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검색 결과

검색결과 11개 논문이 있습니다
1

제44권 제1호

장애인 개인예산제의 적용을 위한 기초 연구: ICF를 활용한 개인별 지원계획의 수립
A Study on the Application and Evaluation of Personal Budgets for Disabled People: Individualized Support Plan Utilizing ICF
신은경(단국대학교) ; 이한나(한국보건사회연구원)
Shin, EunKyoung(Dankook University) ; Lee, Hanna(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보건사회연구 , Vol.44, No.1, pp.99-120 https://dx.doi.org/10.15709/hswr.2024.44.1.99
초록보기
Abstract

The current government is promoting the introduction of the Personal Budgets Scheme for disabled people as a national task. Individual needs assessment and the subsequent development of self-directed support plans are essential elements of Personal Budgets. However, the current official assessment and support planning elements are inadequate to realize these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provide tools applicable to the development of individualized support plans to achieve the principles of Personal Budgets. To do so, we examined the tools used in determining eligibility for public disability support services in Korea and compared them with tools employed in countries that have implemented the Personal Budget Schemes. Furthermore, we presented a case example using the ICF framework, which can encompass needs assessment, support plan development, and service support monitoring. This showed that the framework of case studies could be represented as an evaluation table to quantify interdisciplinary interventions, changes in case individuals, and the establishment of local community networks. As future research tasks, we proposed the development of elements and procedures that can enhance self-direction and the objectification of assessment tools to ensure fair resource allocation.

초록

현 정부는 장애인 개인예산제를 국정과제로 추진하여 제6차 장애인정책종합계획에 따라 2023년 모의적용을 추진하였고, 2024~2025년 시범사업, 2026년 본사업 도입을 앞두고 있다. 개인별 욕구 평가와 자기주도적 지원계획 수립은 개인예산제의 핵심 요소 중 하나이나, 현재 이를 실현하기 위한 평가와 수립 도구에 관한 준비는 미흡한 편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개인예산제가 취지에 맞게 운영될 수 있도록 지원계획 수립에 적용할 수 있는 도구를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현재 국내 공적 장애인지원서비스의 수급권 판정과 지원계획 수립에 활용하는 도구를 살펴보고, 영미권의 개인예산제 시행 국가에서 활용하는 평가 및 지원계획 수립 도구와 비교하여 함의를 도출하였다. 또한 욕구 평가와 지원계획 수립, 서비스 지원의 모니터링까지 포괄할 수 있는 틀로 ICF 연구 지사(research branch)에서 발표한 사례 연구의 틀을 수정, 가상의 사례에 적용하여 다학제적 개입, 사례자 변화의 계량화, 지역사회 네트워크의 구축을 평가표로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향후 연구를 위한 과제로 이용자 주도성을 강화할 수 있는 요소와 절차의 개발과 공정한 자원 할당을 위한 평가 도구의 객관화를 제안하였다.

초록보기
Abstract

The primary focus of this study is ‘secondary health conditions’ among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characterized by their occurrence several years after the onset of the primary disability. While the conceptualization of these secondary health conditions acknowledges the significance of disability and the passage of time, the discourse predominantly addresses the association with impairment, omitting considerations of environmental constraints and subsequent personal and social changes post-illness. Consequently, the research aims to reconstruct the experiences of secondary health conditions within the illness narrative framework proposed by Bury (2001), drawing insights from the narratives of nine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First, the main cause of the secondary health conditions reconstructed by the participants was the stress of disability discrimination, and the timing of discovery and diagnosis was delayed due to the combination of each life history reason and the medical staff's incomprehension of disability. After the onset of secondary health conditions, the participants reconstructed and recovered their daily lives with public support and support from the disability network. In this process, participants developed an awareness that individuals’ health problems are a social concern and attempted to turn the changes they had experienced into social changes. The study concludes by suggesting that medical staff should actively listen to the narratives of patients with disabilities and implement targeted health education and health literacy initiatives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초록

장애를 원인으로 하여, 장애 발생 후 수년 후 나타나는 건강 상태인 ‘이차적 건강 상태’는 장애인이 가장 빈번하게 경험하는 건강 상태이다. 이차적 건강 상태에 대한 개념화는 장애와의 연관성, 시간성을 주요한 요소로 언급하고 있으나, 주로 손상과의 연관성만이 다루어졌고, 환경적 제약과의 연관성, 질병 이후의 개인적·사회적 변화를 다루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차적 건강 상태를 가진 9인의 내러티브를 바탕으로 하여 Bury(2001)의 질병 내러티브 틀로 이차적 건강 상태 경험을 재구성하였다. 먼저, 참여자들이 재구성한 이차적 건강 상태의 주된 원인은 장애 차별의 스트레스였고, 각자의 생애사적 이유와 의료진의 장애 몰이해가 결합하여 발견과 진단 시기가 지연되었다. 이차적 건강 상태 발병 후 참여자들은 공적 지원, 장애 네트워크로부터 오는 지지로 일상을 재구성하고 회복해 나갔다. 이 과정에서 참여자들은 건강 문제가 사회적 문제라는 의식을 키웠고, 자신의 변화를 사회적 변화로 확장해 나갔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하여, 의료 현장이 장애인 환자의 내러티브에 귀를 기울일 것, 장애인 대상으로 하는 건강교육과 건강정보건강 정보 문해력 교육을 진행할 것 등을 제언하였다.

3

제44권 제2호

우울장애 진단-자살사망 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Duration between Diagnosis of Depressive Disorder and Suicide
성근혜(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 ; 최진화(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 ; 이동현(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 ; 황태연(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
Sung, Keunhye(Korea Foundation for Suicide Prevention) ; Choi, Jin-Hwa(Korea Foundation for Suicide Prevention) ; Lee, Dong-Hyun(Korea Foundation for Suicide Prevention) ; Hwang, Tae-Yeon(Korea Foundation for Suicide Prevention) 보건사회연구 , Vol.44, No.2, pp.239-255 https://dx.doi.org/10.15709/hswr.2024.44.2.239
초록보기
Abstract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uicid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depression and propose measures to prevent suicide among individuals diagnosed with depression. We collected suicide death data through psychological autopsy interviews with bereaved families of 210 people who were diagnosed with depressive disorders before death. The interviews investigated stress events, suicide attempts after diagnosis, increased alcohol consumption, sleep disturbances, and anxiety symptoms in the three months preceding death, as well as family mental health problems and the time elapsed between suicide and diagnosis of depressive disorders. This study found that, on average, subjects experienced suicide 53.42 months after diagnosis, with a third of all suicides occurring within a year. Controlling for demographic variables, an increase in sleep problems and anxiety symptoms three months before death significantly affected the duration between depression diagnosis and suicide. Based on these findings, recommendations were made for early diagnosis and intervention for depression, assessment of sleep problems and anxiety symptoms in suicide risk evaluation for depressed patients, mandatory suicide prevention education for medical professionals, and expansion of social safety nets to prevent occupational and economic problems.

초록

초 록 본 연구의 목적은 우울장애의 자살위험 요인을 확인하여 우울장애 진단을 받은 사람의 자살을 예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심리부검 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살사망자 자료 중 사망 전 우울장애 진단을 받았던 210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심리부검 면담을 통해 자살사망자의 우울장애 진단 여부 및 시기를 포함하여 생애 스트레스 사건, 진단 후 자살시도력, 사망 3개월 전 음주·수면·불안 문제의 증가, 가족의 정신건강 문제 등을 조사하였고, 빈도분석과 분산분석, 다중회귀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대상자의 평균 우울장애 진단-자살사망기간은 53.42개월이었고, 전체의 3분의 1이 1년 이내에 자살사망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구 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을 통제했을 때 사망 3개월 전 수면 문제와 불안 증상의 증가가 우울장애 진단-자살사망 기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우울장애 조기 진단 및 치료적 개입, 우울장애 환자의 자살위험 평가 시 수면 문제 및 불안 증상 확인, 의료진 보수교육에 자살예방 교육 필수 포함, 직업 및 경제적 문제 예방을 위한 사회적 안전망 확충에 대해 제안하였다.

4

제43권 제4호

정신장애인의 커밍아웃이 자기낙인에 미치는 영향: 상대방의 반응에 대한 인식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Effect of Coming Out on the Self-Stigma in Persons with Mental Illness: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Others’ Reactions and Social Support
서미경(경상국립대학교) ; 이민화(국립목포대학교) ; 이진향(창신대학교)
Seo, Mi-kyung(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Lee, Min-hwa(Mokpo National University) ; Lee, Jin-hyang(Changshin University) 보건사회연구 , Vol.43, No.4, pp.289-308 https://dx.doi.org/10.15709/hswr.2023.43.4.289
초록보기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how that coming out is an effective strategy to overcome self-stigma among individuals with mental ill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levels of coming out and to verify how coming out affects self-stigma mediated by perceived others’ reactions and social support among 236 persons with mental illness using community-based mental health facilitie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coming out was highest to medical service providers, followed by relatives, friends, and coworkers, and lowest to neighbors and religious groups. Second, perceived others’ positive reaction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negative reactions. Third, coming ou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ffected by a longer treatment period and a higher social function of persons with mental illness. Fourth, coming out was significantly predictive of self-stigma mediated by perceived others’ reactions and social support. Specifically, the higher the coming out, the higher the perceived others’ positive reactions, the more increased social support, and the lower the self-stigma. Based on these findings, w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programs supporting coming out in various situations and raising awareness about coming out among service providers.

초록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자기낙인을 극복하는 전략으로서 커밍아웃의 유용성을 제안하기 위해,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정신장애인 236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커밍아웃 수준을 탐색하고 커밍아웃이 자기낙인을 감소시키는 경로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조사 대상자의 커밍아웃 수준은 의료서비스 제공자에게서 가장 높았고, 그다음 친척, 친구와 연인, 그리고 직장동료와 고용주 순이고, 이웃이나 종교모임에서의 커밍아웃 수준이 가장 낮았다. 둘째, 커밍아웃 후 상대방의 반응은 부정적 반응보다 긍정적 반응을 더 높게 인식하였다. 긍정적 반응 중 가장 인식이 높은 항목은 ‘회복될 수 있다고 격려했다’이고, 부정적 반응에서는 ‘정신장애에 대한 언급을 피했다’ 항목이 가장 높았다. 셋째, 커밍아웃의 의미 있는 예측요인은 치료기간과 사회적 기능이다. 즉, 치료기간이 길수록, 사회적 기능이 높을수록, 커밍아웃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커밍아웃이 상대방의 긍정적 반응에 대한 인식을 증가시키고, 이것이 사회적 지지를 향상시켜 자기낙인을 감소시키는 경로의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커밍아웃이 부정적 반응에 대한 인식을 낮추긴 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부정적 반응 인식의 매개효과는 검증되지 않았다. 그러나 부정적 반응을 인식하는 경우 사회적 지지가 의미 있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잘 계획되고 신중한 커밍아웃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자들은 다양한 상황에서 효과적으로 커밍아웃할 수 있도록 돕는 프로그램의 필요성과 서비스제공자의 커밍아웃에 대한 인식 제고를 제안하였다.

초록보기
Abstract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whether current laws and policies include immigrant families in social security systems essential for their social integration. The study focused on key areas such as childcare services, assistance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support for single-parent families. Specifically, it analyzed provisions of laws such as the Childcare Act, the Act on Welfar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the Single-Parent Family Support Act, the National Basic Living Security Act, and the Act on the Prevention of Domestic Violence and Protection of Victims, as well as policy documents including policy basic plans, program guides, and local government ordinances.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majority of the reviewed policies excluded immigrants of foreign nationality, with exceptions made for marriage migrants and refugees. However, some policies imposed additional requirements even on marriage migrants and refugees. Recommendations were provided to foster an inclusive environment conducive to facilitating the settlement and stability of vulnerable immigrant families through social welfare support.

초록

초 록 이 연구에서는 이주민 가족의 사회통합에 필수적인 사회보장 제도 중 영유아 보육, 장애인, 한부모가족 지원 영역을 중심으로 현행법과 정책에서 외국국적 이주민을 포함하고 있는지, 포함하고 있다면 국적 또는 체류자격과 관련해서 어떻게 규정하고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구체적으로 「영유아보육법」, 「장애인복지법」, 「한부모가족지원법」, 「국민기초생활보장법」, 「가정폭력방지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의 규정들과 정책 기본계획, 사업안내, 지자체 조례 등의 정책 자료들을 분석하였다. 검토한 결과 대부분의 정책들은 결혼이주민, 난민인정자를 제외한 외국국적 이주민을 대상에서 배제하고 있었고, 결혼이주민, 난민인정자도 일부 제도에서는 배제되거나 추가적인 요건을 충족시켜야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취약한 이주민 가족에게 필요한 사회복지 지원을 통해 안정적인 정주 기반을 마련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의 방향성에 대한 제언을 연구의 말미에 제시하였다.

6

제44권 제3호

장애발생 시기가 중고령 장애인의 경제적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자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Impact of Disability Onset Timing on Financial Retirement Preparedness of Older Adults with Disabilities: A Moderating Effect of Assets
임정민(성균관대학교) ; 양은정(한국직업능력연구원)
Lim, Jeong-Min(Sungkyunkwan University) ; Yang, Eun-Jeong(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보건사회연구 , Vol.44, No.3, pp.182-201 https://dx.doi.org/10.15709/hswr.2024.44.3.182
초록보기
Abstract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disability onset timing on financial retirement preparedness, with a specific focus on the potential moderating role of assets. Leveraging data from the 4th wave of Disability and Life Dynamics Panel (2021),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Results indicated a prevalent inadequacy in financial retirement preparedness among older adults with disabilities. Furthermore, disparities in retirement preparedness levels were observed across different disability onset timings, suggesting a potential correlation with post-onset adjustment challenges and supplementary disability-related financial burdens that may impede retirement planning. Notably, it was found that older adults with disabilities possessing greater asset portfolios exhibited heightened prospects of retirement preparedness, thus highlighting the buffering effect of asset accumulation against the adverse consequences of disability onset on retirement readiness. This underscores the pivotal significance of financial resources in formulating effective retirement strategies. Consequently, urgent attention is warranted towards the development of comprehensive, targeted policies aimed at bolstering economic retirement preparedness support mechanisms tailored to the needs of older adults with disabilities. Moreover, there is a compelling imperative to expand initiatives aimed at facilitating asset accumulation to effectively mitigate the challenges posed by disability onset in retirement planning endeavors.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발생 시기가 경제적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특히 자산이 그 관계를 조절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장애인삶패널조사의 4차 자료(2021년)를 활용하여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중고령 장애인은 경제적 노후준비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구나 본 연구는 장애발생 시기에 따라 노후준비 정도의 차이가 존재하는 결과를 도출함으로써 후천적 장애인의 장애발생 후 적응의 어려움과 장애추가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노후준비에 소홀했을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한편 중고령 장애인은 자산이 많을수록 노후준비의 가능성은 더욱 커지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자산 규모는 장애발생 시기가 노후준비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경제적 여력이 노후를 위한 대책을 세울 수 있는 핵심적 요건임을 재확인하였다. 따라서 중고령 장애인을 위한 다각적인 경제적 노후준비 지원정책과 제도의 강화·확대가 시급하며, 자산 형성 지원 프로그램도 더욱 확장될 필요성을 제기한다.

7

제44권 제3호

「장애인건강권법」 시행하에 중증 장애인이 인식하는 건강 개념과 관리 경험
The Meaning of Health for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and Their Health Care Experiences: Under the Enactment of the 'Right to Health and Access to Medical Servic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ct' of 2017
김혜진(The University of Sydney) ; 장숙랑(중앙대학교) ; 임재영(서울대학교) ; 김소영(충북대학교) ; 엽경은(충북대학교 보건과학융합연구소) ; 박종혁(충북대학교)
Kim, Hye-Jin(The University of Sydney) ; Jang, Soongnang(Chung-Ang University) ; Lim, Jae-Young(Seoul National University) ; Kim, So Young(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Yeob, Kyoung Eun(Institute of Health & Science Convergenc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Park, Jong Hyock(Chungbuk National University) 보건사회연구 , Vol.44, No.3, pp.202-225 https://dx.doi.org/10.15709/hswr.2024.44.3.202
초록보기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meaning of health from the perspectives of individuals with severe disabilities and their experiences with healthcare services since the enactment of the “Act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brain lesions, hearing loss, and visual impairment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qualitative thematic analysis method suggested by Broun and Clarke. Four themes and eleven sub-themes were identified. The person-centered meaning of health encompassed “a life of proactive management involving the physical, the mental, activities, and social participation” and “the dynamism existing in continuous interaction with society.” Despite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disability health policies, individuals with severe disabilities still face difficulties in healthcare due to insufficient and fragmented services. In conclusion, it is crucial that health policymakers adhere to the motto of the disability rights movement, "Nothing about us without us," by ensuring the participa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the development of initiatives. Furthermore, we emphasize the importance of person-centered care in disability health policies, which prioritize life activities and social participation over merely focusing on physical functional recover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중증 장애인이 인식하는 건강의 의미를 탐색하고, 「장애인건강권법」 시행 이후의 정책적 시도들에 대한 당사자의 경험을 통해 당사자 중심의 건강 정책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지체, 청각, 시각, 뇌병변장애인 활동가 중심으로 포커스그룹을 구성하고 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한 후, 질적 주제 분석을 시행한 결과 4개의 주제와 11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당사자 중심의 건강 의미는 ‘신체, 정신, 활동, 사회참여를 아우르는 주도적 관리의 삶’이자 ‘사회와 관계하며 연속선상에 있는 역동성’이었다. 「장애인건강권법」 시행 이후 장애인 건강 정책의 양적 확대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중증 장애인은 건강증진, 예방, 진료, 재활 과정에서 장애에 부합하지 않거나 분절된 서비스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결론에서는 건강 정책 기획 시 당사자 참여를 강조함과 더불어 인간 중심 케어 측면에서 기능회복만을 중시하기보다 일상생활 및 사회활동 등 삶을 영위하기 위한 목적이 고려될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초록보기
Abstract

기후변화는 우리 삶의 모든 영역에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장애인은 기후변화의 영향에 더 취약하다. 장애인은 기후변화의 영향에 직간접적으로 노출되어 있고 누구보다 더 큰 영향을 받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미진하다. 현재까지의 연구는 자연재해와 같이 위급한 상황과 관련된 연구가 대부분이며 기후변화가 바꾸어놓을 일상생활에서 받게 될 영향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이에 본 연구는 기후변화가 장애인의 일상생활에 미치는 연구에 대한 scoping review를 실시했다. Web of Science, PubMed, Scopus에서 기후변화로 인해 장애인이 일상에서 받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검색했고, 최종적으로 17개의 연구를 선정하여 이에 대한 리뷰를 실시하였다. Scoping review 결과 기후변화는 장애인의 육체적 건강과 정신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며 일상생활에서의 이동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변화로 인해 더 빈번해질 것으로 예상되는 이주의 경우에도 장애인은 더 큰 영향을 받게 될 것이며, 많은 수의 장애인이 사회적 소외계층이라는 특성이 더해져, 기후변화가 진행됨으로 인해 더 열악한 상황에 처하게 될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초록

Climate change affects every aspect of our lives, and people with disabilities are especially vulnerable. Despite people with disabilities being more directly and indirectly exposed to and affected by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than the rest, research on their unique challenges remains lacking. To date, most research has focused on the occurrence of emergencies such as natural disasters, and there is little research on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daily life. This study addresses this gap by conducting a scoping review of research on how climate change affects the daily live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Relevant studies were identified from Web of Science, PubMed, and Scopus, with a final selection of 17 articles for review. The results of the scoping review showed that climate change affects the physical and mental health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also affects their mobility in daily life. In addition, climate change is expected to increase the frequency of migrations. Consequently, people with disabilities, many of whom are already socially marginalized, are likely to be disproportionately affected and face further disadvantages as climate change progresses.

초록보기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latent subgroups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depression, and anxiety comorbidity among disaster victims and analyze their longitudinal changes. To do this, this study utilized data from the Disaster Victim Life Change Tracking Survey, which was conducted by the National Disaster Safety Research Institute.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1,069 disaster victims who participated in the 2nd and 4th waves of the survey. First, two years after the disaster, mental health latent subgroups among disaster victim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the general, at-risk, and high-risk groups). Second, four years after the disaster, mental health latent subgroups among disaster victims were categorized into two groups (the general group and the at-risk group). Third, the probability of transitioning from the general group in the second year to the at-risk group in the fourth year was 10%, while disaster victims in the at-risk and high-risk groups in the second year had probabilities of transitioning to the at-risk group in the fourth year of 41.7% and 60.8%, respectively. Fourth, for those in the general group in the second year, the probability of remaining in the general group in the fourth year was higher when the disaster was a natural disaster, income was higher, and resilience was greater compared to transitioning to the at-risk group. Fifth, regarding victims in the high-risk group in the second year, as their age increased, the probability of transitioning to the at-risk group in the fourth year was higher than remaining in the general group.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interventions dealing with the comorbidity of mental health issues among disaster victims.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재난피해자의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우울, 불안 동반이환의 잠재 집단을 유형화하고, 잠재집단 유형의 종단적 변화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국립재난안전연구원에서 제공한 재난피해자 삶의 변화 추적조사 2차와 4차 조사에 참여한 재난피해자 1,069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난피해자의 2년 차 정신건강 잠재집단은 3개 집단(일반군, 위험군, 고위험군)으로 유형화되었다. 둘째, 재난피해자의 4년 차 정신건강 잠재집단은 2개 집단(일반군, 위험군)으로 유형화되었다. 셋째, 2년 차에 일반군이었던 재난피해자가 4년 차에 위험군으로 전이될 확률은 10%였고, 2년 차에 위험군과 고위험군이었던 재난피해자가 4년 차 위험군으로 전이될 확률은 각 41.7% 60.8%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2년 차 일반군의 경우 자연재난일수록, 소득이 높을수록, 회복탄력성이 높을수록 4년 차 위험군보다는 일반군에 속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2년 차 고위험군 재난피해자의 연령이 높을수록 4년 차 일반군보다는 위험군으로 전이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재난피해자의 정신건강 문제의 동반이환에 관한 구체적인 실천적, 정책적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10

제44권 제3호

신문기사가 정신장애인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ews Stories on the Public’s Attitude toward People with Mental Illnesses
서미경(경상국립대학교) ; 이민화(국립목포대학교)
Seo, Mi-kyung(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Lee, Min-hwa(Mokpo National University) 보건사회연구 , Vol.44, No.3, pp.295-314 https://dx.doi.org/10.15709/hswr.2024.44.3.295
초록보기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he public’s attitudes regarding news stories: recovery news (experimental group 1) and information news (experimental group 2), compared to general health news (control group). A total of 144 college students were separated into three groups. Participants were first exposed to news stories concerning crimes perpetrated by persons with mental illness, after which they were randomly assigned one of the three news stories. ANCOVA and paired t-tests were conducted to compare pre- and post-test scores on attitudes and understandings of mental health (such as stigma, causes, and treatmen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s in any of the CAMI sub-factors, therapeutic stigma, or causes. However, within the experimental groups, authoritarianism and attributing social causes to mental illness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recovery news group. On the other hand, benevolence and awareness of professional treatment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information news group.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positive news, such as stories of individuals recovering from mental illnesses.

초록

본 연구는 미디어가 정신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낙인의 주요 근원이라는 전제를 가지고 신문기사 내용에 따른 대중의 낙인태도와 인식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대학생 144명을 대상으로 정신장애인에 의한 범죄기사(표적기사)와 함께 당사자 회복기사(긍정적 기사, 실험집단1), 정보제공기사(객관적 기사, 실험집단2), 정신장애와 무관한 일반건강기사(통제집단) 중 하나를 무작위로 배부하였다. 그리고 정신장애인에 대한 태도와 정신건강 치료에 대한 인식(치료적 낙인, 원인, 전문적 치료인식)의 사전, 사후점수를 측정하고 공분산분석, 대응표본 t-test를 활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정신장애인에 대한 태도의 하위요인 모두 세 집단 간 사전, 사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개별 집단 내 사전, 사후점수 변화를 비교한 결과, 회복기사 집단에서는 권위주의가 감소하였고, 정보제공기사 집단에서는 자비심이 의미 있게 증가하였다. 둘째, 정신건강 치료에 대한 인식 중, 치료적 낙인은 세 집단 간 사전, 사후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전문적 치료인식은 세 집단 중 정보제공기사 집단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개별 집단 내 비교에서는 회복기사 집단이 정신장애의 원인을 사회적 요인으로 보는 경향이 낮아졌고, 정보제공기사 집단의 전문적 치료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자들은 제한적이지만 긍정적 기사의 효과를 확인하였으므로, 특히 회복 과정을 다룬 개인적 스토리를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보도할 것을 제안하였다.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