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87개 논문이 있습니다.

81 이슈분석 미국의 지역확장센터 프로그램을 통한 전자건강기록 도입 확산 정책Policy for Expanding Electronic Health Record Adoption through Regional Extension Center Program in the United States
백주하(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정책연구실 부연구위원) ; 오수진(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정책연구실 전문연구원)
Baek, Juha(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Oh, Sujin(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23년 봄호, 통권 24호, pp.82-91 https://doi.org/10.23063/2023.03.7
초록보기
Abstract

This article examines how the US has facilitated electronic health record (EHR) adoption through its EHR Incentive Program and Regional Extension Centers (RECs). Established in 62 different locations throughout the US, the RECs have helped primary care physicians, small hospitals, and rural health clinics adopt EHRs and meet the requirements for incentives. This program consisted of assistance in EHR adoption and maintenance, education and training on health information communication, assistance in the protection and safety of private information, and continued technical assistance. The result of such support was a large increase in the adoption of EHRs among small hospitals and rural health clinics. The US case suggests that Korea needs customized support programs for small hospitals and clinics, for whom the rate of participation in the national electronic medical record certification system remains extremely low.

초록

이 글에서는 미국의 지역확장센터 프로그램을 통한 전자건강기록 도입 확산 정책을 살펴보고 국내 상황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했다. 미국은 전국에 62개의 지역확장센터 프로그램을 신설하여 1차진료의사와 소규모 병원, 농어촌 지역 의료기관들의 전자건강기록의 도입과 인센티브 프로그램의 조건 달성을 지원했다. 구체적인 서비스 영역으로 전자건강기록 도입과 관리 지원, 의료 정보통신 관련 교육・훈련, 제품 업체 선정과 재정 상담, 개인정보보호 및 보안, 지속적인 기술지원 등이 포함되었다. 이러한 지원 활동의 결과, 미국 내 소규모 병원과 농어촌 지역 병원들의 전자건강기록 도입률이 크게 증가했으며, 인센티브 프로그램을 통해 재정 지원을 받는 비율도 높아졌다. 이러한 정책 내용과 성과는 현재 한국의 전자의무기록 인증제에서, 참여가 매우 저조한 소규모 병원과 의원들을 위한 맞춤형 지원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82 기획 미국 워싱턴주의 상병수당 도입 및 운영 경험Early Lessons from Washington’s Paid Family and Medical Leave
정찬업(매사추세츠대학교 애머스트 박사후연구원)
Jeong, Chanip(University of Massachusetts Amherst)
2023년 봄호, 통권 24호, pp.42-53 https://doi.org/10.23063/2023.03.4
초록보기
Abstract

Washington State’s sickness benefit scheme―Paid Family and Medical Leave―has, from its inception on, been implemented predicated on the big principle: “Offering benefits without discrimination based on income level, gender, industry, or kind of job.” In the two years following the program’s official introduction in January 2020, over 300,000 workers have benefited from the system. Such a large number of beneficiaries, far more than had been anticipated earlier, led to a slew of operational issues that weighed heavily on the program. This study looks at how Washington State’s sickness benefit scheme works and what problems it has had, and draws out some implications for Korea as it begins to establish its own system.

초록

워싱턴주의 상병수당에 해당하는 Paid Family and Medical Leave는 법 제정 당시부터 “소득 수준, 성별, 산업, 노동 형태에 따른 차별 없이 프로그램 혜택을 제공한다”라는 큰 원칙을 가지고 시행되었다. 2020년 1월 프로그램 본격 개시 후, 지난 2년간 약 30만 명의 노동자가 해당 제도의 혜택을 누렸다. 이는 제도 시행 전 예상했던 이용률을 크게 상회하는 수치로, 이후 프로그램 운영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게 되었으며 여러 가지 운영상 문제를 동반했다. 이에, 워싱턴주의 상병수당 제도가 겪은 과정과 문제점을 살펴봄으로써, 이제 막 걸음마를 떼는 한국의 상병수당 제도 수립에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83 국제사회보장동향 미국 보건 및 사회 서비스 연계 동향: 커뮤니티 케어 허브를 중심으로Integrating Health and Social Service in the United States: Focusing on the Role of Community Care Hubs
백지혜(워싱턴대학교 세인트루이스 사회복지학 박사과정)
Baek, Jihye(Washington University in St. Louis)
2023년 봄호, 통권 24호, pp.105-108 https://doi.org/10.23063/2023.03.10
84 이슈분석 일본과 미국의 재난 정신건강 대응 거버넌스 고찰Post-Disaster Mental Health Governance in Japan and the U.S.
한혜진(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과정) ; 전진아(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정책연구실 연구위원)
Han, Hyejin(Yonsei University) ; Jun, Jina(Korea Institute of Health and Social Affairs)
2023년 여름호, 통권 25호, pp.85-96 https://doi.org/10.23063/2023.06.7
초록보기
Abstract

This article examines how public and private governance efforts are made in Japan and in the US in response to large-scale disasters requiring national-level post-disaster mental health support, focusing on the roles of organizations deployed on site in the immediate post-disaster period and how they perform their duties. In both Japan and the US, laws and guidelines are in place that clearly stipulate, in the area of mental health support, the responsibilities and roles of organizations and personnel deployed on site in the event of a disaster, with the mental health support system tending to be managed, in the event of a large-scale disaster, by a single agency with overarching supervisory authority. In light of the experiences of Japan and the US,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increase its authority to enhance the consistency and coordination of its post-disaster mental health support system.

초록

이 글은 재난 직후의 응급 상황에서 재난 현장에 파견되는 조직의 역할과 업무 수행 방법에 초점을 두어, 국가 차원의 대응이 필요한 대규모 재난 발생 시 공공과 민간 거버넌스가 각각 어떻게 대응하는지를 일본과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일본과 미국은 재난 정신건강 지원을 위한 법과 지침상, 재난 시 투입되는 조직과 인력에 대한 책임 소재와 역할 구분 등이 명확하게 제시되어 있으며, 대규모 재난 발생 시 관리·감독 권한을 가진 총괄 기관을 일원화하는 방향으로 지원 체계가 변화해 왔다. 한국 역시 해외의 사례를 바탕으로 정부 차원의 일관성과 조정 능력을 향상하는 방향으로 재난 정신건강 지원 체계를 정비할 필요가 있다.

85 이슈분석 미국 기본소득(Universal Basic Income) 정책의 현황과 쟁점The Current Status and Issues of the U.S. Universal Basic Income (UBI) Policy
김태근(아델파이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교수)
Kim, Tae Keun(Adelphi University)
2023년 여름호, 통권 25호, pp.97-108 https://doi.org/10.23063/2023.06.8
초록보기
Abstract

In the United States, discussions are going strong as to what social changes would come of the rapid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where basic income has figured as a center of attention in relation to the reconceptualization of labor and wages. This article examines the development and current status of the discussion of income debate in the United States. Basic income, as it conceptually comprises multiple institutional features and implementation modes,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of policy. To better understand the policy implications of basic income in the United States, this article examines basic income both in its historical context and in the current form of its implementation and examines the political movements that are underway in relation to basic income amid the changing public opinion and social environment following the COVID-19 pandemic.

초록

미국에서는 최근 인공지능(AI) 기술의 비약적 발달이 가져올 사회적 변화에 대한 논의가 한창이다. 그중 노동과 임금의 재개념화와 관련하여 기본소득 정책이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이 글에서는 미국 기본소득 논의의 전개 과정과 현황에 대하여 알아본다. ‘기본소득’이라는 개념은 다양한 제도적 특징과 집행 방식을 포함하기 때문에 여러 형태의 정책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미국 기본소득의 정책적 의미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하여 역사적 맥락과 현재 운영 중인 제도의 형태를 동시에 살펴본다. 아울러 코로나19 세계적 유행 이후 변화된 여론과 사회환경 속에서 기본소득과 관련하여 미국에서 어떠한 정치적 움직임들이 진행되고 있는지 소개한다.

초록보기
Abstract

Restorative justice has emerged as an approach to address the inequities and other structural problems that the U.S. criminal justice system has been criticized for. Evidence from a diverse range of studies supports the idea that restorative justice can serve as a viable alternative to increase victim satisfaction and reduce recidivism. This article explores how and against what background restorative justice has grown in the U.S. criminal justice system in recent years, examines the use of restorative justice in cases involving domestic violence, and provides an outlook on issues related to its further expansion.

초록

미국 형사 사법 체계의 불평등과 여러 가지 구조적인 문제에 대한 비판에 따라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회복적 사법이 대두되었다. 다양한 실증적 연구를 통해 회복적 사법이 절차상에서 피해자의 만족도를 높이고, 가해자의 재범을 줄이는 실행 가능한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주장은 더욱 설득력을 얻어가고 있다. 이 글에서는 미국 형사 관련 사법제도 내의 최근 회복적 사법 확대의 배경, 가정 폭력에 대한 회복적 사법의 적용 사례와 회복적 사법의 확대에 따른 쟁점 및 전망을 살펴보고자 한다.

87 국제사회보장동향 미국의 ‘치매 친화 지역사회 정책’U.S. Dementia-Friendly Community Initiatives
박수빈(미국 세인트루이스워싱턴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박사과정)
Park, Soobin(Washington University in Saint Louis)
2023년 여름호, 통권 25호, pp.129-134 https://doi.org/10.23063/2023.06.11

Global Social
Security Re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