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이민 개혁 정책과 그 내용

France’s Recent Immigration Reform: Key Content and Implications

1. 들어가며

2023년 2월 프랑스 국무회의(Conseil des Ministre)는 ‘이민에 대한 규제 강화’와 ‘이민자의 사회통합 증대’라는 두 가지 목표를 바탕으로 한 이민법 개정안을 제출했다(Barnaud, 2023). 이 개정안은 11월 6일 보수 진영이 다수인 프랑스 상원(Sénat)을 거치며 첫 번째 목표인 ‘이민 규제 강화’에 더욱 무게를 두는 방향으로 수정되었고, 이는 2023년 12월 상・하원 의원 각 7명으로 구성된 양원합동위원회(CMP: Commission Mixte Paritaire)를 통해 재수정된 후 마침내 2023년 12월 19일 하원의 투표를 통해 통과되었다. 그러나 통과된 개정안은 법안 내용에 반기를 든 진보 정당과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에 의해 프랑스 헌법위원회(Conseil Constitutionnel)1) 로 회부되었고, 2024년 1월 26일 헌법위원회의 심사 내용을 바탕으로 수정된 이민법이 대통령에 의해 공포되었다. 이 글에서는 프랑스 이민법 개정안의 몇 가지 핵심 내용에 대해서 살펴본다.

2. 이민법(Loi Immigration) 개정 내용

가. 미등록 이주 노동자에 대한 보호 및 체류 허용

이번 개정안은 불법 이주 노동자가 합법적 체류를 신청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였다. 현재 정부에서 정한 ‘인력이 부족한 직군(les métiers en tension)’에 해당하는 직업군, 예를 들면 건설업, 요식업 또는 돌봄 노동에 종사하는 불법 이주 노동자들은 ‘임시 노동자(travailleur temporaire)’ 또는 ‘근로자(salarié)’ 신분으로 체류증을 신청할 수 있게 되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과거와 달리 불법 이주 노동자가 고용주의 허가 없이도 자율적으로 체류증을 신청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이다. 체류증 신청을 희망하는 불법 이주 노동자는 ‘인력이 부족한 직군’에 종사하고 지난 24개월 중 12개월 동안 노동했으며 3년 이상 프랑스에 거주했음을 증명해야 한다. 체류증 발급에 관한 재량권은 각 지역의 도지사에게 있으며 이는 2026년 말까지 시험 운영될 예정이다(Gouvernement de France, 2024).

나. 이주자의 체류 조건 강화

이민법 개정안에서 핵심이 되는 또 다른 점은 체류증 발급 조건이 더욱 까다로워졌다는 것이다. 먼저, 개정안에 공화국 가치 존중에 관한 조항이 추가되었다. 이 조항에 따라서 앞으로 프랑스 체류를 희망하는 외국인은 프랑스 공화국의 기본 가치인 개인의 자유, 표현과 양심의 자유, 남녀평등, 인간의 존엄성과 공화국의 상징을 존중할 것을 약속하는 서약서에 서명해야 한다. 체류 신청자가 서약서 서명을 거부하거나 서약서 내용에 위배되는 행동을 할 경우 행정 당국은 거주 허가를 철회하거나 체류증 재발급을 거부할 수 있다.

다. 공공질서를 위협하는 이민자 추방 강화

개정안에는 공공질서에 심각한 위협을 가하는 이민자의 추방을 용이하게 하는 조항이 추가되었다. 이러한 조항은 최근 몇 년 동안 프랑스에서 반복적으로 벌어진 이슬람 극단주의 테러리즘의 결과로 보여진다. 특히 2023년 10월 아라스에서 벌어진 이슬람 극단주의 이민자의 고등학교 교사 살해 사건은 이민자 추방 강화 논의에 방아쇠를 당겼다. 왜냐하면 가해자 모하메드 모구치코프는 이미 공공질서에 심각한 위협이 되는 인물인 ‘분류 S(fiché S)’로 국가정보기관의 감시를 받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테러와 관련된 행위로 유죄 판결을 받지 않았다는 이유로 추방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게다가 그는 13세 이전에 프랑스에 입국했기 때문에 추방에 대한 보호조치 혜택 또한 받을 수 있었다(Farmine, 2023).

개정안에 따르면 프랑스에서 합법적으로 체류하고 있는 이주민도 최소 3년 또는 5년 이상의 징역형에 처해지거나 ‘선출된 대표자 또는 공무원에 대한 폭력에 연루된’ 경우 재판관은 추방을 명령할 수 있다. 이는 합법적 체류 이주민이 프랑스인 가족이 있거나, 프랑스에서 장기간 체류했을 시에도 예외 없이 적용된다. 이와 더불어 법원은 프랑스 영토 접근 금지(ITF: Interdiction du Territoire Française) 명령도 더 쉽게 내릴 수 있게 되었다. 이번 개정안에서는 13세 이전에 프랑스에 입국한 미등록 이주민이나, 프랑스 국적자의 배우자를 ‘프랑스 영토를 떠나야 할 의무(OQTF: Obligation de quitter le territoire français)’로부터 보호하도록 하는 조항도 폐지되었다. 이를 통해서 정부는 약 4000명 정도의 외국인 범죄자를 추가로 추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Mestre & Pascual, 2024). 마지막으로 개정안에는 부모를 동반하지 않은 이주 미성년 경범죄자에 대한 기록을 작성하고 보관하는 것을 허용하는 조항도 추가되었다(Gouvernement de France, 2024).

라. 망명 신청 및 난민 소송

개정안은 ‘프랑스 피난처(France Asile)’라고 명명된 지역망명신청센터를 점진적으로 확대할 사업안을 담고 있다. 이는 현재 존재하는 ‘망명 신청자를 위한 원스톱 접수 센터(GUDA: Guichets Uniques d’acceuil des Demandeurs d’Asile)’를 대체하기 위한 정책 사업으로, 난민들의 망명 신청 행정 절차를 간소화하기 위한 목적을 표방한다. 이 센터를 통해 망명 신청자는 경시청을 통한 신분 확인 및 등록, 그리고 망명 신청서 제출을 한 장소에서 할 수 있게 된다. 프랑스 국가인권재판소(CNDA: Cour Nationale du Droit d’Asile)의 조직도 개편되어, 국가인권 지역재판소가 신설되고 단일 판사 시스템이 일반화되며 복잡한 사건만 패널에 회부된다. 게다가 개정안에서는 도주할 위험이 있거나 공공질서에 위협이 될 수 있다고 판단되는 망명 신청자들에 대해 특정 조건에 따라 가택 연금 또는 구금을 가능하게 하는 근거도 마련되었다(Gouvernement de France, 2024).

3. 나가며

프랑스 입법 절차를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프랑스는 행정부와 입법부가 모두 법안을 제출할 수 있는 발의권을 갖는데(홍성민, 2018), 이번 이민법 개정안은 행정부에서 제출한 법률안이다. 제출된 법률안은 먼저 상원과 하원 내의 상임위원회에서 구체적인 심사 및 수정을 거치게 되며, 심사를 맡은 위원회는 법률안을 채택하거나 수정, 추가 또는 거부할 수 있다(Gouvernement de France, 2023). 이번 이민법 개정안의 경우 보수 진영이 강세인 상원으로 먼저 제출되었다. 상원에서 채택된 개정안은 하원으로 이송되어 재심사 및 표결 절차를 거쳤다. 한편 프랑스는 양원제 국가이므로, 법안은 두 의회의 표결을 모두 통과해야 한다. 따라서 상원과 하원 간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정부는 CMP를 소집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최종 합의안이 도출된다. 이번 이민법 개정안의 경우에도 보수 진영이 과반인 상원과 중도 및 진보 진영이 과반인 하원의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아 정부는 각 7명의 상・하원 의원으로 구성된 CMP를 소집하였고, 이를 통해 재수정된 이민법 개정안은 2023년 12월 19일 마침내 본회의를 통과하였다.

본론에서는 2024년 1월 25일 헌법위원회의 심사를 통과한 법안들을 소개하였다. 이 개정안은 1월 26일 마크롱 대통령에 의해 공포되었다. 한편 앞서 소개한 이민법 개정안의 내용은 국회에서 통과된 개정안과는 상이한 양상을 띠고 있다. 실제로 헌법위원회는 국회에서 통과된 개정안이 담고 있던 86개의 조항 중에서 32개 조항들에 대해 이민법 개정 취지에 부합하지 않거나 범위를 벗어난 부수 조항이라는 이유를 들어 위헌 판단을 내렸다. 삭제된 내용에는 (1) 이민자 사회보장제도 수급권을 제한하거나 강화, (2) 출신지 주의 폐지, (3) 이민 쿼터제, (4) 이민자의 가족 재결합(Regroupement Familial) 조건을 강화하는 조항들이 있는데, 이 조항들은 대부분 프랑스의 극우정당인 국민연합당(RN: Rassemblement National)과 보수정당인 공화당(Les Républicains)이 주장한 내용이었다(Mestre and Pascual, 2024).

헌법위원회의 결정은 진보 진영과 노동조합들로부터 환영을 받았으나 공화당과 극우정당으로부터는 비판을 받았다. 공화당 대표 에릭 시오티는 국회의 과반 동의를 얻어 통과된 이민법 개정안 내용의 대부분이 검열되었다는 사실은 프랑스인의 국민 주권을 부정하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이어 공화당은 헌법이 규정한 입법절차를 위반한다는 이유로 위헌 판단을 받은 조항들을 모아 새로운 법률안을 발의할 것을 예고했으며, 이를 통해 보수 진영은 출신지 주의 폐지와 이민자의 가족 재결합 조건을 강화하는 법안을 통과시킬 것을 선언했다(Franceinfo and AFP, 2024). 국회에서 가결된 이민법 개정안의 다수 조항이 헌법재판소의 판단에 의해 삭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번 프랑스의 이민법 개정은 프랑스가 이민 규제를 강화하고 이주자의 추방을 용이하게 하려는 의도를 명확하게 보여 주고 있다. 앞으로도 ‘이민 문제’는 프랑스 정치의 핵심 정쟁의 대상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Notes

1)

프랑스 헌법위원회는 한국의 헌법재판소에 해당하는 기관으로, 법률의 위헌성을 심사하는 역할을 한다. 헌법위원회는 9명의 임명직 위원으로 구성되며 대통령, 상원의장, 하원의장이 3년마다 3명씩 임명한다. 헌법위원회 위원의 임기는 9년이며 재임은 불가하다(Gouvernement de France, 2023).

References

1. 

홍성민. (2018). 미국・영국・독일・프랑스・일본 입법 절차. 법연, Vol. 61, Retrieved from https://www.klri.re.kr:9443/handle/2017.oak/9028 2024. 2. 5. 세종: 한국법제연구원.

2. 

BarnaudT. (2023. 11. 5). Loi immigration: Que contient le texte examiné à partir de lundi au Sénat?. L’Express. Retrieved from https://www.lexpress.fr/politique/loi-immigration-que-contient-le-texte-examine-a-partir-de-lundi-au-senat-USFBJ2PXDRBS5P4S4KQSAPB2UI/ 2024. 1. 12.

3. 

FarmineN. (2023. 10. 15). Attaque terroriste à Arras: Pourquoi l’assaillant, un étranger fiché S, n’a pas été expulsé du territoire français ?. Le Figaro. Retrieved from https://www.lefigaro.fr/actualite-france/attaque-terroriste-a-arras-pourquoi-l-assaillant-un-etranger-fiche-s-n-a-pas-ete-expulse-du-territoire-francais-20231015 2024. 1. 11.

4. 

Franceinfo, AFP. (2024. 1. 26). Loi immigration: Pourquoi les mesures censurées par le Conseil constitutionnel pourraient de nouveau faire parler d’elles. Franceinfo. Retrieved from https://www.francetvinfo.fr/politique/les-republicains/loi-immigration-pourquoi-les-mesures-censurees-par-le-conseil-constitutionnel-pourraient-de-nouveau-faire-parler-d-elles_6327378.html 2024. 1. 27.

5. 

Gouvernement de France. (2023). Qu’est-ce que le Conseil constitutionnel ?. vie-publique.fr. (2023, March 22). Retrieved from http://www.vie-publique.fr/fiches/19549-quest-ce-que-le-conseil-constitutionnel 2024. 2. 5.

6. 

Gouvernement de France. (2023). Qu’est-ce qu’une commission mixte paritaire?. (2023, December 12) Retrieved from https://translate.google.com/website?sl=fr&tl=en&hl=en&prev=search&u=http://www.vie-publique.fr/fiches/292358-quest-ce-quune-commission-mixte-paritaire 2024. 2. 5.

7. 

Gouvernement de France. (2024). Loi du 26 janvier 2024 pour contrôler l’immigration, améliorer l’intégration. Retrieved from https://www.vie-publique.fr/loi/287993-loi-immigration-integration-asile-du-26-janvier-2024 2024. 1. 27.

8. 

MestreA., Pascual. 2024, Loi « immigration »: Avec finalement 51 articles, un texte plus fourni que le projet initial du gouvernement, Retrieved from , https://www.lemonde.fr/societe/article/2024/01/26/loi-immigration-avec-51-articles-au-final-un-texte-plus-fourni-que-le-projet-initial-du-gouvernement_6213109_3224.html, 2024. 1.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