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도자료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자활지원사업 디지털 역사관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MOU) 체결

  • 작성일 2024-05-10
  • 조회수 234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자활지원사업 디지털 역사관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MOU) 체결


- 자활지원사업 발자취 정리하고 관련 기록 체계적으로 보존해 후대 전승 기반 마련

- 자활사업 성과와 한계 분석해 제도 개선 및 정책 발전 도모할 계획

- 자활지원사업 이해도 높이고 사회적 관심 제고할 것으로 기대돼


□ 한국보건사회연구원(원장 이태수)은 5월 9일(목) 오후 5시 30분, 한국자활복지개발원 중회의실에서 한국자활복지개발원(원장 정해식), 한국지역자활센터협회(협회장 이재호)와 「자활지원사업 디지털 역사관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좌측부터 이태수 한국보건사회연구원장, 정해식 한국자활복지개발원장, 이재호 한국지역자활센터협회장


□ 이번 업무협약은 자활지원사업이 우리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제대로 조명받지 못했던 점에 주목하여, 자활지원사업의 역사적 가치를 재조명하고 관련 정책 발전에 기여하고자 추진되었다.


□ 협약 체결식에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태수 원장, 빈곤불평등연구실 노대명 선임연구위원, 빈곤불평등연구실 정은희 연구위원, 빈곤불평등연구실 조보배 연구원 ▲(한국자활복지개발원)정해식 원장, 자활정책지원실 안미현 실장, 이상아 선임연구원 ▲(한국지역자활센터협회)이재호 협회장, 이문수 사무총장 및 관계자가 참석했다.


□ 협약의 주요 내용은 △자활지원사업 관련 역사적 문서, 기록, 데이터 등 자료의 체계적 수집 및 안전한 보존 △자활지원사업의 역사적 발전과 영향력에 대한 공동 연구 수행 △연구 결과와 수집 자료의 디지털 역사관 보존 및 교육·홍보 활용 △자활지원사업 디지털 역사관 구축을 위한 기관 간 TF 구성 및 공동 프로젝트 추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 이번 협약에 참여하는 3개 기관은 자활지원사업과 밀접한 연관을 맺어왔다.

○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국무총리실 산하·경제인문사회연구회 소관의 보건복지 정책을 연구하는 국책 연구기관으로서, 자활지원사업을 포함한 빈곤·복지 정책 연구를 수행하여 자활지원사업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 정책적 기반을 마련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 한국자활복지개발원은 보건복지부 산하 자활복지 전문 기관으로, 다양한 자활 일자리 운영 모델을 개발·확산하고 자활 관련 교육 및 지원 등을 통해 참여자의 자활 역량 성장을 지원한다.

○ 한국지역자활센터협회는 전국 250개 지역자활센터를 아우르는 협의체로서, 자활사업 참여자의 효과적인 자립 지원과 지역자활센터의 균형적인 발전을 주도하고 있다.


□ 이태수 한국보건사회연구원장은 “그동안 자활지원사업이 우리 사회에서 담당해 온 역할과 의의를 되돌아보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과제”라며, “이번 협약을 계기로 자활지원사업의 다양한 성과와 의미를 재조명하고, 향후 발전 방안을 함께 고민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붙 임] 업무협약식 개요


□ 협 약 명: 자활지원사업 디지털 역사관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

□ 협약 목적: 자활지원사업에 관련된 중요한 역사적 사료를 수집하고 보존하며, 이를 연구하고 교육적으로 활용해 자활지원사업과 관련된 지식과 이해를 증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협약 일시: 2024. 5. 9.(목) 17:30

□ 협약 기간: 2024. 5. 9. ~ 2027. 5. 8. (3년)

□ 체결 장소: 한국자활복지개발원 중회의실 *서울시 서대문구 통일로135

□ 협약 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자활복지개발원, 한국지역자활센터협회


□ 주요 협약 내용

○ 자활지원사업 관련 역사적 문서, 기록, 데이터 등 자료의 체계적 수집 및 안전한 보존

○ 자활지원사업의 역사적 발전과 영향력에 대한 공동 연구 수행

○ 연구 결과와 수집 자료의 디지털 역사관 보존 및 교육·홍보 활용

○ 자활지원사업 디지털 역사관 구축을 위한 기관 간 TF 구성 및 공동 프로젝트 추진



첨부파일: 보도자료 원문 1부.  끝.

첨부파일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 이용허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