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113개 논문이 있습니다.

1 국제사회보장동향 독일의 난민 지원 정책의 현황Trends in Refugee Assistance Policy in Germany
정다은(독일 레겐스부르크대학교 법학 박사과정)
Chong, Da-Eun(Universität Regensburg)
2024년 여름호, 통권 29호, pp.123-128 https://doi.org/10.23063/2024.06.10
2 이슈분석 미국의 부유세(wealth tax) 도입 논의에 관한 고찰A Look at the US Wealth Tax Debate
김태근(미국 아델파이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교수)
Kim, Tae Kuen(Adelphi University)
2024년 여름호, 통권 29호, pp.69-80 https://doi.org/10.23063/2024.06.6
초록보기
Abstract

Tax policies in the modern welfare state are inextricably linked with social security policies. This is because tax policies not only provide the financial resources essential for implementing social security policies but also serve as a key mechanism for reducing market inequality. In any welfare capitalist society, however, a tax increase is a sensitive issue about which most political forces tend to remain discreet, especially in the US, where support for the market system is pervasive and firm. In the wake of the COVID-19 pandemic, however, US society and its political circles have begun to consider the prospect of a tax increase in earnest and in a concrete manner, in the context of which a buzzword on the rise is ‘wealth tax’. In this article, I examine the ongoing discussion in the US regarding the introduction of a wealth tax and consider how it will unfold in the months leading up to the November election. To do this, I revisit the concept of a wealth tax as it emerged from US policy history and offer an account of the socioeconomic background that has brought the introduction of a wealth tax into public discourse. I also discuss some of the main features of the wealth tax as proposed in various bills and consider whether, and with what significance, the wealth tax might be implemented.

초록

현대 복지국가에서 조세정책은 사회보장정책과 불가분의 관계를 지닌다. 사회보장정책을 집행하기 위하여 필연적으로 수반되는 재원의 출처가 조세제도이기도 하거니와 조세정책은 그 자체로서 재분배를 통하여 시장의 불평등을 완화하는 주요 기재로 작동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복지자본주의에서 증세라는 이슈는 대부분의 정치세력에게 조심스러울 수밖에 없는 영역이고, 특히 시장체제에 대한 확고한 지지가 사회 저변에 자리 잡은 미국에서는 더더욱 그러하다. 그런데 코로나19 팬데믹을 거치며 미국 사회와 정치권에서는 증세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들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특히 ‘부유세(wealth tax)’가 정책적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데 이 글에서는 미국 부유세 도입 논의의 핵심 내용을 살펴보고 11월 대선과 맞물려 어떠한 방향으로 전개될지 예단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부유세의 개념과 미국의 정책사를 되짚어 보고, 현재 부유세 도입 논의가 촉발된 사회경제적 배경을 알아본다. 아울러 현재 법안으로 구체화된 부유세 정책의 골자를 소개하고 향후 전망과 의미를 살펴본다.

3 기획 독일의 기후보호 정책과 녹색전환Germany’s Climate Protection Policy and Green Transformation
임운택(계명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Lim, Woontaek(Keimyung University)
2024년 여름호, 통권 29호, pp.55-66 https://doi.org/10.23063/2024.06.5
초록보기
Abstract

Ever since the ‘energy transition’ debate in the 1980s, Germany has consistently pursued government-led climate policies. With the enactment in 2023 of the Climate Protection Act, Germany has set out to become a ‘climate-neutral’ country by 2045, rolling out various policy measures in a bid to reduce carbon emissions. The German Climate Protection strategy not only aims to reduce carbon emissions but also seeks to drive a large-scale industrial shift by integrating energy schemes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policies. The German approach to ‘green transition’—innovating through government-led technological promotion, keeping social innovation ahead of the market, and promoting industrial support in one—offer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eco-sustainability and future market opportunities.

초록

독일은 1980년대 ‘에너지 전환’ 논쟁 이후 꾸준히 정부 주도로 기후정책을 추진해 왔다. 2023년 개정된 기후보호법은 2045년까지 독일이 기후중립국가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독일 정부는 탄소배출량 감축을 위한 다양한 정책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기후보호법은 탄소배출 감축만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이 기회에 독일의 에너지 정책과 기술혁신 정책을 결합하여 대대적인 산업전환 정책을 추구하고 있다. 소위 녹색전환은 정부의 기술촉진을 통한 혁신과 시장에 앞서는 사회혁신, 산업지원 정책을 결합하여 산업사회의 위험을 낮추고, 생태친화적이면서도 미래시장 개척적인 함의를 가진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다.

4 기획 프랑스의 탄소중립 정책 동향: 성과와 향후 과제France’s Net-Zero Policy: Ambitions and Challenges
이유현(아주대학교 행정학과 부교수)
Lee, Youhyun(Ajou University)
2024년 여름호, 통권 29호, pp.43-54 https://doi.org/10.23063/2024.06.4
초록보기
Abstract

France’s response to the climate crisis consists of well-structured carbon-neutral policies encompassing various legislative acts and strategic plans that pursue a well-balanced mix of nuclear power and renewables. These carbon-neutral policies have been implemented through various national low-carbon strategies, multi-year energy programs, eco-environmental plans, and climate and energy strategies, all underpinned by a series of legal frameworks such as the Energy and Climate Act, the Climate Recovery Act, the Green Industry Act, and the Fast-Tracking Renewable Energy Protection Act. Having met with success in reducing greenhouse gases, increasing its effort to increase the share of such renewables as solar and wind power in energy consumption, and citizen-led legislation, France is now at work to speed up its energy transition and advance the role of nuclear power as a carbon-free energy source.

초록

프랑스는 원자력과 재생에너지의 조화에 기반한 다양한 입법과 계획을 포함하는 체계적인 탄소중립 정책을 수립하여 기후위기에 대응하고 있다. 저탄소 국가전략, 에너지 다년 프로그램, 생태계획, 기후에너지 전략 등의 계획을 수립하여 탄소중립 정책을 구체화하고 있으며, 이를 법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한 에너지기후법, 기후회복법, 녹색산업법, 재생에너지 생산촉진법을 잇달아 제정하였다. 프랑스는 온실가스 감축과 태양광 및 육상풍력 중심의 재생에너지 비중 강화, 시민 주도 입법 등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으나 에너지전환 속도의 개선, 무탄소 에너지원으로서의 원자력의 역할 재정립 등의 한계를 고민하고 있다.

초록보기
Abstract

In this article, I give an overview of the progress of the just transition in two Nordic countries, Finland and Denmark. Specifically, this article explores the significant role Finland’s labor unions have played in a just transition and the Danish government’s active support for green-transition technology. I look in particular at the social protection programs involved, as, for a successful just transition, it is essential to ensure that support is provided for workers who would take up roles in the decarbonized economy, for their occupational retraining as well as income support while they are on training. The case analysis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defining distinct roles for various stakeholders, fostering collaboration among them, and establishing a society-wide response mechanism.

초록

이 글은 북유럽 국가 중 핀란드와 덴마크가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추진 중인 정의로운 전환(Just Transition)과 관련한 동향을 살펴보았다. 특히 핀란드는 정의로운 전환 추진 과정에서 노조의 적극적인 역할을, 덴마크는 녹색전환기술을 적극 지원하는 국가 차원의 추진 사례를 검토하였다. 성공적인 정의로운 전환을 위해서는 탈탄소 경제를 이끌 근로자 대상 대대적인 직업 재교육 지원과 교육 기간 중 근로자의 소득보장이 핵심이라는 점에서 관련 사회보장제도를 함께 살펴보았다. 이러한 사례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기후변화 대응 과정에서 다양한 주체의 역할 분담과 협력의 중요성, 사회 시스템의 전반적인 대응 필요성을 함의로 제시하였다.

6 기획 유럽 그린 딜의 성패: EU의 기후목표 달성을 위해 해결해야 할 도전과제Making or Breaking the European Green Deal: Challenges to Meeting the EU’s Climate Objectives
젠 지에 임(코펜하겐비즈니스스쿨 박사후연구원)
Im, Zhen Jie(Department of International Economics, Government and Business, Copenhagen Business School)
2024년 여름호, 통권 29호, pp.18-27 https://doi.org/10.23063/2024.06.2
초록보기
Abstract

The European Union (EU) has set itself the target of climate neutrality by 2050 as part of its European Green Deal. This ambition marks a potential watershed moment in the political economy of EU Member States. Yet, questions remain as to whether the Member States will be able to meet this climate objective. This paper provides an overview of challenges that Member States may face, and pays particular attention to economic and political challenges that may inhibit Member States. It also draws attention to variations in the extent of economic challenges across and within Member States. Furthermore, the paper sketches the possibilities and limits of social and industrial policies in diminishing these economic challenges and mitigating their political ramifications.

초록

유럽연합(EU)은 ‘유럽 그린 딜(European Green Deal)’의 일환으로 2050년까지 기후중립을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했다. 이렇게 야심찬 목표는 EU 회원국의 국가 경제에 중요한 분수령이 될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회원국들이 그러한 기후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은 여전히 남아 있다. 이 글은 EU 회원국들이 직면할 수 있는 경제적, 정치적 도전과제들을 중심으로 목표 달성의 저해 요인을 개괄한다. 또한 회원국 간 그리고 회원국 내에 다양하게 존재하는 경제적 도전과제에도 주목한다. 아울러 경제적 과제를 줄이고 그것의 정치적 파급 효과를 완화하는 데 있어 사회정책과 산업정책의 가능성과 한계를 살펴본다.

초록보기
Abstract

This article surveys ongoing international discussions on energy transition as a response to the urgent need to address climate change and considers them in the context of public health and social protection policies. As many countries accelerate their energy transition efforts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the integration of public health and social protection considerations is becoming increasingly prominent in the discourse. The progress in energy transition varies significantly across countries and regions. Regions and countries with lower levels of development are at higher risk in terms of public health and social protection due to their slower progress in energy transition. The concept of ‘just transition’ or of ‘just energy transition partnership’ (JETP) should be considered as a way to help enhance public health and social protection in developing countries. As it aims to become a leading nation, the Republic of Korea should accelerate its energy transition efforts and commit more to international discussions, as well as contribute further to energy transition in developing countries.

초록

이 글은 위급해진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에너지 전환을 둘러싼 국제사회의 논의 동향을 보건복지 정책과 연계하여 정리한다. 기후변화 대응 차원에서의 에너지 전환에 관한 주요국들의 움직임이 가속화하고 있는 가운데, 보건복지 차원에서의 담론도 진행되고 있다. 에너지 전환은 지역별로 큰 격차를 드러내고 있다. 이는 저개발 국가, 저개발 지역일수록 에너지 전환 미달성으로 인한 보건복지 차원에서의 위기 상황이 심각하다는 것을 함의한다. 따라서 ‘정의로운 전환’과 같은 개념이나 ‘정의로운 에너지 전환 파트너십’(JETP)도 개도국의 보건복지 수준을 제고하는 차원에서 검토될 필요가 있다. 한국은 글로벌 중추 국가를 지향하고 있는 만큼 국내 에너지 전환에 속도를 냄과 동시에 국제사회의 논의에도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개도국의 에너지 전환에도 기여해야 할 것이다.

9 국제사회보장동향 프랑스 이민 개혁 정책과 그 내용France’s Recent Immigration Reform: Key Content and Implications
김진리(토론토대학교 사회학과 박사과정)
Kim, Jinri(University of Toronto)
2024년 봄호, 통권 28호, pp.123-127 https://doi.org/10.23063/2024.03.9
초록보기
Abstract

One of the main goals of France’s education policy is to reduce the social inequalities that individuals face in life due to their social backgrounds. School segregation, whether within or between schools, where students are divided based on their socioeconomic status, has long been viewed as hindering equal educational opportunities, exacerbating social inequality, and, as a result, weakening social cohesion. In response, France’s education policy came to take as its goal “social mix” as opposed to school segregation. Since 2016, the French education ministry has experimented with various projects with a view to promoting social mix across middle schools. This year, France is embarking on a 3-year Social Mix Plan, established based on the outcome of these projects and research findings. This article explores social segregation within and between schools in France, as well as the issues and implications surrounding the promotion of social mix as a proposed solution.

초록

사회적 출신이 개인의 인생에 미치는 영향력에 기인한 사회적 불평등 완화는 프랑스 교육정책의 주요 목적 중 하나이다. 학교 내 또는 학교 간 학생들의 사회경제적 특징에 따른 학교 분리가 교육 기회의 형평성을 방해하고 사회적 불평등을 심화시켜 결과적으로 사회통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문제로 대두된다. 이에 학교 분리 완화를 위한 ‘사회적 혼합’이 교육정책의 핵심 목표가 되었고 교육부를 중심으로 2016년부터 중학교의 사회적 혼합을 촉진하기 위한 다양한 실험이 진행되었다. 이 실험 결과와 관련 연구를 토대로 2024년부터 3년간 ‘혼합계획’이 추진될 예정이다. 이 글은 프랑스의 학교 간 사회적 분리 문제와 대응책으로서 사회적 혼합 관련 쟁점을 알아보고 사회적 혼합실험의 내용과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Global Social
Security Re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