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검색 결과

검색결과 7개 논문이 있습니다
1

제41권 제1호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을 위한 다문화가족지원조례 개정 방안: 경기도와 충청북도 및 안산시와 충주시 비교를 중심으로
Amendment Plan for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Ordinances for School Life Adaptation of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s: Focusing on Gyeonggi-do and Chungcheongbuk-do, and Ansan-si and Chungju-si
민기채(한국교통대학교) ; 김혜원(한국교통대학교) ; 반소영(한국교통대학교) ; 사유림(한국교통대학교) ; 양유라(한국교통대학교) ; 이호진(한국교통대학교) ; 조요셉(한국교통대학교)
Min, Kichae(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 Kim, Hyewon(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 Ban, Soyoung(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 Sa, Yurim(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 Yang, Yura(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 Lee, Hojin(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 Jo, Yosep(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보건사회연구 , Vol.41, No.1, pp.343-361 https://dx.doi.org/10.15709/hswr.2021.41.1.343
초록보기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duce legal basic data for school life adaptation of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s to by deriving a plan for revising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ordinances in Chungju city through comparison of the ordinances in Gyeonggi-do and Chungcheongbuk-do, Ansan-si and Chungju-si. To this end, the purpose of the ordinance, the responsibilities of the local government heads, and the targets of policies, which is the normative system, were compared. Next, the scope of support (educational support for school life adaptation, Korean language education,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improvement of discrimination, support for social adaptation of out-of-school youth, support for social and cultural adaptation) and ordinances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a service supply system base, which is the effective system, were compar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are no big differences because the ordinances of local governments are based on standard ordinance. However, the ordinances for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s are less detailed in Chungcheongbuk-do compared to Gyeonggi-do, and Chungju-si compared to Ansan-si. In the direction of the future revision of the Ordinance for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in Chungju, it suggested the specification of policy targets and scope of support, expansion of responsibilities of local government heads, and establishment of the service supply system. The more concretely and clearly stipulated in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Ordinance, there is a qualitative difference in service provision.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instrumental in providing a legal basis for school life adaptation of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s and in spreading comparative studies of local ordinances.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경기도와 충청북도 및 안산시와 충주시의 다문화가족지원조례 비교를 통해 충주시 다문화가족지원조례 개정 방안을 도출함으로써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을 위한 법적 기초자료를 생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규범적 체계인 조례의 목적, 자치단체장의 책무, 정책 대상을 비교하였다. 다음으로 실효성 체계인 지원범위(학교생활 적응을 위한 교육지원, 한국어 교육, 심리・정서 지원, 차별 개선,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응 지원, 사회・문화 적응 지원)와 서비스 공급체계 기반 구축 관련 조례를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지방자치단체들의 조례는 표준조례에 기초하고 있어 대동소이하나, 충청북도는 경기도에 비해, 충주시는 안산시에 비해 조례의 세부조항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다문화가족 청소년을 위한 조례 내용이 구체적이지 않았다. 향후 충주시 다문화가족지원조례 개정 방향으로 정책대상 및 지원범위 구체화, 자치단체장의 책무 확대, 서비스 공급체계 기반 구축을 제시하였다. 다문화가족지원조례가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규정되어 있을수록 서비스 제공에 있어서 질적인 차이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학교적응을 지원하기 위한 법적 토대가 마련되고, 지역 간 조례 비교 연구가 확산되기를 기대한다.

2

제41권 제2호

여성의 가족가치관과 결혼 및 출산의향
The Relationship Between Women’s Family Values and Their Intention to Get Married and Have Children
임병인(충북대학교) ; 서혜림(충북대학교)
Lim, Byung-In(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Seo, Hye-Rim(Chungbuk National University) 보건사회연구 , Vol.41, No.2, pp.123-140 https://dx.doi.org/10.15709/hswr.2021.41.2.123
초록보기
Abstract

We examined if the values women have of marriage, childbirth, and gender role affect their intention to marry and to have children. For our analysis, we used logistic regression estim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on data from the 󰡔National Survey on Fertility and Family Health and Welfare󰡕 of 2015 and 2018. Empirical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both unmarried women’s intention to marry and married women’s intention to have an additional childbirth has declined t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xtent since 2015. Second, in both unmarried women and married women without children, being in employment positively affected the intention both to marry and to have a child. Among married women with children, being in employment did not affect the intention to have another child. Having a home of one’s own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intention to have a child. Third, the more positive unmarried women were about family values in the traditional sense, the higher their intention to get married. Married women, however, appeared to have inconsistent and mixed values affecting their intention to give birth. Fourth, an increasing proportion of unmarried or married women were found to think that promoting marriage and childbirth should require the increased support from the government. In conclusion, effective policies for job security are needed for both unmarried women and married women without children. For married women with children, there is a need for strengthening on-going housing policies.

초록

본 연구에서는 미혼 여성의 결혼의향, 기혼여성의 출산, 추가출산의향에 결혼, 자녀, 성역할 가치관이 미치는 효과를 2015년과 2018년의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 복지 실태조사』를 사용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실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2015년 이후 3년 동안 미혼 여성의 결혼의향과 자녀가 있는 기혼여성의 추가출산의향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아졌다. 둘째, 미혼 여성과 자녀가 없는 기혼여성은 취업한 경우 결혼, 출산의향에 긍정적이고, 자녀가 있는 기혼여성은 결혼 당시 자가에 거주할 경우 추가출산의향이 더 높았다. 이는 첫 자녀출산 결정에는 취업여부, 첫 자녀 이후 추가출산 결정에는 주거상황이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여준다. 셋째, 미혼 여성은 전통적 가족 가치관에 긍정적일수록 결혼의향이 높았지만, 기혼여성의 출산의향에 가치관이 주는 방향은 일관되지 않고 혼재되어 있다. 넷째, 국가의 결혼, 출산, 육아에 관한 지원정책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미혼 여성과 기혼여성이 증가하였고, 더 나아가 국가의 적극적인 지원정책이 결혼의향과 추가 출산의향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미혼여성과 자녀가 없는 기혼여성에게는 고용안정에 대한 실효성 있는 정책, 자녀가 있는 기혼여성에게는 현재의 주거안정정책을 보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초록보기
Abstract

In this study, 153 woman-related studies published in the years 1981–2020 in the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research trend. The research topics were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based on keywords provided by authors: studies on pregnancy-childbirth and health have been continuously published and those on employment-income, marriage-family, and miscellaneous issues including social policies have reflected social changes. Topics classified by ecological system showed that studies were concentrated on micro/meso-level research; thus, macro-level research needs to be expanded. In comparative studies, there was a shift in focus from woman’s welfare to the gender perspective around the 2000’s. Most studies used secondary data produced by government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a large majority of studies use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particularly regression analysis. Although the proportion of qualitative research using primary data has increased since 2011, the skewness toward quantitative researches has not changed.

초록

본 연구는 『보건사회연구』가 창간된 1981년부터 2020년까지 발간된 여성 관련 연구 153편을 대상으로 연구동향을 분석했다. 논문 저자가 제시한 연구 주제어를 토대로 연구 주제를 분석한 결과 보건의료적 차원의 임신・출산, 건강 관련 연구는 고르게 지속 된 반면, 사회과학적 차원의 고용・소득, 결혼・가족 및 사회정책 등을 포함한 연구는 사회변화에 따라 다양한 주제어가 등장했다. 주제어를 생태체계학적으로 분류한 결과 미시・중간체계 연구에 집중되어 있어 거시체계 연구가 확충될 필요가 있었다. 연구 대 상, 정책, 성별 비교연구는 2000년대를 전후로 여성복지의 관점에서 젠더 관점으로의 변화를 보였다. 2011년 이후 1차 자료를 사용한 질적연구 비중이 다소 증가하고 있으 나, 정부와 국제기구가 생산한 2차 자료를 사용한 연구가 주를 이뤘으며 계량적 연구 방법 특히 회귀분석법에 편중되어 있음을 발견했다.

4

제41권 제4호

일자리 관련 요인과 출산 의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Job Stability and Policy Response to Low Fertility Rate in Korea
조성호(한국보건사회연구원) ; 문승현(University of Georgia)
Cho, Sung-Ho(Korea Institute of Health and Social Affairs) ; Moon, Seung-Hyun(University of Georgia) 보건사회연구 , Vol.41, No.4, pp.262-279 https://dx.doi.org/10.15709/hswr.2021.41.4.262
초록보기
Abstract

As the dual structure of the Korean labor market is becoming entrench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mpirically verify the impact of job-related factors on childbirth intention and derive measures to cope with low birth rates in Korea. According to the result, husbands’ job-related factors positively affected the wives’ childbirth intention when their employment was stable, working fewer hours, and childbirth-friendly. On the one hand, working wives had high fertility intention for their first child, but on the other hand, their childbirth intention for more children was high only when their employment was non-regular or they had enough time to care for their family.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fertility intention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stable jobs, but this pattern differs according to the job factors of husband and wife and the birth order of their child. Therefore, ensuring stable employment and sufficient income is necessary for increasing childbirth intention. Measures were suggested to alleviate the dual structure of the Korean labor market, such as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he principle of equal pay for work of equal value, the transition of non-regular workers to regular workers, and the expansion of family-friendly policies.

초록

자녀의 출산 및 양육은 경제적인 상황과 밀접한 관계가 있고, 경제적인 상황은 일자리와 연관이 있으므로 일자리는 출산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노동시장의 이중구조가 고착화되어 가는 현재 우리나라의 상황에서 일자리와 관련된 요인들이 출산 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여 저출산 대응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분석 결과, 남편은 일자리가 안정적이고, 시간적 여유가 있는 것이 본인의 첫째 자녀 출산 의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아내의 경우 자녀 한 명은 낳고 싶은 욕구로 인하여 일을 하는 경우에도 첫째 자녀 출산 의향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둘째 자녀(이상)의 경우에는 노동시장에서 이탈하더라도 크게 부담이 없거나 업무 시간에 비교적 유연성이 있는 비정규직의 경우에 출산 의향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남편의 직장이 가족친화적인 경우에도 출산 의향이 높아졌다. 따라서 출산 의향은 안정적인 일자리와 양(+)의 관계를 가지나, 이러한 양상은 남편과 아내의 일자리 변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출생순위별로도 다르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안정적인 일자리를 통하여 자녀 양육이 가능할 정도의 소득과 일자리 환경을 보장하는 것이 출산 의향을 높이는 데 중요함을 의미하며, 결론부에서는 그 일환으로 노동시장의 이중구조 완화를 위한 정책(동일노동 동일임금 제도의 구축,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가족친화제도의 확대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5

제41권 제2호

스포츠 경기장의 음주 관련 정책 개입 효과 분석
The Effect of Multi-component Alcohol Interventions on Alcohol Use at a Professional Sports Stadium
제갈정(이화여자대학교 임상바이오헬스대학원) ; 김광기(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 강희원(서울대학교 보건환경연구소) ; 최민주(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 김인국(송파구보건소)
JeKarl, Jung(Graduate School of Clinical Biohealth, Ewah Womans University) ; Kim, Kwang Kee(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Inje University) ; Kang, Heewon(Institute of Health and Environment,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Seoul National University) ; Choi, Minjoo Choi(Industry-Academia Cooperation Group, Inje University) ; Kim, In-Kook(Songpa-gu Public Health Center) 보건사회연구 , Vol.41, No.2, pp.278-291 https://dx.doi.org/10.15709/hswr.2021.41.2.278
초록보기
Abstract

It is increasingly recognized that alcohol consumption is a key factor in harms caused by alcohol misuse at a public place like a professional sports stadium, where family members, including children, come together to enjoy sports events. This paper aims to describe the prevalence of alcohol use and to analyze the effect of multi-component alcohol interventions on reducing alcohol consumption among spectators at a professional baseball stadium in Seoul. Data under analysis were derived from annual reports of 6 years, from 2014 to 2019, on alcohol use and policy implementation monitored at Jamsil professional baseball stadium, initiated by Songpa Public Health Center(SPHC). A time-series analysis was employed to examine the trends in the prevalence of alcohol use at sporting events over a period of 6 years. In 2015 the Korea Baseball Organization initiated a campaign, SAFE, a multi-component intervention to reduce alcohol-related problems at sports venues across the nation. The campaign included restriction on alcohol availability by imposing alcohol restriction on entry, the prohibition of alcohol sales after 7th inning, the imposition of drink limit per person. In addition to the campaign, SPHC mobilized a coordinated effort to support the campaign through sharing information on annual monitoring reports of alcohol use and advocating for stricter enforcement of SAFE policy among stakeholders including a civil society, professional baseball clubs, a venue management agency, and public health professional. ARIMA analysis showed that the campaign contributed to reduction of prevalence of alcohol use, from 42.2% to 18.3%.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restriction of alcohol availability at sporting venues, even though it is self-regulated, lead to reduction of alcohol use if implementation of it is closely monitored with community mobilization followed. Policy implications for health promotion were discussed.

초록

스포츠 경기장은 가족이 함께 운동경기를 관람할 수 있는 공공장소이나 음주 및 음주폐해가 많이 발생하는 장소이기도 하다. 폐해를 예방하려면 경기장 내 음주를 감소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스포츠 경기장에서 음주가 얼마나 이루어지는지, 경기장의 음주 관련 정책이 관람객의 음주여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4년부터 2019년까지 6년간 잠실 야구경기장에서 시행되었던 음주 모니터링 자료를 활용하여 ARIMA 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음주 관련 규정이 없었던 2014년에 비해 음주 관련 규정이 시행된 2015년 이후 음주자 비율이 증감을 반복하면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규정을 엄격하게 준수할수록 음주자 비율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주류반입금지규정과 주류이용가능성 제한 규정을 엄격하게 준수할수록 음주자 비율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특히 주류반입금지규정의 준수 정도가 더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스포츠 경기장에서의 음주 관련 규정을 마련하는 것과 함께 엄격하게 시행하는 것이 스포츠 경기장에서의 음주 및 음주폐해 예방 감소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효과가 나타날 수 있었던 것은 정책 시행 정도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감시하는 지역사회의 조직적 노력이 수반되었기 때문이다.

6

제41권 제4호

항공사 해고노동자의 삶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저비용항공사 운항승무원의 해고경험을 중심으로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Life of Dismissed Airline Workers: Focused on the Dismissal Experience of Low-cost Carrier Cockpit Crew
김현숙(성균관대학교) ; 강준혁(을지대학교) ; 이혁구(성균관대학교)
Kim, Hyun Sook(Sungkyunkwan University) ; Kang, Jun Hyeok(Eulji University) ; Lee, Hyuk Koo(Sungkyunkwan University) 보건사회연구 , Vol.41, No.4, pp.313-333 https://dx.doi.org/10.15709/hswr.2021.41.4.313
초록보기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lve into the lives of dismissed airline workers. For this, a total of 4 participants were selected,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1:1 in-depth interview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pplying Creswell’s (2013) case study method. According to the research procedure, first, ‘the context of the lives of dismissed airline workers’ was individually revealed through ‘within-case analysis’. Second, a total of 15 integration topics between cases were extracted through ‘cross-cas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y revealed their lives before dismissal as ‘the job they dreamed of’, ‘what they were proud of’, ‘satisfied with one’s job’, ‘sensing that something is wrong’. After the dismissal, the participants suffered from ‘concerns becoming a reality’, ‘thrown away in the open sea’. ‘relative deprivation’, ‘sadness from criticism’, ‘fury on unfairness’, ‘over-the-counter struggles’, ‘out into the part-time job battlefront’, ‘appreciation for family’, ‘struggles to keep one’s place’, ‘avoiding extreme choices’, ‘broken rice bowl’, and ‘change of perspective on labor’. Based on these findings, researchers suggested the need for an integrated institution that can provide psychological support services for dismissed airline workers, support self-help groups, and provide jobs as well as education to dismissed airline crews. In addition, they proposed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welfare policies that reflect the necessity of the aviation crew (airline workers) mutual aid associ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viation industr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항공사 해고승무원들의 삶을 탐구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총 4명의 운항승무원을 참여자로 선정하였고, 1:1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했다. 수집된 자료는 Creswell(2013)이 제시한 사례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절차에 따라 첫째, ‘사례 내 분석’을 통해 ‘항공사 해고승무원의 삶의 맥락’을 개별적으로 드러냈다. 둘째, ‘사례 간 분석’을 통해 총 15개의 사례 간 통합 주제를 추출했다. 분석 결과 ‘꿈꿔왔던 일’, ‘자부심 가득했던 일’, ‘새 직장에 만족함’, ‘무언가 이상이 있음을 감지함’이라는 해고 이전의 삶을 드러내었다. 그리고 해고 이후 참여자들은 ‘우려가 현실이 됨’, ‘망망대해에 내던져짐’, ‘상대적 박탈감’, ‘비난에 대한 서글픔’, ‘억울함’, ‘내 자리를 지키려는 투쟁’, ‘아르바이트 전선으로’, ‘가족에 대한 고마움’, ‘극단적 선택을 회피함’, ‘깨진 철밥통’, ‘노동에 대한 관점의 전환’이라는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연구자들은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항공사 해고노동자들을 위한 심리적 지원서비스 제공, 자조모임 지원, 해고승무원 일자리 제공 및 교육 등이 가능한 통합기관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항공승무원(항공종사자) 공제회 필요성 제시 및 항공업계의 특성이 반영된 복지정책 개발과 적용을 제안했다.

7

제41권 제3호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사업의 운영 현황과 산업연관분석에 의한 고용창출효과
Effects of Integrated Nursing Care and Service Scheme on Nurse Employment: An Input-Output Model Approach
김진현(서울대학교) ; 권현정(서울대학교) ; 정유미(국군간호사관학교) ; 이은희(한림대학교) ; 여나금(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최하영(서울대학교)
Kim, Jinhyun(Seoul National University) ; Kwon, Hyunjeong(Seoul National University) ; Jung, Yumi(Korea Armed Forces Nursing Academy) ; Lee, Eunhee(Hallym University) ; Yeo, Nageum(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Choi, Hayoung(Seoul National University) 보건사회연구 , Vol.41, No.3, pp.210-225 https://dx.doi.org/10.15709/hswr.2021.41.3.210
초록보기
Abstract

The integrated nursing care and service scheme (INCS) is a new nurse staffing policy for inpatient nursing service in South Korea, which helped to reduce the ratio of nurse to patients from 1:14.0~16.0 to 1:9.9. As a result, the INCS has high job creation effects for nurses and other personnel. This study aims to estimate the employment effects of the INCS under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NHIS) and compare it with those in other industries. Study data was collected from the INCS database of the NHIS and the input-output table of the Bank of Korea. The INCS from 2015 to 2019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Both direct and indirect employment effects were analyzed by an input-output model based on the INCS demand in 2019. In 2019, a total of 534 hospitals and 49,067 beds have participated in the INCS, and a total of 24,308 nurses, 7,528 nursing assistants, 3,590 ward staffs, and 1,622 rehabilitation staffs were directly employed. The total nursing fee was KRW 1.5 trillion per year. During the last 5 years, an amount of KRW 1 billion in the INCS was estimated to have produced an employment impact of 25.1 nursing jobs, 19.7 other jobs, resulting in a total of 44.8 positions. The employment effect of the INCS was 3.5 to 6.1 times higher than those in other industries. The government should steadily expand the INCS, considering the enhanced quality of nursing services as well as high employment effects. It is recommended to expand the INCS, taking into account the availability of nursing personnel and the quality of employment.

초록

의료기관 간호인력의 확보 수준을 높여 입원환자에 대한 간호서비스의 질을 제고하고, 환자와 가족의 간병부담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키고 있는 국민건강보험 간호・간병통합서비 스 사업은 간호사 1인당 환자수를 기존의 14~16명에서 9.9명으로 감소시켰다. 사업참여 를 위해서는 간호인력 추가고용이 필수적인데, 국민건강보험에서는 간호・간병수가를 원 가의 120~140% 수준으로 설정하여 경제적 유인을 제공하였다. 본 연구는 2015~2019년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사업의 운영 현황을 분석하고, 동 사업의 고용창출효과를 산업연관 분석을 통해 계량적으로 추정하였다. 자료는 연도별 국민건강보험공단 간호・간병통합서 비스 현황자료와 한국은행의 산업연관표이다. 2019년 기준으로 전국 534개 의료기관에 서 49,067병상이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간호사 24,308명, 간 호조무사 7,528명, 병동지원인력 3,590명, 재활지원인력 1,622명 등 총 37,048명이 간호 인력으로 근무하고 있다. 통합병동의 연간 입원료로 1조 4,784억 원이 지출되었는데, 지 출 10억 원당 간호인력의 직접고용은 25.1명, 산업연관효과에 의한 간접고용은 19.7명으 로 총 44.8명이 고용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전체 산업의 평균 총고용 7.4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12.9명, 의료 및 보건업 9.8명과 비교하였을 때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사업의 고용창출효과는 타 산업 대비 3.5~6.1배 수준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간호・간병통 합서비스 사업의 본래 목적인 의료보장 기능뿐만 아니라 부가적인 고용창출효과를 고려 하여 사업을 확대할 필요가 있으며 간호인력 수급 가능성과 고용의 질적 측면에 대한 고려를 통해 합리적인 방향으로 정책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