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13개 논문이 있습니다.

1 국제사회보장동향 중국 플랫폼 노동자 보호를 위한 정책 과제Policy Challenges for Protection of Platform Workers in China
유멍(난징대학교) ; 최미향(한국사회복지협의회)
Meng, Yu(Nanjing University) ; Mihyang, Choi(Korea National Council on Social Welfare)
2021년 가을호, 통권 18호, pp.139-144 https://doi.org/10.23063/2021.09.13
초록보기
Abstract

초록

중국의 사회보장제도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농촌 극빈자 기초보장 정책은 농업합작사에서 시작해 향·진통합체제에 의한 기초보장, 국가에 의한 기초보장에 이르기까지 3단계를 거쳐 발전해 왔다. 재원 조달 방식은 농민 단체의 상호 부조에서 국고 지원으로 전환되었고, 중국 특색의 발전 경로를 보여 준다. 농촌 극빈자 기초보장 정책은 빈곤층의 의지를 존중하고, 프로그램의 다양성을 강조하며, 기초보장 자원을 사회에 공개하고, 기초보장기관의 인프라 구축을 중요시해 왔다. 최근 중국의 농촌은 청년 인구가 도시로 유출되고, 저출산·고령화 현상이 날로 심화되며, 가족의 부양 기능이 약화되어 가족에 의한 부양 수준이 낮은 상황이다. 중앙정부 정책은 농촌 극빈자의 기대에 부응하는 기초보장체계를 운영하고, 제도 개혁을 통한 사회차여를 증진해 중국에서 날로 심각해지는 고령화에 직면해 농촌 극빈자의 기초생활을 보장하는 것이다.

초록보기
Abstract

초록

본고는 급격한 고령화 사회로 변화하는 중국에서의 장기요양 돌봄 제도 구축과 정책 발전 배경을 살펴보고, 정책의 실천과 발전을 위한 문제 및 과제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5 국제사회보장동향 아동 발달 관점에서 본 중국의 아동 정책과 향후 과제Child Policy and Development on Child Development in China
유멍(난징대) ; 장희선(굿네이버스 아동권리연구소)
Meng, Yu
2019년 여름호, 통권 9호, pp.131-140 https://doi.org/10.23063/2019.06.11
초록보기
Abstract

초록

중국의 도시 주택정책은 계획경제에서 시장경제로 전환하는 과정 속에서 수립되었다. 시장화된 주택 공급체제는 주택의 분배 효율을 향상시켰지만 여느 시장경제체제와 마찬가지로 주택 공급의 불평등 문제를 일으켰다. 오늘날 중국의 도시 주택 정책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이유는 시장화 전환과 사회복지 목표 간의 모순, 계획경제체제 제도의 지속성 및 지방 정부의 관리 문제 등을 꼽을 수 있다.

7 국제사회보장동향 두 자녀 정책 이후 중국의 출생 및 사회정책 변화Changes in China's Birth Rate and Social Policy after the Two-Child Policy
유멍(난징대학) ; 최미향(바른미래연구원)
Meng, Yu ; Mihyang, Choi
2019년 봄호, 통권 8호, pp.107-113 https://doi.org/10.23063/2019.03.10
초록보기
Abstract

초록

2016년부터 2년에 걸쳐 중국 성, 시 31곳의 최저임금이 인상되었다. 본고에서는 중국 최저임금제도의 제도적 변천 과정, 지역별 최저임금 수준 현황, 변화 동인 및 그 영향에 대해 논의한다.

초록보기
Abstract

초록

인간 생존의 필수 조건인 주거는 주택에서 이루어지는 만큼 주거보장의 핵심 과제는 '주택보장'이다. 계획경제 시기에 중국은 기업 근로자를 대상으로 주택분배정책 혹은 저가임대주택정책을 비롯한 주거복지정책을 실시했다.

초록보기
Abstract

초록

2017년 기준 중국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율은 63.02%로, 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 평균인 57%, 아시아태평양 지역 국가 평균인 62%를 넘었다. 이뿐만 아니라 중국 여성의 경제성장 기여도는 41%로 세계 최고 수준이다. 하지만 이같은 중국에서도 직장인 여성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직장 내 성차별이 존재한다는 응답이 약 80%였고, 이들 여성은 구직 활동 중, 그리고 직장 내에서 성차별을 당한 적이 있다고 응답했다.

Global Social
Security Re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