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47개 논문이 있습니다.

11 기획 스웨덴의 영 케어러 연구 현황과 시사점A Review on Young Carers Studies in Sweden and Its Implications
하수정(북유럽연구소)
Soojeong, Ha(Nordic Research Institute)
2022년 겨울호, 통권 23호, pp.35-49 https://doi.org/10.23063/2022.12.4
초록보기
Abstract

In Sweden, research on young caregivers began in earnest in 2010, led by the government. This article examines how family care activities during adolescence affect the carer, assuming that mental health in adolescence and youth is a key factor in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in adulthood. Policy implications can be found in profiles of Swedish families where young caregivers are likely to live and research aimed at creating conditions that lessen the adverse impacts of caregiving based on how children and young people themselves view it. Some Swedish studies conducted that look at the social and cultural aspects of immigrant families, whose population share has been growing in recent years, also have policy implications for Korea.;

초록

스웨덴의 영 케어러 연구는 2010년부터 정부 주도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청년층의 정신건강은 경제 성장과 사회 발달의 중요한 동력임을 인식하고 청(소)년기 가족 돌봄 활동이 해당 주체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는 것이 연구의 주된 내용이다. 영 케어러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 가정환경에 대한 프로파일링과, 돌봄 주체인 아동·청소년 스스로는 돌봄 활동을 어떻게 인식하는지 파악해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조건을 찾아내는 연구 등은 한국 사회에도 시사점을 준다. 최근 이민인구 비율이 늘어남에 따라 사회문화적 특성을 반영한 연구도 눈에 띈다.;

12 이슈분석 영국의 보육 비용은 왜 비싼가?Why are childcare costs so expensive in the UK?
이성희(영국 더비대학교)
Sung-Hee, Lee(University of Derby)
2022년 겨울호, 통권 23호, pp.53-62 https://doi.org/10.23063/2022.12.5
초록보기
Abstract

In light of the latest developments in the UK government's childcare policy, this article attributes the high cost of child care services for parents in the UK to three structural issues: (a) the UK’s method of financing child care services is complex; (b) there is no policy-level support for care services for infants and toddlers (ages 0-2); and (c) the UK’s child care is heavily market-based, guided by neoliberal principles, with minimal state intervention. This article concludes with a brief discussion of the implications of the UK case for Korea, where all eligible families have had free child care since 2013.;

초록

본 글은 최근 영국 정부의 보육 정책 동향을 바탕으로 영국 부모들이 보육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있어서 비용이 비쌀 수 밖에 없는 이유를 다음의 세 가지 구조적 문제에서 그 해답을 찾고 있다. 첫째, 복잡하고 난해한 재원 조달 모델, 둘째, 영유아 보육 (0-2세)에 대한 정책 지원 부재, 셋째, 신자유주의 정책에 의존하고 있는 보육의 시장화와 그로 인한 국가 개입이 최소화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더불어 이 글의 마지막에서는 2013년 이후로 무상 보육을 실시하고 있는 한국의 보육 정책에 시사하는 바 역시 간략히 도출하고 있다.;

13 국제사회보장동향 프랑스 방과후돌봄 서비스 운영 체계 및 최근 정책 동향Recent Trends in After-school Care Service in France
하정임(프랑스 파리사회과학고등연구원)
Jungim, Ha(EHESS)
2022년 가을호, 통권 22호, pp.152-158 https://doi.org/10.23063/2022.09.13
14 기획 싱가포르의 아동 권리와 아동친화적 스마트도시Singapore’s Child Right and Child-Friendly Smart City
이정읍(싱가포르국립대학교)
Jungup, Lee(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2022년 가을호, 통권 22호, pp.35-46 https://doi.org/10.23063/2022.09.4
초록보기
Abstract

초록

1996년 제2차 유엔인간정주계획 회의에서 처음 논의된 '아동친화도시'는 유엔아동권리협약의 4대 기본 원칙 (비차별, 아동 이익 최우선, 생존과 발달의 권리, 아동 의견 존중)을 바탕으로 아동이 살기 좋은 도시를 만들고자 시작된 프로그램으로, 유럽을 중심으로 시작되어 현재 전 세계 여러 나라로 확산되고 있다. 아동친화도시 조성 사업과 정책은 법, 행정, 사회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아동의 권리와 존엄성 향상을 위해 마련된 프로그램으로 아동의 웰빙과 행복, 지속 가능한 성장을 궁극적인 목표로 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싱가포르 아동권리협약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그리고 스마트 국가(Smart Nation)를 추구하는 싱가포르 정부가 실시하는 ‘아동친화적 스마트도시’ 정책 사례로는 어떤 것이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이를 통한 주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15 국제사회보장동향 독일 아동옴부즈퍼슨 제도의 동향Trends in the German Children’s Ombudsperson System
홍문기(완주군청)
Moonki, Hong(County of Wanju)
2022년 가을호, 통권 22호, pp.166-171 https://doi.org/10.23063/2022.09.15
16 국제사회보장동향 독일의 아동 긴급추가수당과 기초생활보장에 관한 논의German Discussions on the Emergency Supplemental Child Allowance and the Basic Child Security
정다은(독일 레겐스부르크대학교)
Da-Eun, Chong(Universität Regensburg)
2022년 여름호, 통권 21호, pp.132-137 https://doi.org/10.23063/2022.06.12
17 국제사회보장동향 일본의 아동빈곤 현황 및 정책 동향Current Status and Policy Trends of Child Poverty in Japan
배준섭(고베대학교대학원)
Junsub, Bae(Kobe University)
2021년 겨울호, 통권 19호, pp.124-129 https://doi.org/10.23063/2021.12.12
18 국제사회보장동향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시대 영국의 아동양육 지원 정책의 현황과 문제점Supporting Children in the UK during the Era of COVID-19: Policy Development and Limitation
유선우(영국 옥스퍼드대학교) ; 최미향(한국사회복지협의회)
Sunwoo, Ryu(University of Oxford) ; Mihyang, Choi(Korea National Council on Social Welfare)
2021년 여름호, 통권 17호, pp.87-94 https://doi.org/10.23063/2021.06.8
19 국제사회보장동향 미국 아동복지 분야에서의 기계학습 활용과 공정성 이슈Machine Learning in Child Welfare: Application and Algorithmic Fairness
안은혜(서던캘리포니아대학교)
Eunhye, Ahn(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2021년 가을호, 통권 18호, pp.133-138 https://doi.org/10.23063/2021.09.12
초록보기
Abstract

초록

코로나19로 수많은 확진자와 사망자가 전 세계에서 발생하고, 이로 인해 사회적 위기와 불안이 고조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이러한 위기와 문제는 저소득층 아동·청소년들에게 보다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열악한 주거환경과 온라인 학습 기기 부재는 재택원격수업 참여를 어렵게 한다. 사회적 거리 두기로 학교급식을 이용하지 못하여 결식아동은 증가한다. 또한 아동학대나 방임 사례가 증가하고 돌봄 사각지대가 커지면서 이들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도 여러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코로나19 시대 저소득층 아동·청소년을 위한 사회서비스 지원이 무엇보다도 시급한 현실이다. 이 글에서는 코로나19 발생 이후 저소득층 아동·청소년을 위하여 싱가포르 정부가 어떠한 사회정책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지 학습 지원, 경제 지원, 학대 예방, 돌봄 지원, 심리정서 지원 서비스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싱가포르 사례를 통하여 사전예방 서비스의 중요성, 기관 간의 상호 유기적이고 신속한 협력 관계 유지,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사회서비스 지원이라는 세 가지 주요 시사점을 도출한다.

Global Social
Security Re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