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검색 결과

검색결과 2개 논문이 있습니다
초록보기
Abstract

초록

본 연구는 환자에 대한 의료 서비스의 질적 제고를 위해서는 간호사의 조직시민행동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가정 하에, 간호 서비스의 영향변인으로 병원 관리자의 변혁적 리더십과 간호사의 조직시민행동을 선정하여 이들이 환자의 간호 서비스 질에 어떤 과정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경험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먼저, 이론적 논의에 근거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동시에 분석모형에 포함된 변수들의 신뢰도와 측정항목의 타당성을 분석하였다. 신뢰도 분석은 Cronbach’s 알파를 이용하였으며, 모든 측정 항목중 참여 활동을 제외하고 모두 0.7 이상으로 나타나 요인속성의 신뢰성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입증되었다. 그리고 가설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 및 Sobel test 등을 이용하였으며, 실증 분석을 위해 AMOS 7.0 등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관리자의 변혁적 리더십은 간호사의 조직시민행동은 물론, 간호 서비스의 질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시에 간호사의 조직시민행동은 관리자의 변혁적 리더십에 의해 영향을 받으면서 다른 한편으로 환자를 위한 서비스 질의 향상에는 원인변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두 변인의 중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간호사의 조직 시민행동은 병원 조직의 효과성과 발전은 물론 환자의 간호 서비스 질을 위한 중요한 영향변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Using a sample of 102 dyads of nurses who are working in local medium size hospitals and patients who are under their care,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transformational leadership(TFL) and quality of nurses’ care service(QNCS) as organization citizenship behavior(OCB) of nurses as a moderator. Based on Wortzel’s idea(1979) arguing that the result is highly reliable if the Cronbach’ α value is between 0.70 and 0.98, the scales were proved to have the reliabilities through the results(TFL = .902-.912, OCB = .893-906, and QNCS = .894). TFL of managers(including medical doctors) was prove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nurses’ OCB. And then, Sobel test was employed for mediation analysis of OCB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FL and QNCS, resulting that OCB produced some significant moderation effect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FL and QNCS. An important implication of this study’s findings is, consequently, that managers’ TFL should be positively enhanced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the level of QNCS through using the mediation role of nurses’ OCB.

초록보기
Abstract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사회복지조직에 가장 많이 형성되어 있는 ‘집단문화’와 ‘조직시민행동’사이에서 ‘정서적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대구·경북·부산지역에 소재한 사회복지조직 구성원 394명으로 하였으며, 자료는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활용하여 수집하였다.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중요한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조직 구성원이 지각한 ‘집단문화’ 수준은 ‘조직시민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복지조직 구성원의 조직시민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경로는 ‘집단문화 → 정서적 조직몰입 → 조직시민행동’, ‘집단문화 → 직무만족 → 조직시민행동’, 그리고 ‘집단문화 → 정서적 조직몰입 → 직무만족 → 조직시민행동’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서적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은 ‘집단문화’와 ‘조직시민행동’ 사이에서 ‘완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서적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이 ‘집단문화’와 ‘조직시민행동’을 연결해 주는 가교(架橋)역할을 하고 있음을 말해 주고 있다. ‘집단문화’와 ‘조직시민행동’ 사이에서 ‘정서적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의 매개 효과를 비교해 보면 ‘정서적 조직몰입’이 ‘직무만족’ 보다 매개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level of employees on group culture prevailed 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and OCB.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94 employees working at 79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in Young-nam area. The four variables: group culture,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and OCB were measured by self-report questionnaires. In addition, this study adopte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group culture’s level perceived by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employees has not direct effected on OCB. Second, this study found the three significant paths impacting on OCB. They were ‘group culture →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 OCB’, ‘group culture →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 job satisfaction → OCB’, and ‘group culture → job satisfaction → OCB’. Finally,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roup culture and OCB have played a full mediating role. Based on these empirical findings, this study discussed some implications for enhancing OCB of employees.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