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검색 결과

검색결과 2개 논문이 있습니다
초록보기
Abstract

초록

이 논문은 장기요양인정자의 최초 재가급여 선택과 재가급여 유지 및 이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Aging in Place에 기여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분석자료는 장기요양인정자 전체를 포함하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장기요양인정 종단조사자료(2008-2015년)를 이용하였으며, Andersen 서비스이용 행동모델을 채용하여 분석하였다. 최초 급여선택 영향요인 분석결과, 남성, 연령이 낮을수록, 가족수발자가 있는 경우 재가급여 선택 확률이 높은 반면, 치매가 있는 경우 시설급여를 선택할 확률이 높았다. 생명표 분석결과, 초기 재가급여 이용자 중 13.1%가 시설급여로 변경하였으며, 시설로 이동하는 재가 이탈자의 71%가 장기요양인정 이후 2년에서 4년 사이에 집중적으로 발생했다. 콕스 비례위험회귀분석을 통해 재가급여 이탈 위험확률을 분석한 결과, 여성, 연령이 높을수록, 독거에 비해 주수발자 여부 관계없이 동거하는 경우, 치매가 있는 경우에 재가급여 이탈 확률이 높았다. 반면 양호한 주거상태는 재가급여 계속이용 확률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는 가족수발의 인내는 2년 정도이며, Aging in Place를 위해 젠더인지적 관점, 가족수발자 지원, 주거환경 개선, 지역사회 치매지원 대책이 필요하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By adapting survival analysis on the staying at home of qualified recipients for long-term care, this paper attempts to empirically clarify what factors contribute to staying at home as long as possible. Using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s Long-Term Care Qualification Longitudinal Survey (2008-2015), this paper analyzed the factors contributing to the initial benefit selection and at-home survival rate. The results of the factor analysis showed that the probability of choosing home care was higher for males, lower age group, having family caregiver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dementia, the probability of choosing institutional care was high. As a result of the life table analysis, it was found that 13.1% of the initial home care users changed to institutional care, and about 71% of the moves take place between 2 and 4 years. The Cox proportional hazards regression model analysis showed that the likelihood of withdrawal from home care was higher: for women, for older, for those living together, and for those with dementia. On the other hand, good housing conditions contributed to a higher likelihood of staying at home.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how that the patience of family care is about two years, and it provides the following policy implications for aging in place: gender perspective, support for family caregiver, improvement of residential environment, and community support for dementia are needed.

2

제37권 제1호

Alcohol Dependence Assessment in South Korea and Mainland China
한국과 중국의 응급실 내방 손상환자의 알코올 의존자 비율 비교 연구
MtwesiMandisa Pumla ; SerranoSalim ; ChunSung Soo ; ZibaPatrick Wyson
보건사회연구 , Vol.37, No.1, pp.568-589
PDF
초록보기
Abstract

초록

This study aimed at using design-thinking to surmount globally harmful drinking dynamics, as identified in South Korea and alcohol research-scarce China. The prevalence rate of 12-month diagnoses of the Rapid Alcohol Problem Screen 4 (RAPS4) on alcohol dependence in South Korea and China were compared using the Emergency Department (EDs) surveys, sponsored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conducted on 4,509 adults visiting the Korean and Chinese EDs. Weighted prevalence estimates of alcohol dependence were cross-tabulated using chi-square tests and dependence relationships acros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established using linear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Psychiatric disarrays were shown by researchers to indicate alcohol dependence associated with drinking norms, evidencing a higher proportion of alcohol dependence in South Korea (17.5%), as compared to limited alcohol dependence sampling tied to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alcohol consumption in China (13.7%). The odds of alcohol dependence for mal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high in both countries, being four times higher in South Korea [4.9% (95% CI, 3.6% – 6.8%)] than China [2.6% (95% CI, 1.9% –3.6%)]. In both countries, alcohol dependence was more salient in younger ages (18–24 and 25–34) and extensively greater for males in the oldest age group, along with highest heavy episodic drinking among ages 25–34 in China. Future investigators would benefit by attending precisely to measures for alcohol dependence as well as for alcohol consumption.;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응급실에 손상으로 내방한 성인을 대상으로 알코올의존의 정도를 측정하고 두 국가 간 알코올의존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세계보건기구의 유해음주감소를 위한 응급실연구의 프로토콜의 절차와 방법에 따라 두 국가에서 자료를 수집하였다. 알코올의존에 대한 측정은 RAPS4를 활용하여 지난 12개월동안의 음주 상태를 질문하여 의존을 측정하였다. 분석대상은 모두 4,509명이었으며, 비율의 차이를 검정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선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결론을 유도하였다. 응급실에 손상으로 내방한 환자의 알코올의존의 비율이 한국은 17.5%로 중국의 13.7%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양국 모두에서 남성의 알코올의존에 대한 확률은 높았고 또한 두 나라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한국[4.9% (95%CI, 3.6%-6.8%)]에서 중국[2.6% (95%CI, 1.9%-3.5%)]보다 4배 더 높게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알코올의존은 어린 나이에서 두드러진 특징을 보였으나(한국 18-24세, 중국 25-34세), 남성들의 경우 나이가 가장 많은 그룹에서 알코올의존이 특이하게 높았고, 중국의 경우 25-34세 집단에서는 빈번한 폭음에 의한 알코올의존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알코올소비를 감소시킬 대책뿐 아니라 알코올의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