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검색 결과

검색결과 5개 논문이 있습니다
초록보기
Abstract

초록

물질주의와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에 의하면, 물질주의는 개인의 정신건강 수준을 반영하는 여러 지표와 부적 상관을 보인다. 물질주의가 높은 사람들의 낮은 정신건강의 원인으로는 크게 두 가지, 즉 물질적 목표 도달의 실패, 그리고 외적 목표 추구로 인한 심리적 욕구의 비충족이 논의된 바 있다. 본 연구는 물질주의와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경제적 수준의 조절효과에 대한 서로 다른 가설을 위의 두 관점으로부터 도출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1에서는 169명의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물질주의와 우울감, 심리적 안녕감, 삶의 의미 간의 관계에서 가구 월 소득 및 지각된 자원 이용가능성으로 측정된 경제적 수준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 2에서는 경제적 자원 활용에서의 통제감을 고려하여, 실질적으로 경제활동을 하는 직장인 152명을 대상으로 위의 효과를 재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물질주의는 개인의 경제적 수준과 관계없이 높은 우울감, 낮은 심리적 안녕감과 낮은 삶의 의미와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물질주의 가치관이 만연한 한국 사회에서 본 연구가 지니는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In light of the previous studies that have found a negative relation between materialism and various indicators of mental health, the present research aime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an individual’s objective and subjective economic status. Two different perspectives have been discussed regarding materialists’ poor mental health: discrepancy between high materialistic goals and reality, and unmet psychological needs resulting from the pursuit of extrinsic goals. Two studies were conducted to test the different predictions on the moderating effect of economic status that were made according to each perspective. In Study 1 (N = 169), we examined whether participants’ monthly household income (objective economic status) or perceived resource availability (subjective economic status) moderated the relation between materialis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meaning in life, and depression. In Study 2 (N = 152), we recruited only currently employed individuals in order to control for the perceived power over their economic resources. In both studies, materialism was negatively related to various indicators of mental health. This relation was not moderated by individuals' objective or subjective economic status, supporting the unmet psychological needs perspective. We discuss implications of the results with regard to the prevalent materialism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초록보기
Abstract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rrelations between coping strategie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Korean adolescent and young adult cancer survivors. Two hundred eighteen Korean childhood cancer survivors completed structured questionnaires on coping strategie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he most frequently reported coping strategy was self-distraction (97.2%), followed by positive reframing (95.9%) and active coping (95.9%).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yielded three coping factors: approach (active coping, positive reframing, religion, acceptance, and planning), social (emotional support, instrumental support, self-distraction, and venting), and avoidant (behavioral disengagement, self-blame, and humor). The results of bivariate correlation analyses showed that approach coping was associated with better physical and mental health, whereas both social and avoidant coping were associated with poorer mental health. Identifying coping strategies that childhood cancer survivors use and those strategies’ potential associations with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s of interest to clinicians treating childhood cancer survivors adjusting to stressful experiences.;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청소년기 및 성인초기 소아암 생존자들의 대처 전략과 건강관련 삶의 질의 상관관계를 탐색하는 것으로, 218명의 소아암 생존자가 대처 전략 및 건강관련 삶의 질에 대한 구조화된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이 가장 빈번하게 이용하는 대처 전략은 자기분산(97.2%)이었고, 긍정적 재구성(95.9%), 적극적 대처(95.9%)의 순으로 나타났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능동적 대처(적극적 대처, 긍정적 재구성, 종교, 수용, 계획), 사회적 대처(정서적지지, 도구적지지, 자기분산, 분출), 회피적 대처(행동적 일탈, 자기비난, 유머)의 3가지 요인이 도출되었다. 상관관계 분석결과, 능동적 대처는 높은 수준의 신체 및 정신건강과 관련이 있었던 반면, 사회적 대처 및 회피적 대처는 낮은 수준의 정신건강과 관련이 있었다. 본 연구는 소아암 생존자가 이용하는 대처 전략을 파악하고 대처 전략과 건강관련 삶의 질의 상관관계를 조사함으로써 다양한 스트레스 상황에 마주하게 되는 소아암 생존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임상현장의 전문가들에게 함의를 제공한다.

초록보기
Abstract

초록

This study aims to identify experiences of immigration and mental health related characteristics of non U.S.-born adolescents and to examine predictors related to mental distress within a social ecological perspective. Secondary data of 348 non U.S.-born adolescents from the CHIS 2011-2012 Adolescents Survey were used for this study. Impacts of individual, family, school, and community factors on mental distress of non U.S.-born adolescents were examined using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average age of the adolescents was 14.5 years (SD = 1.7), and more than half were girls (53.4%). Of the participants, 31.6% were interviewed in a language other than English and 72.7% did not use English at home. Nearly half have been living in the U.S. for over 10 years (48.6%). Approximately 2% had a score of 13 or over indicating serious mental distress. Being interviewed in a language other than English, speaking English at home, having higher levels of school support and neighborhood cohesion, and not being threatened by peers were associated with current lower levels of mental distress in non U.S.-born adolescen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ntribute to the literature and theory focusing on impacts of acculturation, school, and neighborhood on mental health of immigrant adolescents. Schools and communities may be the channels to help immigrant adolescents’ acculturation process and ultimately to reduce their mental distress.;본 연구는 미국내의 이민 청소년들의 정신 건강적 특징과 이민 경험을 파악하고, 이들의 심리적 피로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이다. 캘리포니아 헬스 인터뷰 서베이(CHIS)로부터 미국에서 태어나지 않은 이민청소년 348명에 대한 데이터 정보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이민 청소년들의 심리적 피로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개인 특성(나이, 성별, 인터뷰 언어, 미국 거주 기간), 가정(어른의 보살핌, 가정에서 사용하는 언어), 학교(학교에서의 지지, 또래 괴롭힘 유무), 그리고 지역사회 수준의 변수(이웃간 응집도)들을 위계적 다중 회귀모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이민청소년들의 평균연령은 14.5세(표준편차=1.7)이고 여성이 53.4%를 차지하였다. 응답자들 가운데 31.6%가 인터뷰 언어로 영어가 아닌 다른 언어를 사용하였고, 72.7%가 집에서 영어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상자의 거의 절반에 가까운 48.6%가 미국에서 10년이상 거주하는 것으로 보고하였고, Kessler 등(2004)이 제시한 기준을 적용하면, 약 2%의 이민 청소년들이 심리적 피로감 검사에서 점수 13점 이상의 심각한 심리적 피로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뷰 언어로 영어가 아닌 다른 언어를 사용했을 경우, 집에서는 영어를 사용하는 경우, 학교에서 지지와 지원이 높은 수준일 경우, 또래 괴롭힘을 당한 경험이 없는 경우, 그리고 이웃간의 응집도가 높은 수준일 경우 이민청소년들은 심리적 피로감이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이민청소년들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사용 언어, 그리고 학교와 이웃관련 요인들을 다룬 선행 연구와 이론에 함의를 제공한다. 또한 학교와 지역사회의 실천현장에서 이민청소년의 새로운 환경에 대한 적응 과정에서 겪게 되는 심리적 피로감을 감소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프로그램과 서비스 개발의 필요성 또한 강조한다.

초록보기
Abstract

초록

본 연구는 혼자 생활하고 있는 중고령자의 여가활동이 어떠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들이 가진 여가유형이 1인가구 중고령자의 우울수준에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국의 만 50세에서 만 69세까지의 중고령자를 대상으로 여가활동 현황을 조사한 자료 중 1인가구 중고령자 168명의 자료를 최종적으로 분석에 활용하였다. 여가활동 유형을 분석하기 위해 여가활동 내용, 여가 동반자 여부, 여가의 일상성 여부를 기준으로 잠재집단분석을 활용하였다. 1인가구 중고령자의 여가유형은 일상적 홀로 운동형(26.8%), 관계적 운동・오락형(28.0%), 일상적 취미활동형(23.3%), 여가소홀형(21.4%)의 네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1인 가구 중고령자의 여가활동유형이 우울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여가소홀형에 비해 일상적 취미활동형의 우울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그 밖에 여성에 비해 남성이, 미혼자에 비해 이혼・별거 또는 사별을 경험한 중고령자의 우울수준이 높았다. 그리고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자녀 또는 자녀배우자와의 만남빈도가 많을수록 우울수준이 낮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1인 중고령자의 건강한 여가활동 영위와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leisure activity types in which middle-aged people living alone engage,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types and depressive symptoms. Latent class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on a total of 168 people age 50-69 living alone. We identified four types of leisure activities the subjects engaged in: individual-oriented routine physical exercise (26.8%), socially-oriented/recreational activities (28.0%), hobby-oriented activities (23.3%), and leisure-neglect (21.4%). Hobby-oriented activities were associated with the lowest depressive symptoms. Also, men were more depressed than women, and the level of depressive symptoms was higher among those who experienced divorce or bereavement than among unmarried people. The higher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the higher the frequency of meeting with children, the lower the depression level.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ed some implications for supporting healthy leisure activities and for reducing the level of depression among middle-aged people living alone.

초록보기
Abstract

초록

본 연구는 의사결정트리를 이용하여 성인의 미충족 치과의료 경험의 영향 요인을 파악하고, 미충족 치과의료 경험 가능성이 높은 위험집단 및 치과의료 미충족 이유에 따른 집단을 분류하여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자료는 제6기(2013~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의 만 19세 이상 성인 15,918명이며, 연구에 이용된 변수는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행태적 특성, 정신인지적 특성, 건강관련 특성, 구강건강 특성 등이다. 자료는 복합표본분석, 의사결정트리, 로지스틱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미충족 치과의료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저작불편호소가 가장 중요한 요인이었으며 다음으로 가구소득수준, 스트레스, 연령, 경제활동 상태, 고할압 의사진단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저작불편을 호소하고 가구소득 수준이 낮은 65세 이상의 보험급여 가입자 그룹의 미충족 치과의료 경험이 67.8%로 전체 미충족 치과의료 경험률 31.3% 대비 두 배 이상 높았다. 또한 미충족 치과의료의 이유를 의료접근성 모형의 단계에 따라 위험집단의 특성을 파악해 본 결과, 의료필요의 인지(12.5%), 의료추구(21.8%), 의료도달(27.0%), 의료이용(36.9%)의 단계에 이를수록 미충족 치과의료의 이유에 대한 분율이 높았다. 본 연구는 미충족 치과의료의 영향요인과 이유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의료접근성 모형 및 의사결정트리를 이용하여 위험집단을 분류하고 이들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치과의료 접근성 향상을 위해서는 미충족 치과의료 위험집단의 특성별로 의료인지, 의료추구 단계에서부터 보건교육, 사회적 지지 등의 개입이 필요하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unmet dental care of adults using decision trees and to classify them according to the risk group of unmet dental care and the group of reasons for unmet dental care. The data are 15,918 adults aged 19 and over in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uring the 6th period (2013 - 2015). The variables used in the study wer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lth behavior characteristics, mental health characteristics, oral health characteristics. Data were analyzed by composite sample, decision tree,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Dental complaints such as mastication discomfort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affecting unmet dental care, followed by household income level, stress, age, economic activity status. 67.8% of those who have a complaint of mastication discomfort, low income and medical aid-insured group 65 years old or older experienced unmet dental care. This is over two times compared with overall unmet dental care experience 31.3%. In addition, the reason for the unmet dental care wa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tages of the access model to health car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recognition of dental needs (12.5%), dental care pursuit (21.8%), dental reach (27.0%), and use of dental care (36.9%). This study analyzed systematically the factors and reasons of unmet dental care using a health care access model and decision tree analysis. In order to improve accessibility of dental care, interventions such as health education and social support are needed for each type of unmet dental health risk group, especially classified according to early stages of access to health care such as first stage of perception of needs and desire for care and second stage of health care seeking.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