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검색 결과

검색결과 3개 논문이 있습니다
초록보기
Abstract

Using data from the China Health and Retirement Longitudinal Study (CHARLS),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the utilization of health check-up services among middle-aged and elderly individuals in China. To address potential biases arising from interdependence within the same community, this study employs a multilevel logistic regression model. The empirical results provide strong evidence that an individual’s social capital significantly enhances the likelihood of accessing health check-up services among this demographic. The study highlights two key aspects. First, individuals with robust social networks providing financial or care support are more likely to participate in health check-up services. Second, individuals engaged in social activities are more inclined to utilize health check-up services compared to those isolated from their families or communities. This suggests that individuals with strong social capital are more likely to seek preventive healthcare services, potentially reducing the risk of hospitalization and improving their overall quality of life. In addition, this study uncovers disparities in the utilization of health check-up services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This discrepancy emphasizes the necessity for specific public health initiatives in China.

초록

본 연구는 중국의 패널 자료인 China Health and Retirement Longitudinal Study (CHARLS)를 이용하여, 사회적 자본이 중국 중·장년층의 건강검진 서비스 활용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살펴본다. 본 연구는 다단계 로지스틱 회귀 모형(Multilevel Logistic Regression Model)을 활용하여, 같은 지역 내 관찰값들 간 의존성으로 인한 잠재적인 편이 가능성을 제거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개인 수준의 사회적 자본이 중국 내 중·장년층이 건강검진 서비스를 더 많이 활용하도록 하는 긍정적인 역할을 하였다는 근거를 제시한다. 즉, 사회적 자본 수준이 높은 개인일수록 건강검진과 같은 예방적 의료 서비스를 활용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며, 이는 중·장년층의 입원 위험을 낮추고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연구는 건강검진 서비스 이용에 있어서 도시와 농촌 간 격차가 존재한다는 것을 보인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중국의 공공 보건 정책 수립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2

제44권 제2호

비영리 모금기관에 대한 인식과 기부 행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s of Nonprofit Charitable Organizations and Giving Behavior
최성언(연세대학교) ; 최수빈(연세대학교) ; 강다은(연세대학교)
Choi, Seong Eon(Yonsei University) ; Choi, Shubin(Yonsei University) ; Kang, Da Eun(Yonsei University) 보건사회연구 , Vol.44, No.2, pp.256-280 https://dx.doi.org/10.15709/hswr.2024.44.2.256
초록보기
Abstract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mpact of perceptions of nonprofit fundraising organizations on giving behavior. Giving behavior is divided into participation intensity and engagement intensity, while perceptions are categorized into familiar and general nonprofit organizations. Using data from the Giving Korea 2022 individual donor survey,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d Tobit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via SPSS 27 and STATA 16.0.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ositive perceptions of familiar nonprofit organizations significantly increase the likelihood of one-time donations over non-participation. Second, there i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one-time and regular donations. Third, positive perceptions of general nonprofit organizations enhance the likelihood of regular donations. Fourth, interaction effects between one-time and regular donations demonstrate a synergistic impact. Fifth, positive perceptions of familiar organizations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ncreased donation efforts. Sixth, perceptions of general organizations and their interaction effects do not significantly influence giving efforts. These results provide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Theoretically, the study supports the Nicosia model, confirming that attitudes (perceptions) influence donor behavior, thereby illustrating the applicability of consumer behavior models to the nonprofit fundraising sector. Practically, the findings suggest that enhancing perceptions of nonprofit organizations positively impacts giving behavior, highlighting the necessity for securing donors and donations for organizational survival and public mission fulfillment. Moreover, improving general perceptions alongside individual organization recognition can optimize the effectiveness of regular donation participation.

초록

초 록 본 논문은 기부 행위에 대한 비영리 모금기관 인식의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부 행위는 참여와 몰입으로 나누어 분석하였고, 인식은 관계있는 모금기관과 전반적인 인식으로 구분하였다. 이를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토빗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데이터는 ‘기빙코리아 2022 개인 기부자 조사’를 활용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계있는 비영리 모금기관에 대한 긍정적 인식은 기부 비참여보다 일시 기부 참여 가능성을 높였다. 둘째, 전반적 비영리 모금기관에 대한 긍정적 인식은 일시 기부 참여보다 정기 기부 참여 가능성을 높였다. 셋째, 관계있는 비영리 모금기관에 대한 인식과 전반적 비영리 모금기관에 대한 인식 간 상호작용 효과는 정기 기부 여부에 있어 상승효과를 보였다. 넷째, 관계있는 모금기관에 대한 긍정적 인식은 기부 노력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이론적 및 실천적 측면에서 함의를 제공한다. 이론적으로, 소비자 행동모델의 비영리 모금 분야 적용 가능성을 보여준다. 또한, 모금기관에 대한 인식을 세분화하여 다차원적 이해를 제공한다. 실천적인 측면에서 본질적으로 비영리 모금기관이 (잠재)고객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 제고를 위해 조직의 가치, 문화, 개성, 속성 등에 대한 지속적인 고민이 필요할 것으로 보았다. 부차적으로 각 인식이 기부 행위에 미치는 관계성에 차이가 있기에 비영리 모금기관들은 기부 행위의 촉진을 위한 서로 다른 전략적 행동을 취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3

제44권 제1호

기혼여성의 취업여부 및 취업상태 변화에 따른 정신건강 차이
Differences in Mental Health according to Employment, Unemployment, and Job Insecurity of Married Women: Focusing on Age Heterogeneity
최지희(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이준협(고려대학교)
Choi, Jihee(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Lee, Junhyup(Korea University) 보건사회연구 , Vol.44, No.1, pp.449-471 https://dx.doi.org/10.15709/hswr.2024.44.1.449
초록보기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mental health effects of employment status and job insecurity on married women. As of the 10th Korea Welfare Panel Study (2014), a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on women 19 years of age or older who were continuously married and participated in the survey until the 17th panel (2021). In addition, the study categorized subjects into youth, middle-aged, and elderly groups to analyze mental health by age group. Unemployment and unstable employment of elderly married women (56 to 65 years old) negatively affected mental health, but the employment status of younger and middle- aged married women (25 to 55 years old)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mental health. Even if both groups were employed at the present time, the group with experience of unemployment had a higher risk of depression than the group without. Also, in the case of unemployment, the group with job search experience reported a lower mental health status than the group without. This suggests the need to consider negative experiences related to employment when understanding the mental health problems of elderly married women,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s for policy development for the healthy life and aging of married women.

초록

본 연구는 기혼여성의 취업 여부와 고용불안 경험이 우울, 자아존중감 등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한국복지패널 10차(2014년) 기준 만 19세 이상이고, 지속적으로 유배우자(기혼) 상태이며, 17차(2021년)까지 조사에 참여한 여성을 대상으로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때 연령이 정신건강에 미칠 영향력을 고려해 청년층(만 26세 이상~만 35세 이하), 중년층(만 36세 이상~만 45세 이하, 만 46세 이상~만 55세 이하), 장년층(만 56세 이상~만 65세 이하)으로 연구 대상을 구분하여 연령군별로 정신건강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장년층 기혼여성의 실업과 불안정한 취업은 우울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청중년층 기혼여성의 취업 상태는 우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장년층 여성은 현재 취업 상태라 하더라도 실업을 경험한 집단, 미취업 상태인 집단이 실업을 경험하지 않은 취업자 집단보다 부정적인 우울 수준을 보였다. 취업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은 일부 집단이기는 하나 여전히 장년층 기혼여성에게서 유의미한 결과가 관찰되었는데, 구직 경험이 없는 미취업자가 실업 경험이 없는 취업자보다 자아존중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장년층 기혼여성의 정신건강 문제 접근 시 취업과 관련한 부정적 경험의 고려 필요성을 시사하며, 본 연구 결과는 향후 기혼여성의 건강한 삶과 노화를 위한 정책 개발 근거로써 활용될 수 있다.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