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검색 결과

검색결과 26개 논문이 있습니다
초록보기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arent’s parenting style, smartphone dependency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Also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mediation effects of smartphone dependen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yles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This study used the 2018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Specifically, this study used the 2,590 1st grade of middle school panel student sampl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positive parenting styl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adaptation to school life. Negative parenting styl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martphone dependency. But, negative parenting style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adaptation to school life. Secondly, smartphone dependency had a partially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parenting styles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These findings confirmed that parenting style and smartphone dependency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to help middle school students better adapt to their school life.

초록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의 양육태도, 스마트폰의존도, 학교생활적응의 종합적인 관계 및 부모의 양육태도와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스마트폰의존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 2018의 중학교 1학년 2,590명의 패널데이터를 활용하여 인과모형을 설정하고 구조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는 학교생활적응에 정적영향을 미쳤다. 반면,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는 스마트폰의존도에 정적영향을, 학교생활적응에는 부적영향을 미쳤다. 다음으로,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와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스마트폰의존도는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중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 및 학교생활적응 문제와 관련한 예방 및 사후 처치로 부모-학교-사회 차원의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는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은 물론 스마트폰의존도를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까지 미치기에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 및 학교 부적응을 예방하기 위해서 부모 차원에서 자녀가 느끼는 부정적 양육태도를 인식하고, 이를 개선하고자 하는 노력을 적극적으로 기울여야 함을 시사하였다.

초록보기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diating role of sense of commun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ge-friendly environment and life satisfaction. A total of 307 adolescences (age 18-44), middle-aged adults (age 45-64), and older adults (age over 65) were taken from the 2017 Survey On Age Integration, which was conducted as part of the Initiative for Humanities Research and Education with funding from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were analyzed using multiple-group analysis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significant age group differences. First, in the effect of age-friendly environment on life satisfaction, sense of community had a mediating role. Second, the model showed a significant age group differences. The adolescent group showed a full mediation effect of sense of community, and the middle-aged group showed a partial mediation. The older group did not show any mediating effect, but age-friendly environme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Policy and practical intervention methods to enhance the life satisfaction in the aging society were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초록

본 연구는 고령친화환경과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이들 관계가 연령집단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연구재단의 인문사회역량강화지원사업에서 진행된 ‘2017 연령통합설문조사’자료의 청년집단(18-44세) 303명, 중년집단(45-64세) 357명, 노년집단(65세 이상) 353명 등 1,013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의 다집단 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고령친화환경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공동체 의식의 매개효과가 집단 간에 차이가 나타났다. 연령별 차이를 살펴보면, 고령친화 환경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청년집단은 공동체의식의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년집단은 부분매개를 통해 고령친화환경과 삶의 만족의 관계를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년집단에서는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고령친화환경과 공동체의식이 삶의 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기반 하여 삶의 만족을 위해 공동체 의식 형성을 기반으로 하는 고령친화환경에 대해 정책적ㆍ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초록보기
Abstract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dentify the work-life balanc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that nursing assistants perceive and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s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e process of work-life balance affecting turnover inten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201 nursing assistants working at 11 institutions in integrated nursing services (S, N, U, U, I, T), and clinics (S, N, I, I).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25.0.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ork-life balance show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re is a negative correlation in turnover intention. Second, work-life balance has been shown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Third,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s on work-life balance and turnover int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 order to reduce the turnover of nursing assista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strategies that can improv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especially in establishing strategies that can improve work-life balance.

초록

본 연구는 현직 간호조무사들이 지각하는 일과 삶의 균형,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 관계를 파악하고, 일과 삶의 균형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S시, N시, U시), 요양병원(S시, N시, U시, I시, T시), 의원(S시, N시, I시) 등 총 11개의 기관에 근무하는 간호조무사 201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5.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과 삶의 균형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이직의도에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과 삶의 균형은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은 일과 삶의 균형과 이직의도에 부분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간호조무사의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일과 삶의 균형을 향상하는 전략 개발이 요구되며, 특히 이를 확립하는 데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높일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14

제41권 제3호

사별 경험자의 복합비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Complicated Grief of Those Who Experienced Bereavement
김혜진(연세대학교) ; 송혜원(연세대학교) ; 이예진(연세대학교) ; 송인한(연세대학교)
Kim, Hye Jin(Yonsei University) ; Song, Hye Won(Yonsei University) ; Lee, Yea Jin(Yonsei University) ; Song, In Han(Yonsei University) 보건사회연구 , Vol.41, No.3, pp.75-91 https://dx.doi.org/10.15709/hswr.2021.41.3.75
초록보기
Abstract

Sudden bereavement is known to increase the psychological distress of those left behind. Complicated grief is a set of symptoms of pathological mourning that persists after bereavement, and the risk of occurrence is high when experiencing sudden loss, such as suicide. In Korea, whose suicide rate is the highest among OECD countries, suicide survivors continue to occur, which raises concerns about complicated grief and their potential suicide risk. However, not much study has been conducted in Korea on complicated grief, and systematic analysis of influencing factors is lacking.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data (N=1,068) of the 1st Wave of the Longitudinal Study of Suicide Survivors, using a nationwide stratified sampling method. An exploratory study was conducted on the factors affecting complicated grief. Higher complicated grief was associated with higher bereaved age, shorter time after death, higher level of interaction with the deceased, and higher emotional intimacy with the deceased. When the cause of death was suicide, it had a more significant effect on the complicated grief than other sudden and expected death. Based on these findings, clinical interventions were suggested for people who experience difficulties after bereavement, including suicide in social relationships.

초록

갑작스러운 사별은 남겨진 사람들의 심리적 고통을 높인다고 알려져 있다. 복합비애 란 사별 이후 지속되는 병리적 애도 증상으로 자살과 같이 갑작스러운 상실을 경험할 때 발생 위험이 높다. OECD 국가 중 자살률이 가장 높은 우리나라에서 자살 사별자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복합비애와 그로 인한 잠재적 자살 위험군의 증가가 우려된 다. 그러나 아직 복합비애 연구는 국내에서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영향 요인에 대한 체계적 분석도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최초 전국 단위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반영하여 조사한 ‘사회적 관계 내에서 자살을 경험한 자살생존자의 정신건강 추적연구’ 1차년도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별자를 추출하고(N=1,068), 복합비애에 영향 을 미치는 인구통계학적 요인, 사별 특성 요인, 사망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를 실시했 다. 사별자 연령이 높을수록, 고인의 사망 시점이 짧을수록, 생전 고인과의 교류 수준이 많을수록, 고인에 대한 주관적 친밀감이 높을수록 복합비애가 높게 나타났다. 고인의 사망 원인이 자살 사망일 경우, 갑작스러운 사망과 예상한 사망일 경우보다 복합비애에 더 많은 영향을 미쳤다. 이를 근거로 다양한 사회적 관계 내에서 자살을 비롯하여 사별 후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에 대한 실천적 개입 방안을 제언하였다.

15

제41권 제4호

노인구강건강과 우울 수준의 연관성
The Relationship between Old-age Oral Health and Depression Levels
김세연(단국대학교) ; 김재현(단국대학교)
Kim, Se Yeon(Dankook University) ; Kim, Jae Hyun(Dankook University) 보건사회연구 , Vol.41, No.4, pp.62-71 https://dx.doi.org/10.15709/hswr.2021.41.4.62
초록보기
Abstract

Depression is the strongest factor in elderly people’s suicidal thoughts, and it is a problem that requires social attention.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in the elderly higher in Korea than in any OECD country. so a more prompt solution is needed for Korea, a rapidly-aging countr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and the level of depression based on previous studies that oral health, which causes problems in the elderly, increases the level of depression in the elderl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7th wave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in 2018. A total of 5,577 people aged 55 and older were subjected to 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logistic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Geriatric Oral Health Assessment Index (GOHAI) and depression. The correlation analysis foun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ge and CES-D an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age and GOHAI. As a result of multiple logistic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likelihood of depression experience has been statistically reduced as GOHAI increases by one unit (OR: 0.966), and CES-D also has been statistically reduced as GOHAI increases by one unit (B: -0.028).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a life-course oral health management program can be proposed as a way to prevent depression in the elderly, and through this oral health improvement, a higher effect of preventing depression in the elderly group can be expected.

초록

우울은 노인 자살의 위험 요인 중 가장 높은 위험성을 갖는 사회적 문제이다. 우리나라의 노인 우울은 OECD 국가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어, 고령사회에 진입한 우리나라에서 더욱 신속한 해결 방안이 필요한 부분이다. 본 연구는 좋지 못한 구강건강 수준이 노인의 우울 수준을 높인다는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노인 우울 예방을 위한 구강건강의 중요성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자료는 제7차 고령화연구패널조사를 통해 수집하였으며, 총 5,577명의 5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상관분석과 다중 로지스틱, 다중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령과 CES-D 우울척도, 노인구강건강평가지수(GOHAI) 간의 상관분석 결과, 연령과 CES-D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연령과 GOHAI는 부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GOHAI와 우울 경험 및 CES-D에 대한 다중 로지스틱, 다중 회귀분석 실시 결과, GOHAI가 한 단위 증가할수록 우울 경험의 가능성은 0.966배 낮아졌으며. CES-D 또한 0.028점 낮아졌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구강건강과 우울의 연관성을 확인함으로써 노인 우울을 예방하기 위해 노인의 생애주기별 구강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하나의 방안으로 내세울 수 있으며, 구강건강 증진을 통해 노인 집단에서 더 높은 우울 예방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16

제41권 제4호

일자리 관련 요인과 출산 의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Job Stability and Policy Response to Low Fertility Rate in Korea
조성호(한국보건사회연구원) ; 문승현(University of Georgia)
Cho, Sung-Ho(Korea Institute of Health and Social Affairs) ; Moon, Seung-Hyun(University of Georgia) 보건사회연구 , Vol.41, No.4, pp.262-279 https://dx.doi.org/10.15709/hswr.2021.41.4.262
초록보기
Abstract

As the dual structure of the Korean labor market is becoming entrench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mpirically verify the impact of job-related factors on childbirth intention and derive measures to cope with low birth rates in Korea. According to the result, husbands’ job-related factors positively affected the wives’ childbirth intention when their employment was stable, working fewer hours, and childbirth-friendly. On the one hand, working wives had high fertility intention for their first child, but on the other hand, their childbirth intention for more children was high only when their employment was non-regular or they had enough time to care for their family.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fertility intention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stable jobs, but this pattern differs according to the job factors of husband and wife and the birth order of their child. Therefore, ensuring stable employment and sufficient income is necessary for increasing childbirth intention. Measures were suggested to alleviate the dual structure of the Korean labor market, such as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he principle of equal pay for work of equal value, the transition of non-regular workers to regular workers, and the expansion of family-friendly policies.

초록

자녀의 출산 및 양육은 경제적인 상황과 밀접한 관계가 있고, 경제적인 상황은 일자리와 연관이 있으므로 일자리는 출산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노동시장의 이중구조가 고착화되어 가는 현재 우리나라의 상황에서 일자리와 관련된 요인들이 출산 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여 저출산 대응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분석 결과, 남편은 일자리가 안정적이고, 시간적 여유가 있는 것이 본인의 첫째 자녀 출산 의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아내의 경우 자녀 한 명은 낳고 싶은 욕구로 인하여 일을 하는 경우에도 첫째 자녀 출산 의향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둘째 자녀(이상)의 경우에는 노동시장에서 이탈하더라도 크게 부담이 없거나 업무 시간에 비교적 유연성이 있는 비정규직의 경우에 출산 의향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남편의 직장이 가족친화적인 경우에도 출산 의향이 높아졌다. 따라서 출산 의향은 안정적인 일자리와 양(+)의 관계를 가지나, 이러한 양상은 남편과 아내의 일자리 변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출생순위별로도 다르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안정적인 일자리를 통하여 자녀 양육이 가능할 정도의 소득과 일자리 환경을 보장하는 것이 출산 의향을 높이는 데 중요함을 의미하며, 결론부에서는 그 일환으로 노동시장의 이중구조 완화를 위한 정책(동일노동 동일임금 제도의 구축,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가족친화제도의 확대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초록보기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influence of the participation of the disabled in leisure activities on life satisfaction, and whether disability acceptance mediated in their relationships. To this end, this study utilized the 2nd Wave 4th Year Survey of Employment Panel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which was distributed in 2020.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1,782 persons with disabilities who are actually married, and the analysis is based on SPSS 25.0.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First, the participation of disabled people in leisure activities showed a positive (+) effect on life satisfaction. Second,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has shown a positive (+) effect on disability accommodation. Third, it was revealed that disability acceptance has the effect of mediating the leisure activities and living satisfaction of the disabled. Based on the above-mentioned study, this study discussed ways to improve life satisfaction by improving the acceptance of disabilities for disabled people to recognize their disabilities and accept their disabilities.

초록

본 연구는 장애인의 여가활동참여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과 장애수용이 이들 간의 관계에서 매개하는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20년에 배포한 장애인고용패널조사 2차 웨이브 4차년도 조사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사실상 혼인상태에 있는 장애인 1,782이며, 분석은 SPSS 25.0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장애인의 여가활동참여는 생활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보였다. 둘째, 여가활동참여는 장애수용에 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셋째, 장애수용은 장애인의 여가활동참여와 생활만족도 간을 매개하는 효과가 있음을 밝혔다. 본 연구는 이상의 연구를 토대로 장애인이 스스로 장애를 인식하고 자신이 가진 장애를 받아들이려는 장애수용의 향상을 통해 생활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들을 논의하였다.

초록보기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on the effects of depression and anxiety on happiness and to identify the three different out-of-home care placement types-specific differences. For these purpose, the data were analyzed for 715 of the out-of-home care children.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a reliability test,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t-test, F-test,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1. The major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of all out-of-home care children showed that depression and anxiety had a negative(-) effect on happiness and resili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happiness. Also the interaction term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happiness. This identified the function of the resilience as a moderating effect. Second, the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by type of out-of-home care showed that in all types, depression and anxiety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happiness and resili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happiness. However,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was significant only in child care facilities and group hom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efforts were needed to improve the happiness and resilience of out-of-home care children and the needs for psychological and emotional intervention that can reduce anxiety and depression.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외보호 아동의 우울・불안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레질리언스가 조절효과를 갖는가를 검증하고, 이것이 보호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를 탐색적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8 자립 준비 실태 및 욕구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가정외보호 아동 715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가정외보호 아동을 대상으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우울・불안은 행복감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레질리언스는 행복감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또한, 레질리언스는 우울・불안과 행복감 간의 관계를 변형시키는 조절변수로 작용하였다. 둘째, 가정외보호 유형별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든 유형에서 우울・불안은 행복감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그리고 레질리언스는 행복감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레질리언스의 조절효과는 양육시설, 공동생활가정에서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가정외보호 아동의 우울・불안 완화, 행복감 및 레질리언스 향상의 중요성과 실천적 고려사항 등을 제안하였다.

19

제41권 제2호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돌봄노인 죽음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Death Experiences of Caregivers at Nursing Homes for the Elderly
안은숙(영진사이버대학교) ; 이진숙(대구대학교)
Ahn, Eun-Sook(Yeungjin Cyber University) ; Lee, Jin-Sook(Daegu University) 보건사회연구 , Vol.41, No.2, pp.198-221 https://dx.doi.org/10.15709/hswr.2021.41.2.198
초록보기
Abstract

초록

이 연구는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에게 경험된 현상으로서의 돌봄노인 죽음경험을 연구하고 그 본질을 파악하고자, Giorgi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11명의 현직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돌봄노인의 죽음경험을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관계적 노동특성을 지닌 돌봄의 선험경험이 증폭된 죽음경험을 체험하도록 작용하고 있었고, 이 경험이 또다시 결과적 후속경험을 양산하는 인과적 본질구조를 생산함을 확인하였다. 이들의 슬픔은 복합된 고통의 감정이며, 주목받지 못하고 홀로 삭이는 슬픔이었다. 그리고 이런 고통과 슬픔경험을 유발하는 환경 여건이 구조적으로 조성되어 이를 빈발되게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선행연구 결과들과 유사하게 요양보호사들은 이로 인해 슬픔극복과 성장욕구가 구조적으로 제한되는 영향을 받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요양보호사가 적절한 지식과 기술을 갖추고 죽음에 대해 안정된 서비스 제공자로 기능하도록 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고 함의를 제시하였다.

초록보기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change patterns in self-rated health levels and explore the effect timing of disability on these patterns.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ated health level and social networks using a longitudinal study. For this, Multi-level Growth Model is used to analyze data from the 1st to 13th waves of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unconditional growth models showed that self-rated health of older adults with disabilities linearly increased from the lst to 13th waves. Individual differences were significant in the initial status and the growth rate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nge of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time of disability onset. The health status of people with late-onset disabilities was worse initially than that of people with early-onset disabilities. However, the health status of the former improved rapidly over time. Third, it was found that social networks affect the health changes of older people with disabilities. Active network had a positive effect on health change, whereas the bonding network had a negative effect. These findings have provided variou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professionals in the field of social work.

초록

본 연구는 고령장애인의 사회적 네트워크에 따른 주관적 건강상태의 변화양상 및 그 변화에서의 개인차에 대한 장애 발생 시기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에 고령장애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사회적 네트워크 두 변수들의 변화양상 및 종단적인 관계를 검증하였다. 또한 한국복지패널 1~13차년도 종단데이터를 활용하여 다층성장모형(Multilevel Growth Model)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무조건 성장모형에서는 고령장애인의 건강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좋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 발생 시기에 따라 건강상태의 변화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노인성 장애인의 건강상태가 초기에는 고령화된 장애인보다 좋지 않았으나, 시간이 지날수록 더 빠르게 좋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네트워크가 고령장애인의 건강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능동적 네트워크는 건강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결속형 네트워크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고령장애인의 건강증진 정책에 대해 논의하였다.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