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2019년 가을호, 통권 10호 2019 가을호, Vol.10

스웨덴 국제개발협력의 주요 정책 및 전략 동향

The Latest Trends of Sweden Development Cooperation Policy and Strategy

초록

스웨덴 정부는 국제개발협력의 주요 목표를 ‘가난하고 억압받는 사람들을 위해 더 나은 삶의 전제 조건을 만드는 것’으로 설정하고, 권리 및 빈곤층 중심 접근법을 토대로 공평하고 지속 가능한 지구적 발전(Equitable and Sustainable Global Development)을 이루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경주해 왔다. 빈곤 퇴치와 불평등 해소를 위해 2015년 채택된 전 지구적 목표인 지속가능개발목표(SDG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를 달성하는 일 역시 스웨덴 국제개발협력의 주요한 정책 방향으로서, 최근 관련 정책 수립 및 조직과 체계 정비 등의 움직임이 역동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스웨덴이 개발협력을 통해 인권과 민주주의, 성평등 이슈를 해결하기 위해 기울인 노력은 국제사회로부터 높게 평가받고 있다. 이러한 스웨덴의 경험은 최근 평화와 인권, 성평등 및 지속가능개발 의제 실행을 위한 전략 수립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한국 국제개발협력에 주는 시사점이 크다.

1. 들어가며

최근 몇십 년 동안 세계의 빈곤과 불평등에 대한 국제사회의 지속적인 노력으로 중요한 진전이 있었다. 절대적 빈곤은 크게 감소했고 더 많은 사람들이 의료서비스와 교육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한편에서는 새로운 위기와 난제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 2010년 이후 인도적 지원이 필요한 인구는 30만 명에서 약 1억 3500만 명으로 늘었다(UN OCHA, 2018). 지난 30년간 세계적으로 분쟁이 발생하고 국가 취약성이 현저히 악화되었으며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분쟁과 갈등 상황에 노출되었다. 약 80%에 달하는 국제적 인도지원자금이 취약 국가와 분쟁국의 사태 대응에 활용되었다. 기후변화 또한 빈곤 지역과 취약계층을 더욱 위협하고 있다. 오늘날 극빈 상태인 8억 3600만 명의 사람 중 거의 절반이 이와 같은 취약한 환경에서 살고 있으며, 이대로라면 2030년에는 이 비율이 80%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OECD, 2019a). 인권과 민주주의 측면에서도 여러 나라들이 위기에 처해 있다. 특히 시민사회 활동 공간이 축소되고 제약이 늘어나는 상황은 빈곤과 불평등한 구조를 악화하는 데 영향을 주고 있다.

스웨덴 정부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앞장서고자 지구상의 가장 가난하고 취약한 사람들이 그들의 삶과 미래를 형성할 수 있는 조건과 환경을 만들고 지원하는 것을 국제개발협력의 목표로 두고 있다. 2030 지속가능개발 의제 이행으로 지구적 도전 과제에 대해 국제사회가 공동으로 노력하고 지속 가능한 미래 구축에 기여하는 것 또한 스웨덴 국제개발협력의 중요한 지향점이다. 관련 정책과 전략 수립 및 실행을 통해 스웨덴은 국제사회에서 글로벌 공공재 지원, 인권 증진, 분쟁 방지와 평화 구축, 인도적 지원 등 빈곤과 불평등을 야기하는 글로벌 도전 과제 해결에서 적극적이며 신뢰받는 행위자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인권과 민주주의, 성평등, 기후변화, 평화와 분쟁 예방 분야에서 선도 역할을 자임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스웨덴 국제개발협력의 주요 정책과 전략의 최신 동향을 살펴보고, 한국 국제개발협력에 주는 시사점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2. 스웨덴 국제개발협력의 목적과 주요 정책

가. 스웨덴 국제개발협력의 주요 목표와 우선순위

스웨덴 정부는 자국의 원조와 국제개발협력의 주요 목표를 ‘가난하고 억압받는 사람들을 위해 더 나은 삶의 전제 조건을 만드는 것’으로 설정하고, 이를 아래 [그림 1]에 나타난 것처럼 6가지 하위 목표로 세분화했다(Government Offices of Sweden, 2013). 또한 6개 하위 목표 모두에 적용하는 3대 주요 우선순위로 민주주의와 인권, 환경과 기후, 성평등과 개발에서의 여성의 역할을 설정했다. 스웨덴은 또한 2003년 국회에서 채택한 국제개발협력 기본 정책 문서인 「공동책임: 국제개발을 위한 스웨덴의 정책(Shared Responsibility: Sweden’s Policy for Global Development(PGD))」를 근간으로 ‘공평하고 지속 가능한 지구적 발전(equitable and sustainable global development)’을 범정부적 차원의 국제개발 목표로 명시하고 있다. 이 문서를 통해 국제개발협력 정책이 외교, 안보 및 국제 경제, 환경 정책과의 일관성을 도모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으며, 새천년개발목표(MDGs: Millennium Development Goals)와 같이 국제사회가 합의한 개발목표와 연계하고 있다. 또한 스웨덴 국제개발협력의 주요 정책 요소로 1) 인권 존중 2) 민주주의 및 굿거버넌스 3) 성평등 4) 지속 가능한 자원 활용과 환경보호 5) 경제 발전 6) 사회 발전 및 안보 7) 분쟁 관리 및 인간 안보 8) 글로벌 공공재와 도전 과제를 제시하였다. 이와 동시에 권리 중심 접근법, 빈곤층 중심 접근법을 전 분야에 걸친 정책 결정과 사업 실행에 적용하는 접근법으로 채택하였다(곽재성 외, 2018).

새창으로 보기
그림 1.
스웨덴 개발협력 정책의 목적: 공평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에 기여
gssr-10-23-f001.tif

자료: Government Offices of Sweden. (2013). Aid Policy Framework: The Direction of Swedish Aid. Government Communication 2013/14:131. Ministry for Foreign Affairs. p.15.

스웨덴 정부는 이후에도 PGD를 뒷받침하는 정책과 전략 문서를 꾸준히 개발했다. 2014년에는 PGD에 요약된 다양한 관점과 정책 영역 간의 우선순위를 명확히 하기 위해 「원조 정책 틀: 스웨덴 원조의 방향(Aid Policy Framework: The Direction of Swedish Aid)」를 작성했다. 이 정책 문서는 특히 빈곤에 대한 다차원적 접근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궁극적인 억압의 형태인 폭력과 무력 충돌을 언급하며 갈등과 분쟁 상황에 처한 지역 및 ‘억압받는 사람들’에 대한 주의를 환기시켰다(Government Offices of Sweden, 2013).

2016년에는 기존에 산재해 있던 관련 정책 문서들을 정비하고 새롭게 구성된 정부의 외교 정책과 유엔에서 채택한 지속가능개발 의제에 더욱 체계적으로 접근하기 위해 「스웨덴 개발협력 및 인도주의적 지원을 위한 정책 틀(Policy Framework for Swedish Development Cooperation and Humanitarian Assistance)」을 작성해 2014년의 정책 프레임워크를 대체했다. 이 문서에서는 개발협력이 스웨덴 외교 정책의 핵심 구성 요소이며, 권리와 빈곤층 중심의 개발 관점을 고려한 정책 일관성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더불어 갈등 관점과 환경 및 기후, 성평등 관점을 스웨덴 국제개발협력을 아우르는 통합적 접근법으로 명시했다. 또한 이전 정책 문서에는 포함시키지 않았던 인도적 지원 전략을 개발협력과 연계하기 위한 노력을 구체화하고, 지속가능개발목표(SDG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의 17개 목표에 부합하는 8개 세부 주제를 설정했다. 8개 세부 주제는 1) 인권, 민주주의 및 법의 지배 원칙 2) 성평등 및 보건 3) 교육 및 연구 4) 이주와 개발 5) 포용적 경제개발 6) 환경, 기후 및 천연자원 7) 평화롭고 포용적인 사회, 8) 글로벌 성평등으로 나뉘어 있다(곽재성 외, 2018).

새창으로 보기
그림 2.
스웨덴 국제개발협력의 통합적 접근법 및 8개 세부 주제
gssr-10-23-f002.tif

자료: Government Offices of Sweden. (2016). Policy framework for Swedish development cooperation and humanitarian assistance. Government Communication 2016/17:60.

유럽연합(EU)의 주요 회원국인 스웨덴은 특히 노르딕 정체성을 강조하며 인권과 민주주의, 세계시민적 가치 확산에 기여하고 있다. 각각의 가치에 대한 강조뿐만 아니라 노르딕 국가들의 국제개발협력과 원조 수행이 인도적 목적을 우선시한다는 점과 긴밀히 연결되어 있다. 특히 미국, 일본과 달리 원조의 도덕성을 강조하며 정치경제적 이해관계를 떠나 빈곤으로 인해 권리를 침해받고 억압받는 이들을 지원하는 것이 당연하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Government Offices of Sweden, 2016, p. 6).

나. 지속가능개발 의제와 SDGs 이행을 위한 정책적 노력

스웨덴은 2030 지속가능개발의제 이행에서 글로벌 리더가 되겠다는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내부 조직 체계를 정비하고 이행 프로세스를 구축했다. 스웨덴 정부의 SDGs 이행 프로세스는 2016년 1월 공식적으로 시작되었는데, 가장 먼저 정부, 시민사회, 지자체, 학계 및 민간 부문 대표 등 사회 전반의 관련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국가대표단(National Delegation)이 꾸려졌다. 이와 함께 전 부처에서 SDGs 이행 계획을 수립하고 점검하도록 조치했다(Government Offices of Sweden, 2017b). 그 결과 2018년 6월에 SDGs 이행을 위한 스웨덴 정부의 통합적 행동계획인 「2030아젠다를 위한 스웨덴 정부의 통합적 행동계획 (Sweden’s action plan for the 2030 Agenda)」를 채택했다. 이 행동계획은 SDGs 이행을 위한 6대 중점 분야를 명시하고 있는데, 이는 1) 사회적 평등과 성평등(social equality and gender equality) 2) 지속 가능한 사회(sustainable society) 3) 사회적으로 유용하고 순환적이며 바이오에 기반을 둔 경제(socially beneficial, circular and bio-based economy) 4)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동반한 강한 비즈니스 분야(strong business sector with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5) 지속 가능하고 건강한 먹이사슬(sustainable and healthy food chain) 6) 지식과 혁신(knowledge and innovation)이다(Government Offices of Sweden, 2017c).

이후 스웨덴 정부는 SDGs의 모든 세부 목표에 대한 국가 지표를 작성하고 진행 상황을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통합 추적 시스템을 만들기 시작했다. SDGs의 이행에서 스웨덴의 적극적인 노력과 성과는 최근 발표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개발원조위원회(DAC: 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의 동료 검토(Peer Review) 보고서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았다(OECD, 2019b, p. 27).

다. 다차원적 빈곤 접근법

2030 지속가능개발 의제에 대한 또 다른 노력으로 스웨덴은 “누구도 소외되지 않도록 한다(Leave no one behind).”라는 슬로건을 실행하기 위해 빈곤에 대한 다차원적 분석을 시도하고 있다. 스웨덴 정부는 이 명제를 2016년 정책 프레임워크에 명확히 명시하였고, 이어 2017년에는 스웨덴의 국제개발협력 대표 기구인 스웨덴 국제개발협력청(Sida: Swedish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Agency)와 함께 다차원적 빈곤 접근법(MDPA: Multidimensional Poverty Approach)을 개발했다(Sida, 2017). MDPA는 빈곤을 물질적 자원의 결핍(resources)뿐 아니라, 기회와 선택(opportunities and choice), 권력과 목소리(power and voice), 인간 안보(human security) 결여의 문제로 간주한다. 이는 구체적으로 누가 가난하게 살고 있는지, 다른 집단에서는 빈곤이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는지, 왜 빈곤이 발생하는지 등을 위 4가지 차원에서 총체적으로 살펴보고 분석하는 것에서 시작된다. 더불어 경제적·사회적 맥락, 정치 및 제도적 맥락, 갈등 및 평화적 맥락, 환경적 맥락에 따라 빈곤의 양상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확인함으로써 가난한 사람들의 관점을 실질적으로 반영하여 스웨덴 국제개발협력의 효과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새창으로 보기
그림 3.
빈곤의 4가지 차원과 개발의 맥락 분석 모델
gssr-10-23-f003.tif

자료: Sida. (2018a). Poverty Toolbox. https://www.sida.se/Svenska/publikationer/159894/poverty-toolbox/

라. 인권에 기반한 개발협력

스웨덴 정부는 오랫동안 외교 정책의 연장선상에서 인권을 스웨덴 국제개발협력 정책의 가장 근본적인 가치로 설정해 왔다. 인권 존중과 이를 보장하는 국제법은 스웨덴 외교 정책의 근간이자 지속가능개발의 전제 조건으로 인식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스웨덴 국제개발협력의 목적은 빈곤 국가 국민들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해 노력하는 것으로 권리, 빈곤층 중심, 갈등 및 분쟁, 환경 및 기후, 성평등의 5대 관점을 국제개발협력 사업의 기획, 실행, 모니터링과 평가 등 전 단계에서 고려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인권은 전 영역에 적용되는 주류화(mainstreaming)의 대상인 동시에 그 자체로 달성해야 할 목적이며, 스웨덴 정부가 지원해야 할 필수 영역으로 간주된다.

스웨덴 정부는 불평등한 권력 분배로 인한 결핍을 빈곤의 원인으로 상정하고 있다. 빈곤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인권과 민주주의 증진을 통해 권력 구조를 개선해야 한다는 관점을 견지하고 있으며, 이에 인권과 민주주의는 동일한 정책과 전략 내에서 일관적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스웨덴 국제개발협력의 인권과 민주주의 정책에 대한 기본적 전제는 ‘인권은 보편적이고 상호 의존적이며 불가분적’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전제를 바탕으로 스웨덴 정부의 개발 지원 사업은 첫째 시민적·정치적 권리 증진, 둘째 민주주의와 법의 지배 원칙에 대한 제도와 절차 강화, 셋째 민주주의적 요소 증진과 강화의 3가지 영역에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있다(곽재성 외, 2018).

인권과 민주주의에 대한 관점은 2016년에 수립된 정책 프레임워크에서 더욱 강조되고 있다. 스웨덴은 인권과 민주주의 측면에서 최근 많은 국가들이 큰 위기에 직면해 있다고 진단하고, 이에 대해 스웨덴이 지니고 있는 국제적 차원의 협력을 촉진하는 독특한 지위와 신뢰를 활용해 더 큰 역할을 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인권과 민주주의에 대해서만큼은 스웨덴 국제개발협력의 정책 방향이 2030 지속가능개발 의제가 합의한 것보다 훨씬 더 강력한 정치적 의지를 담고 있음을 천명함으로써 이를 뒷받침한다. 이 문서에서 제시한 국제개발협력의 주요 8가지 주제 중 ‘인권, 민주주의 및 법의 지배 원칙’이 첫 번째 주제로 명시된 것은 이에 대한 스웨덴 정부의 우선순위를 보여 준다.

3. 공적개발원조 지원 실적으로 보는 스웨덴 국제개발협력

2018년 기준으로 스웨덴은 OECD DAC 공여국 중 국민총소득(GNI) 대비 공적개발원조(ODA: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지출 규모가 가장 큰 국가에 속한다. 스웨덴의 양자 간 원조는 특히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국가들 중 가장 덜 발전된 국가들을 지원하며, 민주주의 증진, 시민사회 및 성평등을 지원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스웨덴은 국제기구에 유연하고 예측 가능한 자원을 제공함으로써 다자간 원조 중 많은 부분을 유엔 시스템에 할당해 왔다. ODA 지출 규모는 최근 DAC 회원국이 2018년 ODA 통계 보고부터 사용하기로 한 증여등가액(grant-equivalent)1) 적용 시 총 58억 달러이다. 이는 GNI의 1.04% 규모이다. 스웨덴은 유엔이 제시한 목표, 즉 GNI 대비 0.7%를 ODA로 제공하기로 한 목표를 달성한 7개 국가 중 하나이다.2)

새창으로 보기
그림 4.

스웨덴 전체 ODA 규모(2008~2018년)

gssr-10-23-f004.tif

자료: OECD 웹사이트. https://www.oecd-ilibrary.org에서 2019. 9. 9. 인출.

새창으로 보기
그림 5.

스웨덴 GNI 대비 ODA 규모(2008~2018년)

gssr-10-23-f005.tif

자료: OECD 웹사이트. https://www.oecd-ilibrary.org에서 2019. 9. 9. 인출.

2017년 스웨덴의 전체 양자 ODA(미화 약 10억 달러)의 26.9%가 최빈국(LDCs: Least Developing Countries)에 배정되었는데, 이는 GNI 대비 0.31%로 DAC 국가들의 평균인 23.5%를 초과하고, 유엔의 목표치인 GNI 대비 0.15~0.20% 역시 초과한 수치다. 분야별로는 정부 및 시민사회(8억 7000만 달러) 지원을 중심으로 양자 ODA의 39.7%가 사회 인프라와 서비스 제공에 할당되었다. 인도주의적 지원은 3억 9200만 달러에 달했다.

재차 강조된 인권 및 민주주의 증진에 대한 정책 방향은 ODA 지출 현황에도 잘 나타나고 있다. 2017년 기준 양자 ODA의 23%(9억 600만 달러)가 굿거버넌스와 시민사회 분야에 할당되었다. 이는 DAC 평균이 9%에 그치는 것과 대비했을 때 매우 높은 수치이다. 이 분야 중 4억 1900만 달러가 시민사회와 인권 신장을 목표로 지출되었고 1억 6600만 달러는 갈등, 평화 및 안보 분야에 소요되었다. 성평등 및 여성의 자력화 관련 지원은 22억 달러 규모로 양자 ODA의 87.2%에 달해 DAC 국가 평균 36.3%보다 2배 이상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스웨덴 국제개발협력의 전 영역에 걸친 성평등 주류화에 대한 정치적 의지가 강력하게 실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대목이다.

새창으로 보기
그림 6.

소득 그룹별 ODA 지원 비율(2008~2018년)

gssr-10-23-f006.tif

자료: OECD 웹사이트. https://www.oecd-ilibrary.org에서 2019. 9. 9. 인출.

새창으로 보기
그림 7.

분야별 ODA 지원 비율(2008~2018년)

gssr-10-23-f007.tif

자료: OECD 웹사이트. https://www.oecd-ilibrary.org에서 2019. 9. 9. 인출.

ODA 실적에서도 드러났듯이 스웨덴은 정책과 실행의 일관성을 도모하고 이를 통해 국제개발협력의 목적을 지속적으로 이행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 다차원적 빈곤 접근법을 통한 최빈국, 빈곤층 및 취약계층 중점 지원, 인도적 목적 우선 지원, 인권 및 성평등 등 보편적 가치 확산에 기여해 온 점은 스웨덴이 지속 가능한 미래 구축을 위한 글로벌 리더로 자리매김해 나가고 있음을 재확인해 준다.

4. 결론

스웨덴 국제개발협력 정책 및 전략과 이를 이행하기 위한 국가적 노력이 한국 국제개발협력에 주는 가장 큰 교훈은 스웨덴 정부가 국제개발협력을 통한 지구촌 공동의 과제 해결에 매우 강력한 정치적 의지를 갖고 있다는 점이다. 외교 정책의 일환인 개발협력 역시 인권에 기반을 두고 있다는 점도 스웨덴 국제개발협력의 명확한 가치 지향과 정체성 확립에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또한 스웨덴은 정부 부처와 국회, Sida와 같은 시행 기관과 시민사회, 민간 기관 등 모든 관련 행위자가 자국의 국제개발협력에 자부심을 갖고 국제 무대에서 적극적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지원하며, 이에 대한 국민의 지지와 사회적 합의가 오랜 시간 동안 견고하게 형성되어 왔음을 알 수 있었다. 다시 말해 오랜 개발 경험으로 쌓인 인권과 민주주의에 대한 정부의 정치적 의지, 빈곤에 대한 다차원적 접근 및 심층적 이해 노력과 더불어 보편적 가치 실현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사업 수행 의지를 촉진하고 있음을 보여 준다.

최근 한국 국제개발협력 추진 체계 내에서도 시대적 과제인 SDGs 달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한국국제협력단(KOICA: 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등 무상 원조 시행 기관을 중심으로 인권 및 민주주의, 평화 등의 가치를 내세워 관련 정책 방향과 전략, 이행계획 수립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최근에는 이를 실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업 발굴 단계에 이르렀다. 그러나 스웨덴과 같이 목표 달성을 위한 정책 일관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시행 기관 단위에 그치지 않고, 무·유상 원조를 아우르는 차원의 범정부적 관심과 이를 보장하는 정치적 의지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또한 당장의 가시적인 실적 쌓기보다는 국제개발협력 시행 체계 내에서 관련 규범의 학습과 적용 방안에 대한 합의가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인권, 민주주의, 성평등과 같이 가치 지향적 개발협력 사업 수행 시 이를 제도와 조직, 사업과 문화에 내재화하는 노력이 책임 있게 동반되어야 한다. 현재 한국 국제개발협력의 추진 체계 최상위에 있는 국제개발협력기본법부터 기본계획, 국별협력전략 등에 이르기까지 내재화하여 법적·제도적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동시에 국제개발협력 커뮤니티 전반의 인식 제고를 위한 노력과, 실질적으로 프로그램 실행 체계에서 실현될 수 있도록 관련 예산을 배분하는 노력도 중요하다.

Notes

1)

최근 OECD DAC에서 ODA 현대화 작업에 따라 재정의한 ODA 계상 방안, 2018년 통계 보고부터 DAC의 유상 원조 측정 기준이 순지출(지출액-상환액)에서 증여등가액(지출액-현재 가치로 환산한 원리금)으로 변경되었다.

2)

OECD. Development finance statistics database

References

1 

곽재성, 김수진, 송수전, 윤지영, 이성훈, 홍문숙. (2018). SDG16 달성을 위한 KOICA 이행방안 연구. 한국국제협력단.

2 

스웨덴 정부 웹사이트. https://www.government.se, 최종 접속: 2019. 9. 9.

3 

Government Offices of Sweden. (2018a). DAC Peer Review -2019 Memorandum of Sweden. Stockholm: .

4 

Government Offices of Sweden. (2018b). Strategy for Sweden’s Development Cooperation in the Areas of Human Rights, Democracy and the Rule of Law 2018-2022. Stockholm: Ministry of Foreign Affairs.

5 

Government Offices of Sweden. (2017a). Policy for Global Development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2030 Agenda, Government Communication 2017/18:146. Stockholm: Ministry for Foreign Affairs.

6 

Government Offices of Sweden. (2017b). Sweden and the 2030 Agenda ― Report to the UN High Level Political Forum 2017 on Sustainable Development. 2017.

7 

Government Offices of Sweden. (2017c). Handlingsplan Agenda 2030 2018-2020.

8 

Government Offices of Sweden. (2016). Policy framework for Swedish Development Cooperation and Humanitarian Assistance. Government Communication 2016/17:60.

9 

Government Offices of Sweden. (2013). Aid Policy Framework: The Direction of Swedish Aid. Government Communication 2013/14:131. Stockholm: Ministry for Foreign Affairs.

10 

OECD. (2019a). DAC Recommendation on the Humanitarian-Development-Peace Nexus. https://legalinstruments.oecd.org/public/doc/643/643.en.pdf.

12 

OECD 웹사이트. https://www.oecd-ilibrary.org, 최종 접속: 2019. 9. 9.

14 

Sida. (2018b). The year in review - Swedish development cooperation and Sida’s activities. https://www.sida.se/English/publications/164033/the-year-in-review-2018.

15 

Sida. (2017). Dimensions of Poverty Sida’s Conceptual Framework.

16 

Sida. (2015). Human Rights Based Approach at Sida. Compilation of Thematic Area Briefs.

17 

Sida 웹사이트. https://www.sida.se, 최종 접속: 2019. 9. 9.

18 

UN OCHA. (2018). Global Humanitarian Overview 2018. https://www.unocha.org/sites/unocha/files/GHO2018.PDF.



Global Social
Security Re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