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검색 결과

검색결과 2개 논문이 있습니다
초록보기
Abstract

기후변화는 우리 삶의 모든 영역에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장애인은 기후변화의 영향에 더 취약하다. 장애인은 기후변화의 영향에 직간접적으로 노출되어 있고 누구보다 더 큰 영향을 받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미진하다. 현재까지의 연구는 자연재해와 같이 위급한 상황과 관련된 연구가 대부분이며 기후변화가 바꾸어놓을 일상생활에서 받게 될 영향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이에 본 연구는 기후변화가 장애인의 일상생활에 미치는 연구에 대한 scoping review를 실시했다. Web of Science, PubMed, Scopus에서 기후변화로 인해 장애인이 일상에서 받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검색했고, 최종적으로 17개의 연구를 선정하여 이에 대한 리뷰를 실시하였다. Scoping review 결과 기후변화는 장애인의 육체적 건강과 정신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며 일상생활에서의 이동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변화로 인해 더 빈번해질 것으로 예상되는 이주의 경우에도 장애인은 더 큰 영향을 받게 될 것이며, 많은 수의 장애인이 사회적 소외계층이라는 특성이 더해져, 기후변화가 진행됨으로 인해 더 열악한 상황에 처하게 될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초록

Climate change affects every aspect of our lives, and people with disabilities are especially vulnerable. Despite people with disabilities being more directly and indirectly exposed to and affected by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than the rest, research on their unique challenges remains lacking. To date, most research has focused on the occurrence of emergencies such as natural disasters, and there is little research on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daily life. This study addresses this gap by conducting a scoping review of research on how climate change affects the daily live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Relevant studies were identified from Web of Science, PubMed, and Scopus, with a final selection of 17 articles for review. The results of the scoping review showed that climate change affects the physical and mental health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also affects their mobility in daily life. In addition, climate change is expected to increase the frequency of migrations. Consequently, people with disabilities, many of whom are already socially marginalized, are likely to be disproportionately affected and face further disadvantages as climate change progresses.

초록보기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latent subgroups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depression, and anxiety comorbidity among disaster victims and analyze their longitudinal changes. To do this, this study utilized data from the Disaster Victim Life Change Tracking Survey, which was conducted by the National Disaster Safety Research Institute.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1,069 disaster victims who participated in the 2nd and 4th waves of the survey. First, two years after the disaster, mental health latent subgroups among disaster victim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the general, at-risk, and high-risk groups). Second, four years after the disaster, mental health latent subgroups among disaster victims were categorized into two groups (the general group and the at-risk group). Third, the probability of transitioning from the general group in the second year to the at-risk group in the fourth year was 10%, while disaster victims in the at-risk and high-risk groups in the second year had probabilities of transitioning to the at-risk group in the fourth year of 41.7% and 60.8%, respectively. Fourth, for those in the general group in the second year, the probability of remaining in the general group in the fourth year was higher when the disaster was a natural disaster, income was higher, and resilience was greater compared to transitioning to the at-risk group. Fifth, regarding victims in the high-risk group in the second year, as their age increased, the probability of transitioning to the at-risk group in the fourth year was higher than remaining in the general group.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interventions dealing with the comorbidity of mental health issues among disaster victims.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재난피해자의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우울, 불안 동반이환의 잠재 집단을 유형화하고, 잠재집단 유형의 종단적 변화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국립재난안전연구원에서 제공한 재난피해자 삶의 변화 추적조사 2차와 4차 조사에 참여한 재난피해자 1,069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난피해자의 2년 차 정신건강 잠재집단은 3개 집단(일반군, 위험군, 고위험군)으로 유형화되었다. 둘째, 재난피해자의 4년 차 정신건강 잠재집단은 2개 집단(일반군, 위험군)으로 유형화되었다. 셋째, 2년 차에 일반군이었던 재난피해자가 4년 차에 위험군으로 전이될 확률은 10%였고, 2년 차에 위험군과 고위험군이었던 재난피해자가 4년 차 위험군으로 전이될 확률은 각 41.7% 60.8%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2년 차 일반군의 경우 자연재난일수록, 소득이 높을수록, 회복탄력성이 높을수록 4년 차 위험군보다는 일반군에 속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2년 차 고위험군 재난피해자의 연령이 높을수록 4년 차 일반군보다는 위험군으로 전이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재난피해자의 정신건강 문제의 동반이환에 관한 구체적인 실천적, 정책적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