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검색 결과

검색결과 3개 논문이 있습니다
1

제40권 제4호

Posttraumatic Growth in Mothers of Children with Cancer in Korea: Growth of Contradictory Coexistence
소아암 자녀를 둔 어머니의 외상 후 성장 경험
최권호(경북대학교) ; 남석인(연세대학교)
Choi, Kwonho(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Nam, Seok In(Yonsei University) 보건사회연구 , Vol.40, No.4, pp.332-359 https://dx.doi.org/10.15709/hswr.2020.40.4.332
초록보기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 of posttraumatic growth (PTG) in mothers of children with cancer. The participants were 13 mothers of children under age 18 who had been diagnosed with cancer and whose treatment was complet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analyzed using grounded theory. The major finding was that PTG constituted finding meaning and reconstructing the worldview by means of rumination between contradictory domains: withdrawal and advancing. Withdrawal domains include intrusion by distressing thoughts and feeling isolated, and advancing domains refer to discovering gratitude in life, family togetherness, increased empathy, and spiritual change.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PTG may be summarized by Lao-tzu’s aphorism: “A person who is advancing in Tao may appear to withdraw”. Given the characteristics of PTG, which may be the harmonious coexistence of contradictions, psychosocial services should be provided for all family members of children with cancer.

초록

삶을 뒤흔드는 사건인 소아암 진단과 치료는 당사자뿐만 아니라 어머니에게도 심각한 외상 사건이다. 본 연구는 소아암 자녀를 둔 어머니의 외상 후 성장이 어떻게 경험되는 지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소아암 자녀를 둔 어머니 13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진행하였고, Glaser의 근거이론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외상 후 성장은 자녀의 소아암 치료가 종료된 뒤 트로피처럼 부산물로 획득되는 것이 아니라, 밝음과 어두움 사이에서 끊임없이 의미를 발견하고 세계관을 재구성하는 일련의 과정이며, 이는 노자의 도덕경에서 말하는 “명도약매 진도약퇴(明道若昧 進道若退)”와 같이 대비적 속성의 공존으로 이해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긍정적 요소(明)로는 ① 감사의 발견, ② 끈끈해진 가족, ③ 공감의 확장, ④ 영적 변화가 있었으며, 부정적 요소(昧)로는 ① 끊임없는 고통, ② 고립의 경험 등이 있었다. 이러한 발견을 토대로 소아암 어머니의 외상 후 성장 개념에 대해 논의하였다.

2

제40권 제4호

소아청소년암으로 자녀와 사별한 부모들의 사별지원 서비스 욕구와 선호
Needs and Preferences of Bereavement Support Services from the Perspectives of Parents Who Lost a Child and Adolescents with Cancer
김민아(성균관대학교) ; 김찬권(명지대학교) ; 정대희(서울대학교병원)
Kim, Min Ah(Sungkyunkwan University) ; Kim, Chan Kwon(Myongji University) ; Jung, Dee Hee(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보건사회연구 , Vol.40, No.4, pp.360-400 https://dx.doi.org/10.15709/hswr.2020.40.4.360
초록보기
Abstract

Bereavement support services are important to help bereaved parents who lost their child to cancer cope with grief and find new meaning in living after the death of child. This study examined the bereavement service needs and preferences of bereaved parents who lost a child and adolescents with cancer. A total of 58 bereaved parents who lost a child to cancer participated in a questionnaire that assessed helpfulness ratings, actual and projected service utilization of bereavement support services, and preferences for topics they would like to discuss about regarding bereavement services. Frequency and descriptive analyses and independent t-test were conducted. Participants reported time alone with deceased child and quiet room after death would be the most helpful. The degree to which the service is perceived to be helpful was different by gender, age, and diagnosis. The most commonly used services were chaplain before or at the time of death and support groups. Preferred topics for bereavement services were different by age, education, income, religion, other surviving children, diagnosis, child’s age at the time of death. This study informs provision of opportunities that share bereaved parents’ needs about the support services as well as provision of bereavement support services based on their needs, and thus, helping them grieve and recover their life.

초록

소아청소년암으로 자녀를 잃은 부모들의 사별슬픔을 완화하고 새로운 삶의 의미를 되찾기 위해서는 사별지원 서비스가 중요하다. 본 연구는 소아청소년암으로 자녀와 사별한 부모의 사별지원 서비스에 대한 욕구와 선호에 대해 파악하였다. 총 58명의 사별부모들이 구조화된 설문조사에 참여하여 사별지원 서비스 도움 정도에 대한 인식, 이용 경험 및 이용 의사, 서비스 관련한 선호 주제에 대해 응답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빈도분석 및 기술분석,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자녀의 임종 직후 머물 수 있는 조용한 공간이나 둘만의 시간을 갖도록 지원하는 서비스가 가장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였고, 서비스 유용성 인식은 성별, 연령, 자녀의 진단명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가장 많이 이용하는 서비스로는 임종 전후에 드리는 종교예식 및 지지모임으로 나타났다. 사별지원 서비스로 선호하는 주제는 연령, 최종 학력, 소득, 종교, 남은 자녀 유무, 진단명, 사망 시 자녀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사별가족의 서비스 욕구를 소통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고, 사별부모들의 욕구에 기반한 지지적인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이들의 사별슬픔과 애도를 지원하며 삶의 회복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

초록보기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in everyday life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stress on depression/anxiety and aggression of children. This study analyzed data from the 2017 Comprehensive Survey of Children in Seoul, including 4,831 children aged 10-17.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in everyday life significantly increased depression/anxiety and aggression. Second, results revealed that self-esteem and stress were significant media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in everyday life and depression/anxiety, aggression of children. Third, among the mediating factors, the indirect effect of stress was greater than that of self-esteem. Findings suggested that discrimination prevention education is needed to reduce depression/anxiety, and aggression caused by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in everyday life. Also, strategies for promoting self-esteem and reducing stress were discussed.

초록

본 연구는 일상에서의 차별 피해 경험이 아동의 우울 및 불안과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의 매개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7년 서울시 아동 종합실태조사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만 10~17세 4,831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차별 피해 경험이 많을수록 우울 및 불안과 공격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차별 피해 경험과 우울 및 불안, 공격성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가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매개 변수 중 자아존중감보다 스트레스의 간접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차별 피해로 인한 우울 및 불안과 공격성 감소를 위해 차별 예방 교육 시행뿐만 아니라 자아존중감 증진, 스트레스 감소 전략 등을 제시하였다.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