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가포르의 아동 권리와 아동친화적 스마트도시

Singapore’s Child Right and Child-Friendly Smart City

초록

1996년 제2차 유엔인간정주계획 회의에서 처음 논의된 ‘아동친화도시’는 유엔아동권리협약의 4대 기본 원칙(비차별, 아동 이익 최우선, 생존과 발달의 권리, 아동 의견 존중)을 바탕으로 아동이 살기 좋은 도시를 만들고자 시작된 프로그램으로, 유럽을 중심으로 시작되어 현재 전 세계 여러 나라로 확산되고 있다. 아동친화도시 조성 사업과 정책은 법, 행정, 사회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아동의 권리와 존엄성 향상을 위해 마련된 프로그램으로 아동의 웰빙과 행복, 지속 가능한 성장을 궁극적인 목표로 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싱가포르 아동권리협약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그리고 스마트 국가(Smart Nation)를 추구하는 싱가포르 정부가 실시하는 ‘아동친화적 스마트도시’ 정책 사례로는 어떤 것이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이를 통한 주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1. 들어가며

유엔인간정주계획(UN Human Settlements Programme, UN-Habitat)이 발간한 『2020 세계 도시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전 세계 인구의 절반 이상(56.2%)은 도시에 거주하고 있으며, 2030년까지 전 세계 인구는 60.4%로 증가하고 2050년에는 전체 인구의 3분의 2(66%)가 도시에 살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United Nations Human Settlements Programme, 2020). 특히 개발도상국의 도시 인구는 급격하게 증가하여 지금의 2배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 현대사회의 가장 큰 변화 중 하나인 도시화(urbanization)로 인하여 아동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정부와 지역사회의 역할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1989년 유엔총회에서 아동권리협약(CRC: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이 채택되면서 네 가지 기본 원칙으로 제시된 ‘비차별, 아동 이익 최우선, 생존과 발달의 권리, 아동 의견 존중’을 보장하고 향상하기 위한 국제적 관심이 높아졌다. 특히 아동친화도시 조성 사업과 이를 위한 정책은 법, 행정, 사회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아동의 권리 및 존엄성 향상을 위해 노력하는 과정들을 체계화한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무엇보다 의미가 크며, 아동의 웰빙과 행복,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하여 세계적인 운동으로 확산되고 있다.

사회주의 시장경제 체제를 표방하는 싱가포르는 아동의 권리에 대한 인식이 비교적 늦게 자리 잡은 편이다. 가족의 주요 구성원으로서의 아동을 보호하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부분에는 정부와 지역사회가 적극적으로 공감하였으나, 아동을 권리의 주체로 인식하고 아동 주권을 존중해야 한다는 인식은 다른 선진국에 비해 늦게 개선되었다. 싱가포르는 1995년 유엔아동권리협약(UNCRC)에 가입하면서 아동에 대한 인식이 향상되었고 이들의 기본 권리 증진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시도하였다. 특히 2014년에 싱가포르 정부는 스마트 국가 계획(Smart Nation Initiatives)을 공표하며 디지털 경제, 디지털 정부, 디지털 사회 세 분야의 장기 국가 계획을 수립하였다(Singapore Computer Society, 2014). 이러한 장기 계획의 일환으로 아동친화적 지역사회를 조성하기 위해 정부가 어떠한 노력을 하고 있는지 알아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싱가포르의 아동 권리 현황과 싱가포르형 아동친화적 스마트도시 사례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한국의 아동친화도시 조성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2. 싱가포르 아동권리협약

가. 유엔 아동권리협약(United Nation, n.d.-b)

1989년 11월 20일 유엔총회에서 채택된 아동권리협약은 아동의 권리와 웰빙을 위한 포괄적인 조약으로, 아동의 헬스케어, 교육, 법적・사회적 서비스 등을 위한 국제적 규범의 틀을 제공한다. 유엔아동권리협약은 4대 기본 원칙(비차별, 아동 이익 최우선, 생존과 발달의 권리, 아동 의견 존중)하에 아동을 권리 주체로 인식하고, 생존, 보호, 발달, 참여 등 아동의 주요 권리를 규정한 국제인권협약이다. 아동권리협약(CRC)에 포함된 아동의 4대 원칙을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 비차별 원칙(제2조): 모든 아동은 동일한 권리를 누려야 한다.

  • • 아동 이익 최우선의 원칙(제3조): 아동에게 영향을 미치는 모든 사항은 아동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생각해서 결정해야 한다.

  • • 생존과 발달의 권리 원칙(제6조): 안전한 환경에서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아동 보호와 지원이 있어야 한다.

  • • 아동 의견의 존중 원칙(제12조): 아동은 자신의 의견을 말할 수 있고 마땅히 존중받아야 한다.

이 기본 권리는 아동이 살아가는 환경 속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현상과 문제를 아동의 관점에서 살펴보고, 그들이 가진 권리를 동등하게 누리고 있는지, 그리고 아동의 의견과 이익이 존중되고 있는지를 파악하여 관련 정책 현안을 계획, 실행하는 데 중요한 논거를 마련해 줄 것이다. 이러한 유엔아동권리협약은 현재 미국을 제외하고 총 196개국이 가입한 가장 많은 협약 비준 국가를 둔 인권협약으로, 싱가포르는 1995년 10월에 비준하였다. 한국과 마찬가지로, 아동권리협약(CRC)이나 유엔 아동권리위원회의 권고 사항이 법적 구속력을 갖지는 않는다. 하지만 협약 비준 국가에서의 권고적・선언적 효력이 인정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적극적인 수용을 요구할 수 있다.

나. 싱가포르 아동권리협약(MSF, 2020)

싱가포르는 1995년 유엔아동권리협약에 가입한 이후, 총 5번의 심의를 받았다. 제1차 정기 보고서는 2002년 11월에 유엔 아동권리위원회에 제출되었다. 이 보고서에는 싱가포르가 채택한 사법적, 입법적, 행정적 평가 및 다른 평가가 수록되었다. 특히 1차 보고서는 교육, 건강, 주거 영역에서의 아동 권리 향상을 위한 싱가포르의 정책이 담긴 것으로, 2003년 9월 26일 제34차 아동권리위원회 세션에서 보고되었다. 제2~3차 정기 보고서는 2009년 1월에 아동권리위원회에 제출되었다. 2003~2007년의 아동복지와 보호, 아동 권리 향상을 위한 법적 강화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2011년 제56차 아동권리위원회 세션에서 싱가포르 정부는 아동 권리 향상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포함한 제2~3차 정기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2009년에서 2016년 사이 싱가포르의 아동 권리 향상에 대한 제4~5차 정기 보고서는 2017년 11월 3일 아동권리위원회에 제출되었다. 보고서는 유엔아동권리협약의 원칙에 따라 싱가포르 아동의 웰빙을 보호하고 증진하기 위한 다양한 참여를 확인하고 있다. 또한 싱가포르 정부가 아동 보호, 돌봄 그리고 전반적인 아동발달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함에 따라 아동 권리가 점진적으로 향상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싱가포르 정부는 민관대표단을 구성하여 2019년 16~17일 제81차 아동권리위원회 세션에서 제4~5차 정기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싱가포르 정부의 다양한 노력을 위원회가 지지하였지만, 그중에서도 아동 권리 보호를 위하여 「아동・청소년에 관한 법률(Children and Young Persons Act)」(Singapore Statutes Online, 2022)의 아동 연령을 16세에서 18세로 상향한 법률 개정은 크게 환영받았다. 사회가족개발부(MSF: Ministry of Social and Family Development)는 다양한 아동 관련 민관기관들과 지역사회 이해관계자들과의 협업을 통해 적극적 아동 보호 시민의식을 고취하고, 아동복지를 위한 다양한 노력을 계속할 것이다. 특히 가족서비스기관(Family Service Centres), 아동 보호 전문 기관(Child Protection Specialist Centres), 가족폭력 전문 기관(Family Violent Specialist Centres)과 같은 비정부기구(NGO)는 중요한 사회서비스 제공자로서, 이러한 기관들이 아동을 위해 헌신할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적으로 협력하고 있다. 차기 보고서는 2024년에 아동권리위원회에 제출될 예정이다(MSF, 2020).

3. 싱가포르 아동친화 지역사회

가. 아동친화도시(UNICEF, 2022)의 정의와 목표

유니세프(UNICEF) 아동친화도시(CFCI: Child Friendly Cities Initiative)는 1996년 제2차 유엔인간정주계획 회의의 결의로 시작되었다(CFCI, 2022). 아동친화도시는 유니세프가 각국의 지방정부와 협력하여 아동이 살기 좋은 도시를 만들고자 시작한 도시 및 지방정부의 시스템 구축 프로그램이다. 유럽을 중심으로 시작된 유니세프 아동친화도시 사업은 현재 동아시아, 남미, 아프리카 등 전 세계로 확산되고 있다.

아동친화도시 사업은 아동을 위한 지속 가능한 변화와 노력으로 아동 권리를 실현하고 증진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다섯 가지 주요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 ∙첫째, 모든 아동・청소년은 지역사회와 공동체 안에서 그들의 권리를 존중받고 동등한 시민으로 대우받아야 한다.

  • ∙둘째, 모든 아동・청소년은 그들에게 영향을 주는 법률, 정책, 예산, 프로그램에 대한 의견을 반영할 수 있고, 그 의견을 존중받아야 한다.

  • ∙셋째, 모든 아동・청소년은 양질의 주요한 사회서비스를 누릴 권리가 있다.

  • ∙넷째, 모든 아동・청소년은 안전하고 청정한 환경에서 살 권리가 있다.

  • ∙다섯째, 모든 아동・청소년은 가족생활에 참여하고 여가를 누릴 권리를 가진다.

이러한 주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자료 수집과 모니터링, 아동 권리 지지와 인식, 아동친화적 법률과 정책, 전 시민 관점의 전략적 계획, 아동예산 할당, 아동・청소년의 참여, 전략적 협업과 파트너십 등의 전략을 제시하였다. 아동친화도시 및 지역사회 선정은 지역이 처한 정치적 환경, 행정 구조, 인구와 가능한 자원 등을 고려하여 이루어진다. 총 네 단계를 거쳐 아동친화도시 사업이 이루어진다. 먼저 아동의 상황을 조사한 후, 행동계획 전략을 수립하고, 아동이 참여하는 다양한 계획을 실행한 다음, 마지막으로 결과를 평가하고 필요하다면 계획을 수정하는 모니터링을 거치게 된다. 아동친화도시 인증 후에도 정기적인 영향평가를 통해 지역사회의 성과를 검증하고 아동 권리 증진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가능하도록 한다.

나. 싱가포르의 아동친화적 스마트도시 사례

1) 아동친화적 주거공간: HDB 아파트 1층 공용공간

싱가포르는 80% 이상의 국민이 정부의 주택개발공사(HDB: Housing & Development Board)에서 시행하는 공공주택에 거주한다. 그래서 거주자들은 공용공간과 시설의 이용을 함께 계획하고 이용할 수 있다. 한국의 아파트와는 달리 싱가포르 HDB 아파트(flats)는 주거공간을 2층부터 설계하고, 1층을 실외공간으로 남겨두어 주민들이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보이드덱(void deck)이라고 불리는 1층 공간은 모든 거주자가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파트 거주자들은 생일 파티, 결혼식, 장례식 등의 목적으로 이 공간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아이들이 이 공간에서 글쓰기도 하고 동네 친구들과 함께 놀이도 할 수 있어 본인이 속해 있는 주거공간에 대한 소속감과 지역 공동체 의식을 일찍부터 학습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National Heritage Board, 2013).

새창으로 보기
그림 1.
아동친화적 주거공간 사례: 싱가포르의 HDB 아파트 1층 공용공간 활용
gssr-22-35-f001.tif

자료:(좌) Krysiak, N. (2021). Lessons from Singapore: Designing children friendly neighbourhoods. Cities for Play. Retrieved from https://www.citiesforplay.com/lessonsfromsingapore 2022. 7. 2.

(우) National Heritage Board. (2013). Community heritage series III: Void Decks. Retrieved from https://www.nhb.gov.sg/~/media/nhb/files/resources/publications/ebooks/nhb_ebook_void_decks.pdf 2022. 7. 15.

2) 아동친화적 공공도서관

싱가포르는 협소한 지리적 여건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많은 공공도서관을 운영 중이다. 특히 가장 번화가에 위치한 최고시설의 쇼핑몰에는 누구나 편안하게 방문하여 책을 읽을 수 있는 공공도서관들이 마련되어 있다. 오처드길 쇼핑 지대 중심부의 백화점 3~4층에 위치한 오처드도서관(Library@Orchard)은 종합복합문화공간으로 싱가포르 국민뿐만 아니라 많은 관광객이 편안하게 방문하여 책을 접할 수 있는 문화공간이다. 한국에서도 2015년 경기 성남시 판교에 현대어린이책미술관, 2017년 서울 강남구 삼성동 스타필드코엑스몰에 별마당도서관이 개관하여 도심 쇼핑센터 내 중요한 문화공간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는 매우 이례적인 경우이지만, 싱가포르는 쇼핑센터 내 도서관이 활성화되어 있다. 싱가포르 도서관청(NLB: National Library Board)은 도서관이 국민에게 더 가깝게 다가가고 평생교육의 취지를 강화할 수 있도록 유명 쇼핑센터 내에 13개의 도서관을 개관하였다(Balamurugan & Won, 2016). 쇼핑을 하러 방문한 시민들이 쉽게 도서관에 들러 책을 읽거나 대여할 수 있고 도서관 내에 마련된 휴식공간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해서 시민들이 어디서든 책을 가까이 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아동이 자연스럽게 책을 접하고 부모와 함께 책 읽는 습관을 가질 수 있도록 아동을 위한 섹션을 독립적으로 마련함으로써 아이들이 독서에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일례로 센트럴 공공도서관 내에 마련된 나의 나무집(My Tree House)은 세계에서 최초로 설립된 아동친화적 그린 도서관이다. 싱가포르 도서관청(NLB)과 도시개발회사가 합작하여 11개 분야 공동 협력자들의 조언을 토대로, 아동을 위한 자연친화적 녹색 혁신 도서관을 설립하였다. 나의 나무집 도서관은 디자인, 기반시설, 유지 및 실행 등 도서관 설립과 운영 전반이 자연친화적 원칙에 따라 이루어진다. 아이들의 환경에 대한 이해력을 높이기 위해 도서관 내 다양한 시설이나 가구들은 재활용품을 이용해 설치하였고, 친환경 조명, 목재, 페인트 등을 이용하여 아이들이 쾌적한 환경에서 책을 읽고 독서 놀이 및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조성하였다.

새창으로 보기
표 1.
싱가포르 쇼핑센터 내 공공도서관
공공도서관 쇼핑센터
1 Choa Chu Kang Public Library 롯원몰(Lot One Mall) 4~5층
2 Cheng San Public Library 호강몰(Hougang Mall) 3층
3 Bukit Panjang Public Library 부킷판장플라자(Bukit Panjang Plaza) 4층
4 Bukit Batok Community Library 웨스트몰(West Mall) 3층
5 library@orchard 오처드게이트웨이(Orchardgateway) 3~4층
6 Sembawang Community Library 선플라자(Sun Plaza) 5층
7 Pasir Ris Community Library 화이트샌드(White Sands) 4층
8 library@esplanade 에스플러네이드(Esplanade) 3층
9 Sengkang Community Library 컴퍼스원(Compass One) 3층
10 Yishun Community Library 노스포인트 시티(Northpoint City) 4층
11 Serangoon Community Library 넥스(NEX) 4층
12 Clementi Community Library 클레멘티몰(The Clementi Mall) 5층
13 library@chinatown 차이나타운 포인트(Chinatown Point) 4층

자료: National Library Board. (n.d.). Visit us. Retrieved from http://www.nlb.gov.sg/VisitUs.aspx 2022. 7. 5.

새창으로 보기
그림 2.
그린 도서관: 나의 나무집
gssr-22-35-f002.tif

자료:(좌) 도서관 입구. Library Association of Singapore (2016). An oasis for children – my tree house: World’s first green library for kids – Part I: Space. Retrieved from https://www.las.org.sg/wp/blog/bulletin/from-libraries/an-oasis-for-children-my-tree-house-worlds-first-green-library-for-kids-part-i-space/ 2022. 7. 28.

(우) 도서관 내부. City Developments Limited. (n.d.). My tree house – World’s 1st green library for kids opens today. Retrieved from https://cdl.com.sg/newsroom/my-tree-house-worlds-1st-green-library-for-kids-opens-today 2022. 7. 28.

3) 차 없는 거리 및 아파트 내 공간

도시에 살고 있는 아동들은 항상 복잡한 도로와 차량 등으로 인해 맘놓고 뛰놀 수 있는 공간에 제약을 받게 된다. 싱가포르는 대표적인 도시국가로 인구밀도가 높고 시민 대부분이 고층 공공아파트형 주택에 거주하기 때문에 아동의 안전과 웰빙이 국가 주요 정책 의제 중 하나이다. 최근에 건설되는 HDB 아파트들은 대부분 주차공간을 지하에 마련하고, 아파트 실외공간을 공용 정원이나 공원으로 조성하여, 아파트단지 내에서 차량의 방해를 받지 않고 어디든지 자유롭게 다닐 수 있고 안전하게 뛰어놀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특히 아이들이 안전한 공간 안에서 자유롭게 자전거나 스쿠터를 타는 등 다양한 운동과 놀이를 할 수 있도록 단지 내부를 디자인하였다.

또한 복잡한 도시 거리를 시민들에게 안전하게 개방하고자 차 없는 거리를 선정하여 시민들이 함께 다양한 놀이문화를 즐기고 문화공연에 참여할 수 있게 장소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아동들이 부모와 함께 거리에서 안전하게 뛰어놀 수 있도록 차 없는 거리 시행을 점차 늘려 갈 방침이다.

새창으로 보기
그림 3.
아동친화적인 안전한 아파트 실외공간
gssr-22-35-f003.tif

자료:The Straits Times. (2013. 9. 5.). Punggol Breeze BTO project wins Fiabci Singapore Property Award. Retrieved from https://www.straitstimes.com/singapore/punggol-breeze-bto-project-wins-fiabci-singapore-property-award 2022. 7. 5.

새창으로 보기
그림 4.
차 없는 거리
gssr-22-35-f004.tif

자료:Krysiak, N. (2021). Lessons from Singapore: Designing children friendly neighbourhoods. Cities for Play. Retrieved from https://www.citiesforplay.com/lessonsfromsingapore 2022. 7. 2.

4) 아동친화적 버스정류장

아동친화적 스마트도시 계획의 일환으로 싱가포르 정부는 2016년 8월 주롱레이크지구(Jurong Lake District)에 있는 버스정류장에 대해 친환경, 테크놀로지 그리고 놀이가 통합된 1년 단기 파일럿 프로그램 ‘프로젝트 버스정류장(Project Bus Stop)’을 시행하였다(Urban Redevelopment Authority, 2016). 이 프로그램의 목적은 학생들이 매일 이용하는 공공장소인 버스정류장에서 다양한 즐거움과 재미있는 경험을 만들 수 있는 새로운 아이디어와 가치를 시험해 보기 위함이다. 버스정류장에는 무료 와이파이, 대화형 스마트보드, 전자책(e-books), 친환경 지붕, 자전거 주차공간을 설치하여 아동들이 버스를 기다리는 동안 대화형 학습 장소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 다른 버스정류장 시험 사례로, 2018년 플라자 싱가푸라 앞 버스정류장의 온도를 섭씨 24도로 유지하여 시원하고 깨끗한 공기를 제공하고자 시범 운영을 한 사례가 있다. 특히 아동의 호흡기 증상은 대기오염과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높기 때문에 이는 아동의 웰빙을 위해 매우 중요한 프로젝트였다. 싱가포르 엔지니어링 오픈랩이자 신생 기업인 이노스파크(Innosparks)에 의해 개발된 시범 프로젝트로 대기오염 문제의 해결을 돕고자 실시되었다(The Strait Times, 2018. 3. 12). 버스정류장에는 대기 온도와 오염도를 알려주는 터치스크린을 설치하여 이용자에게 실시간 정보를 제공하였으며, 버스정류장을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일반적인 공기보다 훨씬 깨끗한 공기를 제공하였다.

새창으로 보기
그림 5.
아동친화적 버스정류장
gssr-22-35-f005.tif

자료:Zvobgo, J. (2018). Creating child-friendly smart cities with urban redevelopment. Child in the City. Retrieved from https://www.childinthecity.org/2018/03/22/creating-child-friendly-smart-cities-with-urban-redevelopment/ 2022. 7. 6.

새창으로 보기
그림 6.
싱가포르 세대 통합형 공존공간 활용
gssr-22-35-f006.tif

자료:Housing and Development Board. (2022). Heartland play. Retrieved from https://www.hdb.gov.sg/about-us/news-and-publications/publications/dwellings/heartland-play 2022. 7. 28.

5) 세대 통합형 지역사회 연결 통로

싱가포르 지역사회 거주 환경의 주요 특색 중 하나는, 단순히 아동을 위한 놀이시설과 노인을 위한 쉼터 등이 각각 나누어져 있지 않고, 3세대가 모두 이용할 수 있도록 같은 공간 또는 가까운 거리에 시설이 마련되어 있는 통합형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통합형 환경은 여러 세대가 한자리에서 각자의 운동이나 취미생활을 즐길 수 있게 한다. 즉, 노인 세대가 운동할 수 있는 기구와 부모 세대가 즐길 수 있는 게임존, 그리고 자녀 세대가 이용할 수 있는 놀이터가 한곳에 마련되어 있어 각 세대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잘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는 문화를 배울 수 있게 한다. 싱가포르 정부는 아동이 세대 간 이해와 소통을 어릴 때부터 배워서 사회통합을 이끌어 가는 주체로 성장할 수 있도록 다양한 세대 통합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다.

4. 나가며

이 글에서는 싱가포르 정부의 아동 권리 현황과 다양한 아동친화적 스마트도시 사례를 살펴보았다. 주민이라면 누구나 아파트 1층 공용공간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고, 아이들은 공용공간에서 친구들과 함께 학습하고 안전하게 뛰어놀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쇼핑센터 내에 공공도서관을 설립하여 백화점에 쇼핑을 하러 와서도 아동들이 도서관을 방문하여 맘껏 책을 읽고 편리하게 책을 대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친환경 소재와 재활용품을 활용하여 아동 전용 그린 도서관을 개관하여, 책을 읽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만이 아니라 아동의 환경에 대한 인식을 고취하는 데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 외에 아동의 안전권을 위하여 차 없는 거리를 조성하고 주차장을 지하로 설계하는 등의 방안이 새롭게 실시되고, 지역의 세대 통합형 공원 조성으로 모든 가족이 같은 장소에서 자신의 취미나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생활 속에서 아동친화적인 도시를 구성하기 위하여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를 통해 한국의 아동친화적 도시 및 지역사회 조성을 위한 몇 가지 중요한 시사점을 나누고자 한다.

첫째, 아동친화도시 조성은 정부의 노력만으로는 활성화되기 어렵다. 성공적인 아동친화도시 조성을 위해서는 지역사회의 모든 시민, 사회서비스기관, 회사, 정부 단체들의 유기적인 상호 협력이 필요하다.

둘째, 아동친화도시 조성 과정에 아동의 적극적인 참여가 전제되어야 한다. 아동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아동의 능동적인 참여를 권장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지속 가능한 아동 권리 증진과 성장을 위해서는 일회성 또는 단기적인 계획에서 끝나지 않고 중장기적인 목표와 비전을 수립하고 이를 위한 체계적인 시스템을 개발, 실행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싱가포르의 아동권리지수가 한국보다 높다고 볼 수는 없다. 그러나 다른 나라의 사례를 통해 한국의 아동 권리와 아동친화도시 조성의 현 상황을 객관적으로 돌아보고, 더 나은 방향으로 목표를 재수정하거나 새로운 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

References

1 

Balamurugan A., Won R. (2016). Shopping centre libraries. Retrieved from https://eresources.nlb.gov.sg/infopedia/articles/SIP_705_2005-01-20.html 2022. 7. 5. Singapore Inforpedia: .

2 

Child Friendly Cities Initiative[CFCI]. (2022). What is child friendly cities initiative?. Retrieved from https://childfriendlycities.org/what-is-the-child-friendly-cities-initiative/ 2022. 7. 5.

3 

City Developments Limited. My tree house – World’s 1st green library for kids opens today. Retrieved from https://cdl.com.sg/newsroom/my-tree-house-worlds-1st-green-library-for-kids-opens-today 2022. 7. 28.

4 

Housing and Development Board. (2022). Heartland play. Retrieved from https://www.hdb.gov.sg/about-us/news-and-publications/publications/dwellings/heartland-play 2022. 7. 28.

5 

Krysiak N. (2021). Lessons from Singapore: Designing children friendly neighbourhoods. Retrieved from https://www.citiesforplay.com/lessonsfromsingapore 2022. 7. 2. Cities for Play.

6 

Library Association of Singapore. (2016). An oasis for children – my tree house: World’s first green library for kids – Part I: Space. Retrieved from https://www.las.org.sg/wp/blog/bulletin/from-libraries/an-oasis-for-children-my-tree-house-worlds-first-green-library-for-kids-part-i-space/ 2022. 7. 28.

7 

Ministry of Social and Family Development[MSF]. (2020). Obligations under the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Retrieved from https://www.msf.gov.sg/policies/Children-and-Youth/Pages/Obligations-under-the-UN-Convention-on-the-Rights-of-the-Child.aspx 2022. 7. 7.

8 

National Heritage Board. (2013). Community heritage series III: Void Decks. Retrieved from https://www.nhb.gov.sg/~/media/nhb/files/resources/publications/ebooks/nhb_ebook_void_decks.pdf 2022. 7. 15.

9 

National Library Board. Visit us. Retrieved from http://www.nlb.gov.sg/VisitUs.aspx 2022. 7. 5.

10 

Singapore Computer Society. (2014). Singapore Smart Nation Initiatives and possible opportunities. Retrieved from https://www.scs.org.sg/articles/smart-nation-singapore 2022. 7. 6.

11 

Singapore Statutes Online. (2022). Children and Young Persons Act 1993. Retrieved from https://sso.agc.gov.sg/Act/CYPA1993 2022. 7. 7.

12 

The Strait Times. (2018. 3. 12.). Cooler, cleaner air for commuters at pilot bus stop outside Plaza Singapura. Retrieved from https://www.straitstimes.com/singapore/cooler-cleaner-air-for-commuters-at-pilot-bus-stop-outside-plaza-singapura 2022. 7. 6.

13 

The Strait Times. (2013. 9. 5.). Punggol Breeze BTO project wins Fiabci Singapore Property Award. Retrieved from https://www.straitstimes.com/singapore/punggol-breeze-bto-project-wins-fiabci-singapore-property-award 2022. 7. 5.

14 

UNICEF. (2022). Child Friendly Cities Initiative. Retrieved from https://childfriendlycities.org/ 2022. 7. 5.

15 

United Natio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Retrieved from https://www.ohchr.org/en/instruments-mechanisms/instruments/convention-rights-child 2022. 7. 5.

16 

United Nations Human Settlements Programme. (2020). World Cities Report 2020, Retrieved from https://unhabitat.org/sites/default/files/2020/10/wcr_2020_report.pdf.

17 

Urban Redevelopment Authority. (2016). Pilot smart bus stop to “make waiting fun” unveiled at Jurong Lake District. Retrieved from https://www.ura.gov.sg/Corporate/Media-Room/Media-Releases/pr16-53 2022. 7. 6.

18 

Zvobgo J. (2018). Creating child-friendly smart cities with urban redevelopment. Retrieved from https://www.childinthecity.org/2018/03/22/creating-child-friendly-smart-cities-with-urban-redevelopment/ 2022. 7. 6. Child in the C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