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도자료

한국의 미혼 남성은 미혼 여성보다 19.6% 많고, 결혼성비 불균형은 비수도권이 전국 평균보다 높아

  • 작성일 2024-06-17
  • 조회수 721

한국의 미혼 남성은 미혼 여성보다 19.6% 많고(2021년 기준),

결혼성비 불균형은 비수도권이 전국 평균보다 높아


- 한국은 1970년부터 약 30년간 자연성비를 초과한 출생성비 불균형 지속돼

- 경북·경남은 1980~90년대의 출생성비가 타 지역에 비해 매우 불균형…현재 결혼성비 불균형도 가장 심각

- 출생성비 불균형 세대가 결혼 적령기에 이르면 결혼성비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어


 이 자료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수행한 학술연구 결과이며, 국가승인통계가 아님을 밝혀둠.

※ 이 글은 조성호 외(2023), 『출생성비 불균형에 따른 혼인 특성과 정책적 함의』 보고서의 일부 내용을 수정·보완·재구성하여 작성한 것임.


□ 한국보건사회연구원(원장 직무대행 강혜규)은 『보건복지 이슈앤포커스』 제449호 '한국의 출생성비 불균형과 결혼성비'를 발간했다. 연구책임자는 인구정책기획단 조성호 부연구위원이다.


□ 조성호 부연구위원은 “한국의 출생성비는 1970년대부터 자연성비를 초과하기 시작하여 약 30년간 불균형을 유지해 왔다”며 “출생성비 불균형 상황에서 태어난 이들이 재생산 연령에 이르게 되면 결혼성비의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다는 문제의식에 따라 이 연구를 수행했다.”고 말했다.


□ 그는 “2021년 기준으로 미혼 남성이 미혼 여성보다 19.6% 더 많으며, 이러한 불균형은 수도권보다 비수도권이 더 심각하다.”면서 “수도권은 전국 평균보다 결혼성비 불균형이 작고, 비수도권은 전국 평균보다 결혼성비 불균형이 크다.”고 지적했다.


□ 또한 그는 “결혼성비의 불균형이 가장 심각한 지역은 경상북도와 경상남도인데, 이 지역들은 미혼 남성이 미혼 여성보다 30%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이들 지역은 1980~90년대의 출생성비가 타 지역에 비해 매우 불균형하다는 특징이 있다.”고 덧붙였다.


■ 아래는 이슈앤포커스에 실린 주요 내용 요약이다.


주요 내용


□ 한국의 출생성비는 1970년대부터 조금씩 자연성비를 넘어서기 시작하여 1980년 초반부터 2007년 정도까지 약 30년 동안 자연성비보다 높은 수준이 유지되었음. 이는 출생성비 불균형 상황에서 태어난 이들이 재생산 연령대에 이르렀을 때, 결혼성비의 불균형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을 것이라는 문제의식에 따라 이 연구를 수행함.


□ 분석을 위해 현재 미혼 인구의 성비, 미혼 인구의 가상 매칭 지표, Schoen(1983)의 S 지표를 산출함.


□ 분석 결과, 1990년 초반에는 결혼성비 불균형이 존재하지 않았으나 2000년대 중반 이후 결혼성비가 악화되기 시작하여 2021년에는 전국적으로 미혼 남성이 미혼 여성보다 19.6% 많은 것으로 나타남. 특히 지방의 상황은 이보다 훨씬 더 악화된 것으로 나타남.


◇ 한국의 출생성비 추이


 한국의 출생성비는 1970년대부터 자연성비를 초과하기 시작해 1980년대 후반부터 지속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했음. 1990년대 중반 이후 출생성비는 낮아지기 시작해 2007년부터 자연성비 범위 안으로 들어옴.


 출생성비 불균형 발생에는 세 가지 조건이 있음.

○ 남아선호사상(son preference)

○ 출산율의 급격한 감소로 인한 자녀의 성(sex) 선택 욕구 증가(가족계획사업 등)

○ 자녀의 성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의 공급(초음파 검사 등)

- 우리나라의 출생성비 불균형은 1980년대 초중반부터 상기의 세 가지 조건에 부합하였기 때문에 발생한 것이라고 볼 수 있음.


 1970년부터 약 30년 이상 출생성비가 자연성비를 넘어서는 수준이 지속되었다는 것은 이들이 재생산 연령대에 접어들었을 때 결혼성비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할 수 있음.


 이처럼 결혼성비에서 어느 한쪽 성별의 수가 많거나 적은 결혼성비 불균형(squeeze)에 대해 국외에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임.


※ 결혼성비 불균형(marriage squeeze): 결혼성비에서 어느 한쪽 성별의 수가 많거나 적은 현상


 이 글에서는 한국의 출생성비 불균형이 재생산 연령대의 인구구조(결혼성비)에 미친 영향에 관한 분석을 위해 ①현재 미혼 인구의 성비 ②미혼 인구의 가상 매칭 지표 ③Schoen(1983)의 S 지표를 산출함.




◇ 코호트별 미혼 인구·미혼율·성비


□ 2020년 시점에서 1970~2020년 코호트의 미혼 인구, 미혼율, 성비를 산출함.

○ 1985년 코호트(35세)의 미혼율은 남성 46.5%, 여성 29.1%로 남성의 절반 정도가 미혼인 것으로 나타남.

○ 성비의 경우, 최근 코호트로 올수록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남.

- 이는 미혼으로 남게 되는 경향이 여성보다 남성에게 강하게 나타나는 것을 의미함.




◇ 미혼 인구의 가상 매칭 지표


 현재의 미혼 인구가 일대일로 모두 매칭된다고 가정할 경우의 수치를 산출하여, 매칭 이후 남는 인구 규모를 살펴보려 함.

○ 앞서 살펴본 코호트별 성비는 단지 동일 연령에서의 성비를 나타내는데, 실제 남녀 간의 매칭(결혼)은 동일 연령에서만 일어나는 것은 아니므로 결혼하는 남녀 간의 연령 차가 평균 3세임을 고려하여 지수를 산출함.


 지표 산출 결과, 1985년부터 1990년은 남성보다 여성의 미혼자 수가 더 많았지만, 1990년 이후부터는 남성이 더 많으며 증가 속도도 매우 빠름.

○ 이는 현재의 결혼 연령 차이를 감안하여 1:1 매칭이 모두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남성 미혼 인구가 매우 많이 남게 된다는 것을 의미함.


◇ Schoen(1983)의 S 지표


※ S지표: Schoen이 1983년에 발표한 것으로, 미혼 인구의 성비와 연령별 결혼구조를 고려하여 산출


 S 지표 산출 결과 (그림 2)

○ 2000년대 중반 이후 남성 인구의 10% 이상이 결혼하기에 불리한 구조가 된 것으로 나타남.

○ 1991년의 S 지표는 거의 0에 가까웠으나 2005년에는 -0.13으로 감소하여 비율적으로는 결혼에 있어서 남성이 여성보다 약 13.0% 불리하다고 볼 수 있음.

○ 이는 미혼 인구의 성비와 결혼 패턴을 고려할 때 남성 미혼 인구가 여성 미혼 인구보다 약 13% 많다는 것을 의미함.




□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의 S 지표 분석 (그림 3)

○ 최근 청년들의 수도권 이동에 따른 지방소멸 문제가 대두되고 있으므로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의 S 지표를 산출함.

○ 수도권은 전국 평균보다 결혼성비 불균형이 작고, 비수도권은 전국 평균보다 결혼성비 불균형이 큼.




□ 2021년의 S 지표 분석 (표 3)

○ 전국적으로 미혼 남성이 미혼 여성보다 19.6% 많음.

○ 서울시는 성비 차이가 거의 없음.

○ 결혼성비의 불균형이 가장 심각한 지역은 경상북도와 경상남도임.

- 이 지역은 미혼 남성이 미혼 여성보다 30% 이상 많으며, 1980~90년대 출생성비가 타 지역에 비해 매우 불균형하다는 특징이 있음.




※ 이슈앤포커스 제449호 원문 보기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5323



첨부: 보도자료 원문 1부. 끝.

첨부파일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 이용허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