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159개 논문이 있습니다.

1 국제사회보장동향 독일의 난민 지원 정책의 현황Trends in Refugee Assistance Policy in Germany
정다은(독일 레겐스부르크대학교 법학 박사과정)
Chong, Da-Eun(Universität Regensburg)
2024년 여름호, 통권 29호, pp.123-128 https://doi.org/10.23063/2024.06.10
2 기획 독일의 기후보호 정책과 녹색전환Germany’s Climate Protection Policy and Green Transformation
임운택(계명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Lim, Woontaek(Keimyung University)
2024년 여름호, 통권 29호, pp.55-66 https://doi.org/10.23063/2024.06.5
초록보기
Abstract

Ever since the ‘energy transition’ debate in the 1980s, Germany has consistently pursued government-led climate policies. With the enactment in 2023 of the Climate Protection Act, Germany has set out to become a ‘climate-neutral’ country by 2045, rolling out various policy measures in a bid to reduce carbon emissions. The German Climate Protection strategy not only aims to reduce carbon emissions but also seeks to drive a large-scale industrial shift by integrating energy schemes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policies. The German approach to ‘green transition’—innovating through government-led technological promotion, keeping social innovation ahead of the market, and promoting industrial support in one—offer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eco-sustainability and future market opportunities.

초록

독일은 1980년대 ‘에너지 전환’ 논쟁 이후 꾸준히 정부 주도로 기후정책을 추진해 왔다. 2023년 개정된 기후보호법은 2045년까지 독일이 기후중립국가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독일 정부는 탄소배출량 감축을 위한 다양한 정책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기후보호법은 탄소배출 감축만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이 기회에 독일의 에너지 정책과 기술혁신 정책을 결합하여 대대적인 산업전환 정책을 추구하고 있다. 소위 녹색전환은 정부의 기술촉진을 통한 혁신과 시장에 앞서는 사회혁신, 산업지원 정책을 결합하여 산업사회의 위험을 낮추고, 생태친화적이면서도 미래시장 개척적인 함의를 가진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다.

3 기획 프랑스의 탄소중립 정책 동향: 성과와 향후 과제France’s Net-Zero Policy: Ambitions and Challenges
이유현(아주대학교 행정학과 부교수)
Lee, Youhyun(Ajou University)
2024년 여름호, 통권 29호, pp.43-54 https://doi.org/10.23063/2024.06.4
초록보기
Abstract

France’s response to the climate crisis consists of well-structured carbon-neutral policies encompassing various legislative acts and strategic plans that pursue a well-balanced mix of nuclear power and renewables. These carbon-neutral policies have been implemented through various national low-carbon strategies, multi-year energy programs, eco-environmental plans, and climate and energy strategies, all underpinned by a series of legal frameworks such as the Energy and Climate Act, the Climate Recovery Act, the Green Industry Act, and the Fast-Tracking Renewable Energy Protection Act. Having met with success in reducing greenhouse gases, increasing its effort to increase the share of such renewables as solar and wind power in energy consumption, and citizen-led legislation, France is now at work to speed up its energy transition and advance the role of nuclear power as a carbon-free energy source.

초록

프랑스는 원자력과 재생에너지의 조화에 기반한 다양한 입법과 계획을 포함하는 체계적인 탄소중립 정책을 수립하여 기후위기에 대응하고 있다. 저탄소 국가전략, 에너지 다년 프로그램, 생태계획, 기후에너지 전략 등의 계획을 수립하여 탄소중립 정책을 구체화하고 있으며, 이를 법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한 에너지기후법, 기후회복법, 녹색산업법, 재생에너지 생산촉진법을 잇달아 제정하였다. 프랑스는 온실가스 감축과 태양광 및 육상풍력 중심의 재생에너지 비중 강화, 시민 주도 입법 등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으나 에너지전환 속도의 개선, 무탄소 에너지원으로서의 원자력의 역할 재정립 등의 한계를 고민하고 있다.

초록보기
Abstract

In this article, I give an overview of the progress of the just transition in two Nordic countries, Finland and Denmark. Specifically, this article explores the significant role Finland’s labor unions have played in a just transition and the Danish government’s active support for green-transition technology. I look in particular at the social protection programs involved, as, for a successful just transition, it is essential to ensure that support is provided for workers who would take up roles in the decarbonized economy, for their occupational retraining as well as income support while they are on training. The case analysis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defining distinct roles for various stakeholders, fostering collaboration among them, and establishing a society-wide response mechanism.

초록

이 글은 북유럽 국가 중 핀란드와 덴마크가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추진 중인 정의로운 전환(Just Transition)과 관련한 동향을 살펴보았다. 특히 핀란드는 정의로운 전환 추진 과정에서 노조의 적극적인 역할을, 덴마크는 녹색전환기술을 적극 지원하는 국가 차원의 추진 사례를 검토하였다. 성공적인 정의로운 전환을 위해서는 탈탄소 경제를 이끌 근로자 대상 대대적인 직업 재교육 지원과 교육 기간 중 근로자의 소득보장이 핵심이라는 점에서 관련 사회보장제도를 함께 살펴보았다. 이러한 사례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기후변화 대응 과정에서 다양한 주체의 역할 분담과 협력의 중요성, 사회 시스템의 전반적인 대응 필요성을 함의로 제시하였다.

5 국제사회보장동향 독일의 가정폭력 실태와 정책적 대응Domestic Violence in Germany: Current Situation and Policy Response
정다은(독일 레겐스부르크대학교 법학 박사과정)
Chong, Da-Eun(Universität Regensburg)
2024년 봄호, 통권 28호, pp.135-139 https://doi.org/10.23063/2024.03.11
6 국제사회보장동향 프랑스 이민 개혁 정책과 그 내용France’s Recent Immigration Reform: Key Content and Implications
김진리(토론토대학교 사회학과 박사과정)
Kim, Jinri(University of Toronto)
2024년 봄호, 통권 28호, pp.123-127 https://doi.org/10.23063/2024.03.9
초록보기
Abstract

The UK, one of the countries where childcare costs are among the highest in the world, recently announced plans to gradually implement a comprehensive reform of its funded childcare system over the next two years. The reform aims to alleviate the financial burden of childcare on parents and to create more employment opportunities for mothers who, unable to afford childcare services, have largely remained out of the labor market. To this announcement, however, parents and frontline childcare providers alike, so far from welcoming it, responded with a voice of concern over the potential adverse impact of the reform. This article examines the policy backdrop behind the UK government’s plan to expand its funded care and then discusses some of the debated issues surrounding the proposed reform and their implications for Korea’s free childcare, especially as regards working women who are mothers.

초록

아동 보육 비용이 세계에서 가장 비싼 국가 중 하나인 영국이 최근 일하는 부모 대상 무상 보육(funded childcare)을 향후 2년에 걸쳐 단계적으로 전면 개혁할 것이라고 발표하였다. 이러한 개혁 배경에는 첫째, 기존의 비싼 보육 비용으로 인한 부모들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고 둘째, 비싼 보육 비용 탓에 그간 노동시장 참여가 어려웠던 여성(엄마)들의 고용 기회를 증진하기 위함이다. 하지만 이러한 개혁 발표를 두고 보육 현장을 비롯한 부모들의 반응은 무상 보육 확대 개혁안을 환영하기는커녕 정책의 부정적 효과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이 글에서는 먼저 영국 정부가 무상 보육을 확대하고자 하는 정책 배경 요인을 살펴본 후, 그러한 개혁을 둘러싸고 논의되고 있는 몇 가지 논의와 쟁점들에 대해 짚어 보고자 한다. 더불어 그러한 논의들이 오늘날 한국의 무상 보육 정책 시행, 특히 일하는 여성(엄마)들에 대한 보육 정책 지원에 어떠한 정책적 함의를 갖는지에 대해 함께 논의해 보고자 한다.

8 이슈분석 미국, 호주, 영국의 자활역량평가제도 비교Comparison of Self-sufficiency Assessments in the United States, Australia, and the United Kingdom
이상아(한국자활복지개발원 선임연구원) ; 강명주(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연구원)
Lee, Sang A(Korea Development Institute for Self-Sufficiency and Welfare) ; Kang, Myungjoo(Social Welfare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2024년 봄호, 통권 28호, pp.95-107 https://doi.org/10.23063/2024.03.7
초록보기
Abstract

This article introduces the self-sufficiency assessments implemented in the US, Australia, and the UK and compares them in terms of what each consists of—aspects assessed, methods used, and processes involved. These assessments vary in the policy context in which they are conducted. When it comes to the capacity assessment of self-sufficiency project participants transitioning to work, however, the common focus is on competencies that should matter in work. Specifically, these assessments are conducted on factors that are likely to affect one’s work activities, such as one’s psychiatric and cognitive aspects, cognitive learning abilities (arithmetic ability, writing skills, ability to memorize, etc.), and job skills (computer skills, etc.). The various versions of self-sufficiency assessment indicators used in the three countries suggest that Korea’s self-sufficiency assessment needs to be designed in detail and with precision.

초록

이 글에서는 미국, 호주, 영국의 자활역량평가제도를 소개하고, 각국의 평가 내용, 평가 방식, 절차를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미국, 호주, 영국의 자활역량평가제도의 맥락에는 차이가 있었으나, 자활사업 참여자에 대한 역량평가는 자활사업 참여자의 근로활동 이행 시 중요하게 다뤄져야 하는 역량에 초점을 두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근로활동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심리적・인지적 측면과 산술능력이나 쓰기, 암기능력과 같은 인지・학습 능력부터 컴퓨터 능력과 같은 업무 기술 등이 중요한 기준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각국의 자활역량 유사지표의 특징은 한국의 자활역량평가가 세밀하고 정교하게 설계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초록보기
Abstract

One of the main goals of France’s education policy is to reduce the social inequalities that individuals face in life due to their social backgrounds. School segregation, whether within or between schools, where students are divided based on their socioeconomic status, has long been viewed as hindering equal educational opportunities, exacerbating social inequality, and, as a result, weakening social cohesion. In response, France’s education policy came to take as its goal “social mix” as opposed to school segregation. Since 2016, the French education ministry has experimented with various projects with a view to promoting social mix across middle schools. This year, France is embarking on a 3-year Social Mix Plan, established based on the outcome of these projects and research findings. This article explores social segregation within and between schools in France, as well as the issues and implications surrounding the promotion of social mix as a proposed solution.

초록

사회적 출신이 개인의 인생에 미치는 영향력에 기인한 사회적 불평등 완화는 프랑스 교육정책의 주요 목적 중 하나이다. 학교 내 또는 학교 간 학생들의 사회경제적 특징에 따른 학교 분리가 교육 기회의 형평성을 방해하고 사회적 불평등을 심화시켜 결과적으로 사회통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문제로 대두된다. 이에 학교 분리 완화를 위한 ‘사회적 혼합’이 교육정책의 핵심 목표가 되었고 교육부를 중심으로 2016년부터 중학교의 사회적 혼합을 촉진하기 위한 다양한 실험이 진행되었다. 이 실험 결과와 관련 연구를 토대로 2024년부터 3년간 ‘혼합계획’이 추진될 예정이다. 이 글은 프랑스의 학교 간 사회적 분리 문제와 대응책으로서 사회적 혼합 관련 쟁점을 알아보고 사회적 혼합실험의 내용과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10 기획 핀란드와 호주의 보건의료 마이데이터 도입 및 활용Introduction and Use of Healthcare MyData in Finland and Australia
손슬기(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박사수료) ; 박나영(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정책연구실 부연구위원)
Son, Seulki(Seoul National University) ; Park, Na-young(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24년 봄호, 통권 28호, pp.5-22 https://doi.org/10.23063/2024.03.1
초록보기
Abstract

Korea is a relatively late starter in the field of MyData, yet it has swiftly developed and implemented MyHealthWay, a MyData health platform, along with the My Health Record App, thanks to efforts from the government and relevant agencies. However, there are numerous challenges to work through. Finland and Australia serve as prime examples of countries with government-led health MyData systems. Finland’s Kanta, a comprehensive health service system, is an exemplary case where a MyData approach has been proactively driven to enhance the quality and efficiency of healthcare services. Australia has in place My Health Record, which, as a MyData platform for implementing national digital health strategies, has contributed to enhancing access to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health information. This article examines the implementation and utilization of national health MyData platforms in Finland and Australia and suggests ways for Korea to enhance health MyData utilization through ongoing initiatives like MyHealthWay and the MyHealthRecord App.

초록

한국의 보건의료 마이데이터 추진은 국외에 비해 다소 늦게 시작되었다. 여전히 많은 쟁점이 남아 있으나, 정부와 관계 기관의 노력으로 짧은 기간 내 전 국민 보건의료 마이데이터인 건강정보 고속도로 플랫폼과 나의 건강기록 애플리케이션(앱)을 개발해 운영하고 있다. 핀란드와 호주는 정부 주도로 보건의료 마이데이터를 운영하는 대표적인 국가이다. 핀란드는 통합적인 건강관리시스템인 칸타(Kanta) 서비스를 통해 보건의료 마이데이터를 선도적으로 활용하여 의료 서비스의 품질과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 호주는 나의 건강기록(My Health Record) 플랫폼을 통해 국가 디지털 헬스 전략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는 의료정보의 접근성과 질을 향상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이 글은 핀란드와 호주의 전 국민 의료 마이데이터 도입・활용 과정을 상세히 살펴보고, 현재 한국에서 추진 중인 건강정보 고속도로 플랫폼과 나의 건강기록 앱 중심의 보건의료 마이데이터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Global Social
Security Re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