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검색 결과

검색결과 4개 논문이 있습니다
초록보기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significance of constructing welfare accounts which, while consistent with the System of National Accounts (SNA), can complement the limitations of the OECD Social Expenditure Statistics (SOCX) in analyzing the economic effects of welfare policies, and proposes a simulation method using such welfare accounts. The net effect of welfare expenditure by function on household income and distribution was analyzed through multiplier analysis of the ‘social account matrix’ (SAM) that reflects the income flow of the real economy. Since the welfare account that can identify administrative expenses as a policy vector was used, the net policy effect of welfare expenditure could be analyzed. The marginal propensity to consume was estimated by using data from the Household Financial Welfare Survey. Also, the consumption effect of welfare expenditure by household income decile was analyzed. Through the proposal of a simulation method using the welfare account, it is confirmed that the differences in welfare expenditure by function and the form of expenditure (such as cash, in kind, and administrative expenses) cause differences in income distribution and also affect the consumption welfare by income decile. It is expected that the simulation method proposed through this study will play a new role that has not been previously proposed before in finding appropriate welfare policies for each economic activity and household sector.

초록

이 연구는 복지정책의 경제적 효과 분석에 있어 「국민계정」 체계와 정합성을 가지면서 OECD 사회지출통계(SOCX)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대안인 복지계정 구축의 의의를 살펴보고, 이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방법을 제안한다. 실물경제의 소득 흐름을 반영한 ‘사회계정행렬’(SAM) 다부문 승수분석을 통해 기능별 복지지출이 소득10분위별 가계 소득과 분배에 미치는 순 효과를 분석하였다. 정책벡터로 행정비용을 식별할 수 있는 복지계정을 이용하였기 때문에 복지지출의 순 정책 효과를 분석할 수 있었다. 「가계금융복지조사」 자료를 이용한 한계소비성향 추정을 통해 복지지출의 가계소득분위별 소비 효과를 분석하였다. 복지계정을 이용한 시뮬레이션 방법의 제안을 통해 복지지출의 기능별 차이와 지출 형태(현금, 현물, 행정비용)가 소득분배의 차이를 유발하며, 소득분위별 소비후생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제안한 시뮬레이션 방법이 경제활동부문별 및 가계부문별로 적절한 복지정책을 모색하는 데 기존에 제안된 적이 없는 새로운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초록보기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by analyzing North Korea’s Voluntary National Review of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directions in which to plan for a Korean Peninsula Peace-Welfare System with which to promote the welfare of North Koreans. The National Development Goals (NDGs) that have to do with North Korea’s social security sector are people’s living standard (SDG 1), agricultural growth (SDG 2), health (SDG 3), decent work (SDG 8), and people’s rights (SDG 10). This study suggests as follows. First, the peace-welfare system must be able to function as a social safety net and a source of income redistribution and increased productivity. Second, inter-Korea exchange should be promoted. The direction of statistical capacity building, social consensus in South Korea, triangular cooperation with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positive use of the North Korean system were proposed. This study has implication to examine the ideal orientation of the peace and welfare system on the Korean Peninsula by SDGs in order to promote the welfare of North Koreans. Therefore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a future-oriented design of permanent cooperation in peace and welfare between the two Koreas.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 주민의 복지 증진을 위해 북한의 자발적 국별 리뷰(VNR)를 바탕으로 사회보장 관련 영역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를 분석하여 한반도의 평화복지체제 방향성을 구상하는 데에 있다. 북한의 사회보장과 관련된 국가개발목표(NDGs)는 인민생활 증진(1), 농업성장(2), 건강보장(3), 일자리보장(8), 인민의 권리증진(10)이다. 이를 바탕으로 평화복지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과제를 제언하였다. 첫째, 평화복지체제는 사회안전망의 보호, 소득재분배, 생산성의 기능이 수행될 필요가 있다. 둘째, 남북 간의 교류를 촉진해야 한다. 이에 관해 통계역량강화훈련, 한국 내 사회적 합의 도출, 국제기구와의 삼각공조, 그리고 북한제도의 긍정적 활용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는 북한 주민의 복지를 증진하기 위해 한반도 평화복지체제라는 이상적 지향을 지속가능발전목표로 공론화를 시도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이는 남북의 항구적 평화복지를 위한 미래지향적 방향 설계에 기여할 것으로 본다.

초록보기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negative parenting attitude of parents on the externalizing problem of adolescent children, and to verify whether grit and self-esteem have a mediation effect between the two variables. This study utilized the data from the Korea Youth Panel 2018 for analysis, and the data from 2,384 middle school student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negative parenting attitude of parents was found to have a direct effect on the externalizing problem of their adolescent children. Our analysis found that grit and self-esteem, which are parameters,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externalizing problem of adolescent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social welfare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better growth and support of adolescents.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외현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두 변인 사이에서 그릿과 자아존중감이 매개효과를 갖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년패널 2018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최종적으로 중학생 2,384명의 자료를 통계 분석에 활용하였다.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모형을 분석하였으며,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는 청소년의 외현화 문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릿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외현화 문제와의 관계를 부분매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보다 나은 성장과 지원을 위한 사회복지 정책・실천적 함의를 제안하였다.

초록보기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actors affecting the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Based on previous studies on the effects of demographic factors, residential environment factors, and support factors on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this study, using data from the 15th Korea Welfare Panel in 2020, this study conducted a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for all households, single-person households, and cohabiting households. Our empirical analysis confirmed that the factors affecting mental health were different according to household characteristics. Specifically, in the all-household model, educational background, spouse, working status, nursing/care, and protection were significant, and in the single-family model, education and nursing/care were significant. In the cohabiting-household model, age, gender, structural strength, nursing/care, and protection were significant. As different variables appear significantly in each model, the varying household characteristics should be considered in policymaking in order to promote the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Our empirical analysis about the support factors was that the more services older persons receive, the more depressed they tend to be. Based on these results, an institutional approach that can improve the quality of services and give satisfaction to the beneficiaries should be made in the provision of nursing/care services. On the other hand, the structural strength was found to be significant among the factors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n cohabiting households. Accordingly, policies to improv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such as the strength of structures for the elderly's residential facilities, should should be carried out at the same time.

초록

본 연구는 노인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구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노인의 인구통계학적 요인, 주거환경요인, 지원요인이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연구들을 근거로 2020년 15차 한국복지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전체가구, 독거가구, 동거가구를 대상으로 단계적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실증분석했다. 분석 결과, 가구특성에 따라 정신건강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이 상이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구체적으로, 전체모형에서는 학력, 배우자, 근로 상태, 요양/돌봄, 보호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독거가구 모형은 학력, 요양/돌봄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동거가구 모형은 나이, 성별, 구조물 강도, 요양/돌봄, 보호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각각의 모형에서 상이한 변수들이 유의하게 나타나 노인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해서는 가구특성을 고려한 정책적 방향성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실증분석 결과, 공통적으로 지원요인 중 요양/돌봄이 서비스를 받을수록 우울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요양/돌봄 서비스 제공에 서비스의 질을 높여 수혜자에게 만족감을 줄 수 있는 제도적 접근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한편, 동거가구에서 주거환경요인 중 구조물 강도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노인의 주거시설에 대한 구조물의 강도와 같은 주거환경 개선에 대한 정책 역시 함께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