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검색 결과

검색결과 126개 논문이 있습니다
31

제39권 제2호

고온이 사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
High Temperature-Related Mortality in Korea: A Meta-Analysis of the Empirical Evidence
우경숙(한양대학교) ; 김대은(노스캐롤라이나대학교) ; 채수미(한국보건사회연구원)
Woo, Kyung-Sook(Hanyang University) ; Kim, Dae Eun(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 Chae, Su Mi(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보건사회연구 , Vol.39, No.2, pp.10-36 https://dx.doi.org/10.15709/hswr.2019.39.2.10
초록보기
Abstract

In Korea, climate change and high temperature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health and society as a whole. We aimed to provide a meta-analysis of epidemiologic evidence regarding high temperature-related mortality in Korea. The pooled results suggest that for a change in temperature condition, the risk of total mortality increased 5% (95% CI: 3-6%) for 1℃ increase, 8% (95% CI: 2-14%) for heatwave exposure. However, it was difficult to identify differences in risk of mortality by gender, age, region and cause of death due to high temperatures and to assess the impact of heatwave on mortality under different heatwave definitions. Nevertheless, it was possible to ensure that the risk of mortality over 75 was higher than that under 75 for heatwave exposure. High temperatures were also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 of death for cardiovascular disease and respiratory diseases. It is necessary to define groups that are sensitive to high temperatures and to identify the magnitude of their impact in the future, and to provide in-depth studies of the temperature threshold that the country and the community should respond to.

초록

우리나라에서는 최근 기후변화와 여름철 이상 고온 현상이 건강을 비롯한 사회 전반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를 배경으로 고온 노출에 따른 사망의 위험을 평가한 기존의 연구들을 메타 분석하여, 현재까지 확인된 근거의 실태를 파악하고자 했다. 분석 결과, 기온이 1℃ 증가할 때 사망의 위험이 5%(95% CI: 3-6%) 증가했으며, 비폭염 기간에 비해 폭염 기간에 사망의 위험이 8% 증가(95% CI: 2-14%)했다. 그러나 국내 연구 수가 제한적이어서 각기 다른 폭염의 정의별로 사망의 위험을 평가하지 못했으며, 하위집단별 분석에서 취약인구집단의 위험을 충분히 규명하기 어려웠다. 그럼에도 75세 이상 고령 인구집단에서는 고온의 분석단위와 관계없이 사망의 위험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했음을 확인했다. 또한 고온은 심뇌혈관질환, 호흡기 질환으로 인한 사망 위험의 증가와 관련이 있었다. 향후 고온의 건강영향에 대한 인식을 제고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우리나라에 적용 가능한 폭염의 기준을 마련하고, 고온 노출에 민감한 집단에 대한 건강영향을 평가하고 지원할 필요가 있다.

초록보기
Abstract

This study intend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perceived social predictors for suicidal ideation among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over and above the influences of psychological predictors.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depression, stress, self-esteem, cybervictimization, and discrimination using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data of 3,775 middle school students nationwide were analyzed using SPSS 24.0.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final model where cybervictimization and discrimination were additionally entered was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with the second model wher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psychological predictors―depression, stress, and self-esteem―were entered. Specifically, cybervictimization and discrimina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suicidal ideation, controlling for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psychological predictors. Give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further studies on and intervention for cybervictimization and discrimination are required to prevent or reduce adolescent suicide.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자살생각에 대하여 지각된 사회적 요인인 사이버괴롭힘 피해 및 차별 경험이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심리적 요인을 넘어서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2016년 실시한 ‘한국 아동・청소년 인권실태연구VI’의 중학생 자료를 이용하여 인구사회학적 특성인 성별, 연령, 성적, 경제적 상황, 심리적 요인인 우울,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그리고 지각된 사회적 요인인 사이버괴롭힘 피해 및 차별 경험과 자살생각 간의 관계에 대하여 3단계에 걸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심리적 요인을 넘어서서 지각된 사회적 요인이 추가됨으로써 모형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좋아졌으며, 사이버괴롭힘 피해와 차별 경험은 자살생각에 각각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 자살예방을 위하여 심리적 요인 뿐 아니라 사회적 요인인 사이버괴롭힘 피해 및 차별 경험에 대한 개입 역시 필요함을 뒷받침하는 것으로서 이에 근거하여 관련된 함의를 제시하였다.

초록보기
Abstract

Despite the importance of employment of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for their economic and social independence in their lives, the social conditions for employment activities have not been sufficiently established due to social exclusion for disabi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longitudinal factors on their employment and wages of mentally disabled people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exclusion. For this purpose, panel Tobit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Korea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data from 3rd to 8th Waves (2010-2015).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ossibility of employment and the level of wages in mal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females. Second, the less severe the degree of disability, the higher the possibility of employment and the wage level during employment. Third, as the social exclusion factors, the longitudinal effect of basic security income, license qualification, health status, and social participa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ir employment possibility and wage level. Based on these results, the policy implications for reducing social exclusion for persons with mental disabilities were discussed.

초록

직업은 정신적 장애인의 경제적 및 사회적 독립생활을 가능케 하는 중요한 요소이나 정신적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배제로 인해 직업활동을 할 수 있는 사회적 여건이 충분히 조성되지 못해 왔다. 본 연구는 정신적 장애인의 취업 여부와 임금에 종단적으로 영향을 주는 요인을 사회적 배제의 관점에서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0년(3차)에서 2015년(8차)까지의 한국 장애인고용패널조사 데이터를 패널 토빗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성별이 남자일 때 여자보다 취업 가능성 및 임금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 정도가 심하지 않을수록 취업 가능성과 취업 시 임금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배제 특성 중 기초보장수급 여부, 자격증 소지 여부, 건강상태, 사회참여수준이 종단적으로 취업확률과 임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정신적 장애인의 취업과 임금에 대한 사회적 배제를 낮추는 정책적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초록보기
Abstract

This study compared the community care policies of Korea, Japan, and Sweden based on the WHO global strategy. Each country's community care policy was rated as appropriate, insufficient, or absent depending on the degree of its conformity to the “Guiding Principles for the Decade of Healthy Ageing.” In addition, descriptions of related contents were provided. Our analysis found that the policy contents of “Interconnected and indivisible”, “Inclusive”, “Multistakeholder partnerships”, “Leaving no one behind”, “Equity”, “Commitment”, and “Do no harm” were insufficient to support community-based integrated care. Regarding the strategy of “Intergenerational solidarity”, there was no relevant policy content. The directions for improvement are as follows: “Reinforcement of local health”, “Expansion of selective targets for the vulnerable”, “Clarification of scope of work”, “Expansion of 24-hour or non-face-to-face operation”, “Prevention of blind spots for benefits”, “Preparation of generational exchange”, “Preparation of grounding legislation”, and “Securing stable financial resources.” This study was intended to identify improvement directions for the Community Integrated Care Leading Project and help it become more broadly applied in the future.

초록

본 연구는 한국, 일본, 스웨덴의 커뮤니티 케어 정책을 WHO 가이드 원칙에 기준하여 비교했다. 각 국가의 커뮤니티 케어 정책이 Decade of Healthy Ageing을 위한 가이드 원칙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적합, 미흡, 부재로 판단했고, 관련 내용을 기술했다. 분석 결과, 한국의 지역사회 통합돌봄 정책은 ‘상호 연결성과 불가분성’, ‘포괄성’, ‘다중이해관계자 파트너십’, ‘비배제성’, ‘형평성’, ‘지속성’, ‘무해성’에 미흡했고, ‘세대 간 연대’에 대한 내용이 부재했다. 이에 대한 개선 방향으로는 ‘지역 보건 강화’, ‘취약계층의 선별적 대상 확대’, ‘업무 범위 명확화’, ‘24시간・비대면 운영 확대’, ‘수혜 사각지대 방지’, ‘세대 교류 마련’, ‘근거 법안 마련’, ‘안정적 재원 확보’ 등을 제시했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커뮤니티 케어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고 향후 건전한 보편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35

제43권 제4호

영국, 프랑스, 한국의 간호 제도 비교 연구: 법체계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f Nursing Institutions: Legal Systems in the United Kingdom, France, and South Korea
신유경(서울대학교) ; 박이대승(서울대학교)
Shin, Yukyung(Seoul National University) ; Park, Daeseung(Seoul National University) 보건사회연구 , Vol.43, No.4, pp.8-28 https://dx.doi.org/10.15709/hswr.2023.43.4.8
초록보기
Abstract

Nursing professionals are currently regulated by the Medical Act in South Korea. Separating nursing regulations into an independent Nursing Act has been a fiercely debated issue. Both sides of the debate cite examples of foreign countries to support their arguments. However, the legislation of an independent nursing law depends on the health legal system of each country. Each legal system operates around certain principles, yet these principles have been mostly neglected in the health policy debate. This study carries out a comparative analysis of nursing institutions, particularly the legal systems in the United Kingdom (UK), France, and South Korea. Through this method, we aim to find ways of improving the Korean nursing institution. The UK model legislates independent acts or statutory instruments for nursing professionals as well as other health professionals. The French model unifies regulations for all health professionals under a single Code. Despite such formal differences, these two models share several commonalities. First, the health legal system is systematic and consistent. Second, specific rules regulate the scope of work for each health professional. Third, relationships between health professionals are not hierarchical and are instead based on the principles of cooperation, delegation, and responsibility. These common features of the UK and French models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or reconstructing the Korean nursing institution.

초록

간호법은 치열한 논쟁의 대상이 되어왔다. 단독 간호법 찬성과 반대 입장 모두 해외 사례를 주요 근거로 제시한다. 그러나 단독 간호법 유무는 해당 국가의 법체계에 의존한다. 중요한 문제는 각 국가의 보건 법체계가 어떤 원리에 따라 운영되는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영국, 프랑스, 한국의 제도를 비교분석함으로써, 한국 간호 제도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영국 모델은 보건 직종 각각을 규율하는 독립적인 법령들로 구성된다. 반면, 프랑스 모델은 하나의 법전에서 모든 보건 직종을 규율한다. 이러한 형식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두 모델은 몇 가지 공통점이 있다. 첫째, 보건 법체계가 체계성과 일관성을 갖추고 있다. 둘째, 각 보건 직종의 업무 범위가 구체적으로 규정된다. 셋째, 보건 직종 간 관계가 위계보다는 협업・위임・책임의 원리에 기초한다. 이 세 가지 원칙은 한국의 간호 제도를 재구성할 때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초록보기
Abstract

Using data from the China Health and Retirement Longitudinal Study (CHARLS),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the utilization of health check-up services among middle-aged and elderly individuals in China. To address potential biases arising from interdependence within the same community, this study employs a multilevel logistic regression model. The empirical results provide strong evidence that an individual’s social capital significantly enhances the likelihood of accessing health check-up services among this demographic. The study highlights two key aspects. First, individuals with robust social networks providing financial or care support are more likely to participate in health check-up services. Second, individuals engaged in social activities are more inclined to utilize health check-up services compared to those isolated from their families or communities. This suggests that individuals with strong social capital are more likely to seek preventive healthcare services, potentially reducing the risk of hospitalization and improving their overall quality of life. In addition, this study uncovers disparities in the utilization of health check-up services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This discrepancy emphasizes the necessity for specific public health initiatives in China.

초록

본 연구는 중국의 패널 자료인 China Health and Retirement Longitudinal Study (CHARLS)를 이용하여, 사회적 자본이 중국 중·장년층의 건강검진 서비스 활용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살펴본다. 본 연구는 다단계 로지스틱 회귀 모형(Multilevel Logistic Regression Model)을 활용하여, 같은 지역 내 관찰값들 간 의존성으로 인한 잠재적인 편이 가능성을 제거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개인 수준의 사회적 자본이 중국 내 중·장년층이 건강검진 서비스를 더 많이 활용하도록 하는 긍정적인 역할을 하였다는 근거를 제시한다. 즉, 사회적 자본 수준이 높은 개인일수록 건강검진과 같은 예방적 의료 서비스를 활용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며, 이는 중·장년층의 입원 위험을 낮추고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연구는 건강검진 서비스 이용에 있어서 도시와 농촌 간 격차가 존재한다는 것을 보인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중국의 공공 보건 정책 수립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37

제44권 제1호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Impact of Drinking Frequency on Young Adults’ Depression: Analysis of Gender Difference
음주 빈도가 청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성별 차이 분석
장시온(보건복지부 국립정신건강센터 정신건강연구소) ; 김도현(연세대학교)
Jang, Si-On(Mental Health Research Institute, National Center for Mental Health) ; Kim, Do-Hyun(Yonsei University) 보건사회연구 , Vol.44, No.1, pp.191-217 https://dx.doi.org/10.15709/hswr.2024.44.1.191
초록보기
Abstract

Recently in Korean society, there has been an emergence of the 'lowering age of depression risk'. Amid this, drinking is identified as a major factor causing depression, and it has been reported that social support moderates mental health difficulties. Building on previous research that has indicated gender differences in each variable,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young adults' drinking frequency on depress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by gender. The study utilized data from the 'A Survey on the Living Conditions and Welfare Needs of Youths'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using SPSS 25.0 and PROCESS macro 3.4 for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females exhibited higher levels of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compared to males. Furthermor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rinking frequency and depression,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for female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emphasized that address the young adults’ drinking and depression problems simultaneously and use social support to solve emotional crisis. Lastly, the study raised the importance of gender-sensitive young adults’ mental health policies.

초록

최근 한국 사회에서는 ‘우울 위험군의 저연령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 가운데 음주는 우울을 야기하는 주요 요인이며, 사회적 지지가 정신건강의 어려움을 조절하고 있음이 보고되었다. 본 연구는 각 변수들이 성별 차이를 보인다는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성별에 따라 청년의 음주 빈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수행을 위해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실시한 ‘청년층 생활 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데이터를 이용하였고, SPSS 25.0과 PROCESS macro 3.4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여성이 남성에 비하여 우울과 사회적 지지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음주 빈도와 우울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가 여성의 경우에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청년의 음주와 우울 문제는 동시에 함께 대응하고 정서 위기를 해소할 때 사회적 지지를 활용할 것을 강조하였다. 마지막으로 성별을 고려한 청년 정신건강 정책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38

제44권 제2호

의료사회복지사의 직무열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직무요구-자원 모형을 중심으로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Work Engagement of Medical Social Worker: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Perspective
유진선(경북대학교) ; 이유진(창원경상국립대학교병원) ; 공보경(경북대학교)
You, Jinsun(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Lee, Yujin(K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Changwon Hospital) ; Kong, Bogyeong(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보건사회연구 , Vol.44, No.2, pp.154-177 https://dx.doi.org/10.15709/hswr.2024.44.2.154
초록보기
Abstract

Abstract This study, focusing on the importance of work engagement as a major predictor of job performance, aimed to test the influence of job resources on work engagemen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demands on work engagement of medical social workers based on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Data of 214 medical social workers currently working in the Korean Medical Social Workers Association were analyzed using a survey,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to validate the research model. Results indicated that autonomy and social suppor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resources, whereas the impact of the organizational system remained inconclusive. Job demands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work engagement. However, autonomy was found to moderate the effect of work engagement. Based on these findings, I suggested practical and policy recommendations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medical social workers’ work engagement.

초록

초 록 본 연구는 직무성과의 주요 예측 요인으로써 직무열의가 갖는 중요성에 주목하고 직무요구-자원 모형에 근거하여 의료사회복지사의 직무열의에 직무자원이 미치는 영향과 직무요구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대한의료사회복지사협회 소속 회원으로 현재 의료기관에서 근무 중인 의료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최종 214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연구모형을 검증한 결과 직무자원 중 자율성과 사회적지지가 직무열의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조직체계의 영향은 확인되지 않았다. 직무요구는 직무열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으나 자율성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의료사회복지사의 직무열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실천적 정책적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초록보기
Abstract

초록

본 연구는 한국의 복지현황 및 발전 수준을 보여줄 수 있는 복지지표체계를 개발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출발한다. 기존의 단편적이고 비이론적인 복지지표들을 넘어 체계적이고 견고한 이론적 토대를 가진 복지지표체계를 개발함으로써, 현재의 복지 상황을 이해하고 복지발전 수준을 통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준거틀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주요한 목적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OECD의 사회지표 분석틀을 기반으로 하되 한국 상황에의 적합성을 고려, 수정한 새로운 복지지표 분석틀을 제안하였다. 한국의 복지지표 분석틀은 3가지 분류기준을 포함하는데, 첫째, ‘PSR(Pressure - State - Response)’모형에 따른 사회적 맥락(social context), 사회적 상황(social status), 복지노력(welfare efforts)이다. 둘째, 사회정책의 목표기준으로 OECD의 사회지표 분석틀에서 제안한 자립, 형평성, 건강, 사회응집에 더하여 지속가능성을 포함, 총 5가지 정책목표를 제시하였다. 셋째, 생애주기별 기준을 사용하여 아동·청소년기(0-24세), 성인기(25-64세), 그리고 노년기(65세 이상) 세 가지 생애주기로 구분하였다. 기존의 복지지표를 분류하는 기준들이 일정한 기준이나 이론적 근거 없이 인구집단, 제도 혹은 사업, 정책목표 등의 기준들이 혼재되어 있는 상황에서, 논리적이고 이론적인 근거를 가진 복지지표체계를 구성하고자 시도한 이 연구는 한국의 복지지표체계 구축에 중요한 방향성을 제시할 뿐 아니라 추후 OECD 등의 사회지표체계 논의에도 기여할 것이다.;This study aims to develop a new conceptual framework of welfare indicators in Korea. By developing a system of welfare indicators which is a theoretically well-grounded as well as methodologically sound, this research aims to propose a new framework to be used to monitor and analyse the development of welfare and quality of life as well as general trends of social change in Korea. This research proposed a new system of welfare indicators on the basis of the OECD social indicator framework. This framework has three dimensions. The first dimension considers the nature of these indicators, grouping them in three areas - social context, social status, societal response - which is similar to “Pressure-State-Response(PSR)”approach. Social context indicators are crucial for understanding the broader social policy context. Social status indicators describe the social outcomes that policies try to influence. Social response indicators provide information about what society is doing to affect social status indicators. In our framework, we used the ‘welfare effort’instead of ‘societal response’to put its emphasis on the government’s efforts. The second dimension groups indicators according to the broad objectives of social policy - self sufficiency, equity, health status, social cohesion. In our framework, we added sustainability to policy objectives list. The third dimension groups indicators according to life-cycle - children under 24 years old, adults from 25 to 64 years old, the aged over 65 years old. This framework for welfare indicators is systemic and coherent, so it will be helpful for the development of welfare statistics.

초록보기
Abstract

초록

인구계층간의 의료 이용도의 차이는 공중보건에서 심각한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이러한 불평등한 격차를 줄이기 위한 여러가지 중재방안의 필요성이 지적되어 왔다. 빈곤계층 의료 이용도의 부족은 높은 질병발생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특히 빈곤계층 아동은 그렇지 않은 아동에 비해 천식, 납중독 등에 대한 질병발생률이 높으며, 질병에 의한 사망률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사회 생태학적 모델에 근거하여 경제적인 요인과 비경제적 요인들이 빈곤층 아동의 예방의료 서비스 이용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예방의료의 이용도는 대상자의 건강에 대한 가치관, 지식, 또한 의료제공자의 태도들이 중요하게 관련되어 왔다. 미국의 대도시의 빈곤계층 지역에 거주하는 아동의 어머니들을 대상자로 선정하여 의료이용을 예측할 수 있는 중요요인들과 장애요인들을 알아보았다. 주민의 30% 이상이 Federal Poverty Level에 해당하는 3군데의 지역사회을 연구지역으로 선정하여, Random Sampling 방법으로 연구 대상자를 모집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요인들은 Health Beliefs Model과 Social-ecological Model에 근거하여 선정하였으며,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를 이용하여 예측변수들(predictors)을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저녁 혹은 주말까지 연장된 의료제공시간과 의료보험혜택은 정기적인 아동의 의료서비스 이용을 증가시켰다. 의료제공자의 태도 즉 대상자와의 충분한 의사소통을 위한 시간이 주어진 경우에는 2배 이상 진료의 follow-up의 가능성이 있으며, 의료비용의 부담감이 줄어든 경우 계속적인 의료(Continuity of Care)의 가능성이 4배 정도 높이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비경제적인 요인들 즉 의료전달체계에 관련된 요인과, 의료제공자의 태도들이 중요하게 나타난 것은 주목할 만하다. 빈곤층을 위한 중재방안을 계획시에는 경제적인 요인(의료보험 수혜) 외에도 본 연구 결과와 같은 비경제적인 요인들도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미 보건국이 The Healthy People 2010 의 목표 중 하나로 빈곤층 아동의 의료서비스 이용도의 향상을 제시한 것 같이, 이를 위한 효률적인 중재방안의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특히 의료이용의 격차가 심한 고위험 지역사회를 대상으로한 중재방안 계획시, 대상자의 사회환경과 관련된 문화적 특성은 실제적 접근방법(Cultural Competent Interventions) 에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중요한 요소이다.;This study applied a social ecological model in examining the effects of financial and non-financial predictors on access to preventive medical care. Face-to-fac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320 mothers as to their use of health services for three to eight-year-old children. The target populations in this study were mothers and their children living in poverty in a metropolitan area of the United States. Utilization of preventive medical care was assessed by the frequency of planned medical visits and continuity of care. The continuity care was determined by returning to the same care provider. Extended clinic hours and health insurance coverage had impact on planned medical visits.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mother and the primary care provider increased the likelihood to continue the care by 2 times (OR = 2.10, 95% CI = 1.24-3.55). And the mother with a payment schedule for care cost was significantly more likely to continue child’s medical care than the mother did not have the schedule (OR = 3.85, 95% CI = 1.32-11.22). The study findings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enhance access to preventive care among particularly vulnerable populations such as low-income children.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