 증가한 이유로 세 가지를 꼽았다.

Global Social
Security Re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