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2개 논문이 있습니다.

1 기획 노르웨이의 저출산 현상 및 정책 시사점Low Fertility in Norway and Policy Implications
트루데 라페고르드(오슬로대학교 사회인문지리학과 교수) ; 악셀 페테르 크리스텐센(오슬로대학교 사회인문지리학과 박사연구원)
Lappegard, Trude(University of Oslo, Department of sociology and Human geography) ; Kristensen, Axel Peter(University of Oslo, Department of sociology and Human geography)
2023년 가을호, 통권 26호, pp.5-15 https://doi.org/10.23063/2023.09.1
초록보기
Abstract

For the last five years, fertility levels in Norway have reached new historical lows every year. The conditions in the Norwegian labor market have been and still are quite good. At the same time, the government offers generous policies when people have children, meaning we must search elsewhere for explanations for the decline in fertility than family policies. According to the uncertainty perspective, people in an uncertain economic situation or people viewing the future as more economically uncertain, may be more hesitant to have children. We argue that future fertility trends must be considered in relation to possible changing preferences where people may give higher priorities to other activities than having children, the role of men’s fertility trajectories and the consequences of a shift in the social inequality in fertility.

초록

지난 5년간 노르웨이의 출산율은 해마다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다. 노르웨이의 노동시장 여건은 과거나 지금이나 상당히 양호한 편이다. 아울러 정부는 출산 가구를 대상으로 관대한 정책을 시행해 왔다. 따라서 출산율 저하의 원인을 가족정책 외에 다른 곳에서 찾아야 한다. ‘불확실성’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불확실한 경제적 상황에 처해 있거나 미래를 경제적으로 불확실한 것으로 여기는 사람들은 자녀 갖기를 더 주저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사람들의 선호도 변화 가능성(자녀를 갖는 것 이외의 활동에 더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할 수 있는), 출산 궤적(fertility trajectory)에서 남성이 담당하는 역할, 출산과 관련된 사회적 불평등의 변화가 미치는 영향 등을 미래의 출산 동향(fertility trend)과 관련지어 논의한다.

2 기획 사회 정책 계획 또는 평가를 위한 노르웨이 행정 데이터 활용Using Norwegian Administrative Data for Social Policy Planning or Evaluation
로위 닐센(노동 및 사회연구를 위한 Fafo 연구소)
A., Roy(Fafo Institute for Labour and Social Research)
2020년 가을호, 통권 14호, pp.30-37 https://doi.org/10.23063/2020.09.3
초록보기
Abstract

초록

이 글에서는 개인 고유식별번호로 연결되는 노르웨이 행정등록부 데이터(Norwegian administrative register data)를 소개하고 이 데이터가 다양한 분야에서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살펴보았다. 다양한 정보로부터 오는 노르웨이 행정등록부 데이터는 전체 인구를 대상으로 하는 데이터로서 개인의 장기간 이력을 추적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사회 정책 연구에 활용된 몇 가지 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Global Social
Security Re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