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검색 결과

검색결과 3개 논문이 있습니다
1

제43권 제3호

사회복지 분야 사회복무요원 직무역량 향상을 위한 교육 우선순위 분석
A Needs Analysis to Develop Job Competency of Social Service Agents
유진선(경북대학교) ; 손영은(한국보건복지인재원) ; 주연선(배재대학교)
You, Jinsun(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Son, Youngeun(Korea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stitute for Health and Welfare) ; Joo, Yeonsun(Pai Chai University) 보건사회연구 , Vol.43, No.3, pp.138-155 https://dx.doi.org/10.15709/hswr.2023.43.3.138
초록보기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essential educational priorities for enhancing the job competency of social service agents in the social welfare sector, thus contributing to the advancement and refinement of the educational system. Data were collected from 378 social service agents and 1,861 persons in charge at social welfare facilities where those social service agents were deployed. Gap Analysis and Locus for Focus analysis were employed to compare perceived levels of educational needs, and priorities were derived from the combined results. The analysis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gaps between the desired and current levels of most competencies presented in the survey of representatives from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social service agents. For each respondent group, competencies with above-average levels of both need and discrepancies were identified as high educational needs. The results were then integrated based on the most commonly identified competencies. The job competencies with the highest educational needs were ‘client orientation’, ‘understanding of the client’, ‘client engagement’, ‘communication’, and ‘complaint response’. Secondary job competencies included ‘respect for human rights’, ‘identification of client needs’, ‘empathy’, and ‘care skill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its comprehensive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the educational needs and perceptions of both social service agents and persons in charge at social welfare facilities. By identifying educational priorities to enhance the job competency of social service agents, this study provides a foundation for designing a competency-based education curriculum.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 분야 사회복무요원의 직무역량 향상을 위해 필요한 교육의 우선순위를 도출함으로써 교육 체계의 발전과 고도화를 위한 자료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회복지시설에서 복무하는 사회복무요원 378명과 사회복무요원이 배치되어 있는 근무기관 담당자 1,861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들이 인식하는 교육요구도의 수준을 비교하기 위하여 역량별 요구 수준과 현재 수준 불일치 정도를 확인하는 갭 분석과 Locus for Focus 분석을 활용하였으며, 교육요구도 종합 결과를 통해 교육의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근무기관 담당자와 사회복무요원 조사에서 제시된 대부분의 역량이 바람직한 수준과 현재의 수준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Locus for Focus 분석을 통해 응답자 집단별로 요구 수준과 불일치 정도가 모두 평균 이상인 역량을 교육요구도가 높은 역량으로 도출한 후, 공통적으로 제시된 역량을 중심으로 결과를 종합하였다. 교육의 필요성이 가장 높은 최우선순위 직무역량으로 ‘이용자지향’, ‘대상자이해’, 관계형성’, ‘커뮤니케이션’, ‘민원응대’ 역량이 선정되었으며, 차순위 역량으로 ‘인권존중’, 이용자욕구파악’, ‘공감’, ‘케어기술(돌봄)’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사회복무요원과 근무기관 담당자 양측의 교육요구와 인식을 함께 조사하고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결론을 도출하였으며, 사회복무요원의 직무역량 향상을 위한 교육 우선순위를 분석하여 사회복무요원 교육과정을 역량 기반으로 설계하는 데 필요한 기초적인 근거를 마련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2

제43권 제3호

원주민과 이민자의 첫 출산 패턴과 영향 요인 분석
A Study on Natives and Immigrants’ First Birth Patterns in South Korea and Their Influencing Factors
임지영(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우해봉(한국보건사회연구원)
Lim, Ji-young(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Woo, Haebong(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보건사회연구 , Vol.43, No.3, pp.241-261 https://dx.doi.org/10.15709/hswr.2023.43.3.241
초록보기
Abstract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fertility behavior of native and immigrant women in South Korea. We conducted a discrete-time survival analysis with the 2020 census 20% sample microdata to analyze immigrants' first birth patterns and influencing factors. In both the integrated (native and immigrant) model and immigrant models, sociodemographic factors such as immigrant status, marital status, educational attainment, and birth cohort differed in the speed and eventual level of first birth patterns. In the integrated model, the fertility behavior of immigrants was adjusted across education levels and birth cohorts. In the case of the immigrant model, the risk of first birth increased before and after the arrival of the immigrant, and the magnitude of the increase varied by the country of origin, confirming that the length of residence is also a factor influencing the first birth patterns. The analysis reveals heterogeneity within immigrants, which is crucial for understanding their fertility behavior.

초록

이민이 인구 문제의 해결 방안 중 하나로 고려되고 있다. 그러나 이민자의 출산이 어떤 요인들과의 관계 속에서 어떤 과정을 통해 결정되고 이루어지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규명해야 할 지점이 남아 있다. 이 연구는 원주민과 이민자의 첫 출산 패턴을 분석하여 그 미시적 과정을 알아보고 이민자의 출산에 사회인구학적 변인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20년 인구주택총조사 20% 표본 자료로 이산형 생존분석을 시도하였다. 원주민과 이민자를 통합하여 분석한 모형과 이민자만을 분석한 모형에서 모두 이민자 지위, 혼인 형태, 교육 수준, 출생 코호트 등의 사회인구학적 요인이 영향을 미쳐 첫 출산의 속도와 최종 수준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통합 모형에서는 혼인 형태, 교육 수준과 출생 코호트 간의 상호작용에 따라 이민자의 출산 행동이 조정되고 있었고, 이민자 모형에서는 입국 시기를 전후하여 이민자의 첫 출산 위험이 증가하며 출생 국가별로 그 증가의 폭이 달라 거주 기간 역시 첫 출산 패턴에 영향을 주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를 통해 이민자 내부의 이질성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 이질성은 그들의 출산 행동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지점이 될 것이다.

3

제43권 제2호

아동보호체계 관계자의 사례결정위원회 참여 경험 연구
Stakeholders’ Experiences on the Case Determination Committee in the Child Care System
정선욱(덕성여자대학교) ; 김형태(서울기독대학교) ; 김미숙(초록우산어린이재단) ; 공영숙(부산시청) ; 이수천(강서대학교)
Jung, Sun Wook(Duksung Women’s University) ; Kim, Hyoung Tae(Seoul Christian University) ; Kim, Meesook(ChildFund Korea) ; Kong, Young Sook(Busan Metropolitan City) ; Yi, Soo Cheon(Gangseo University) 보건사회연구 , Vol.43, No.2, pp.215-232 https://dx.doi.org/10.15709/hswr.2023.43.2.215
초록보기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ase determination committee, whose establishment in every Si-Do and Si-Gun-Gus has been made mandatory since June 31st, 2021, and to devise measures to improve its system to guarantee the best interests of the child.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five times with the stakeholders in the child case system, such as case determination committee members, the directors of the child care team, and child care officials.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stakeholders of the child care system consider that the case determination committee performs formal as well as procedural and practical functions for the best interests of the child. Second, as for the qualifications of the committee members, they value professionalism in the field of child care the most. Third, it was found that some improvements are needed in several matters, including conducting internal case management meetings, preparing review documents for the committee meetings, and proceeding with the committee meeting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posed the clarification of the functions (roles) of the committee, the revision of the contents of on-the-job training for the directors of the child care team and the child care officials,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for the committee members, the consideration of the inclusion of the general public as well as parties in composing committee members, and making guidelines for operating the committee meetings.

초록

본 연구는 보호대상아동의 최상의 이익 보장을 위해, 2021년 6월 30일부터 시・도 및 시・군・구 설치가 의무화된 사례결정위원회의 운영 현실을 이해하고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아동보호체계 내 관계자, 즉 사례결정위원, 아동보호팀장, 아동보호전담요원이 참여한 FGI를 5회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일반적 질적자료 분석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아동보호체계 내 관계자는 사례결정위원회가 형식적・절차적 기능, 아동 최상의 이익을 위한 실질적 기능을 수행한다고 보았다. 둘째, 사례결정위원회 구성과 관련한 사례결정위원의 자격에서 아동보호 분야의 전문성을 가장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내부 사례회의 수행, 사례결정위원회 심의 서류 작성, 사례결정위원회 회의 진행 등에서 보완이 필요한 점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사례결정위원회의 기능(역할)에 대한 명료화, 아동보호팀장과 아동보호전담요원 대상 교육 내용의 변화, 사례결정위원 대상 교육 과정 개발, 사례결정위원회 구성에서 일반 시민과 당사자의 참여 고려, 사례결정위원회 회의 운영에 대한 가이드 개발 등을 제안하였다.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