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검색 결과

검색결과 3개 논문이 있습니다
초록보기
Abstract

초록

본 연구는 한국의 경제활동인구집단을 대상으로 하여 고용지위와 우울의 관계가 어떤 양상을 나타내는지 알아보고 더 나아가 고용지위별 우울수준에 차이가 발생하는 메커니즘을 살펴보기 위해 소득과 사회심리적 자원의 매개효과를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1차년도(2006년) 자료를 활용하였다. 이 자료는 일반적인 인구 집단의 우울 연구에 대표적으로 활용되는 CES-D척도의 11개 항목과 사회적 지지 그리고 자기존중감을 측정할 수 있는 항목들을 포함하고 있다. 고용지위는 상용직, 임시 ? 일용직, 자영업자, 실업자로 구분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한국의 경제활동인구집단에 있어서 고용지위에 따라 우울수준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가구소득과 자기존중감 그리고 사회적 지지가 그 차이를 상당부분 설명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상용직보다 임시 ? 일용직의 우울수준이 높은 것은 자기존중감과 소득이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이며 이와 함께 사회적 지지의 수준이 낮은 것도 추가적인 이유이다. 상용직보다 자영업자의 우울수준이 높은 것은 소득에 의해 가장 많이 설명되며 자기존중감에 의해 일정하게 설명되고, 사회적 지지는 설명력이 없다. 상용직보다 실업자의 우울수준이 높은 것은 자기존중감에 의해 가장 많이 설명되고, 소득으로 일정하게 설명되며, 사회적 지지는 설명력이 매우 적다. 본 연구는 고용지위에 따른 우울의 차이를 단순히 확인하는 차원을 넘어 그러한 차이가 발생하는 메커니즘을 몇 개의 매개변인을 통해 효과적으로 밝혀냈다는 함의를 갖는다.;This study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employment status and depression among the labor force in South Korea. Furthermore, we examined the mediating roles of income and psychosocial factors in the association between employment status and depression. We used data from the first year (2006) survey of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KOWEPS). The survey includes CES-D(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 scales and the items which measure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We classified employment status into four categories: permanent workers, temporary workers, the self-employed and the unemploy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employment statu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depression and showed that the lower levels of self-esteem and income among temporary workers were the two main factors which accounted for the higher level of depression among them, compared to permanent workers. The lower level of social support among temporary workers also contributed to the difference in depression. The higher level of depression among the self-employed, compared to permanent workers, was substantially explained by income and self-esteem. The higher level of depression among the unemployed, compared to permanent workers, was substantially explained by self-esteem and income. This study elucidated the mechanisms tha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status and depression.

2

제41권 제1호

청소년 도박문제의 경로: 문제적 및 병적 도박 경로모델의 적용
Pathways to Adolescent Problem Gambling: An Application of a Pathways Model of Problem and Pathological Gambling
김진영(이화여자대학교) ; 배인경(이화여자대학교) ; 전종설(이화여자대학교)
Kim, Jinyung(Ewha Womans University) ; Bae, Inkyung(Ewha Womans University) ; Chun, JongSerl(Ewha Womans University) 보건사회연구 , Vol.41, No.1, pp.325-342 https://dx.doi.org/10.15709/hswr.2021.41.1.325
초록보기
Abstract

As the problem gambling is becoming an alarming issue among Korean adolescent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possible pathways through which adolescents experience problem gambling by using the pathways model of problem and pathological gambling. This study used a secondary dataset provided by the Korea Center on Gambling Problems. The subjects of the study include 744 individuals who had participated in gambling, online or offline, at least once in their lifetime. From the result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we found that irrational beliefs in gambling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gambling accessibility and problem gambling; depression and irrational belief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gambling accessibility and problem gambling; and impulsivity and irrational belief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gambling accessibility and problem gambling. Further, the indirect effect of depression, impulsivity and irrational beliefs were all significan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authors suggest reinforcing laws and regulations dealing with adolescent’s gambling accessibility and online gambling, co-intervention for depression and gambling, and developing intervention programs focusing on impulsivity and irrational beliefs.

초록

청소년의 도박문제가 심각해져 가는 가운데 본 연구는 문제적 및 병적 도박 경로모델을 적용하여 청소년이 도박문제에 도달하게 되는 경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에 한국도박문제관리센터의 2차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연구대상은 전체 조사대상자 중 오프라인 도박 및 온라인 도박을 최소 1번 이상 해본 744명이었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결과, 도박접근성이 비합리적 도박신념을 매개로 도박문제에 도달하는 경로, 도박접근성이 우울과 비합리적 도박신념을 매개로 도박문제에 도달하는 경로, 도박접근성이 충동성과 비합리적 도박신념을 매개로 도박문제에 도달하는 경로가 모두 유의하였다. 또한, 우울, 충동성, 비합리적 도박신념의 간접효과도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의 도박 접근성 법률 강화 및 온라인 도박 규제의 필요성을 제시하였으며, 우울과 도박 동시개입, 충동성 및 도박 비합리적 신념에 초점을 둔 프로그램의 개발을 제안하였다.

초록보기
Abstract

Although previous studies reported that the married showed better health than the unmarried, there exists the possibility of heterogeneity according to social subgroups.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condition (satisfying marriage, unsatisfying marriage, never married, divorced, widowed) and health, verifying the interaction effects with age or income. Using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of Korean adult men and women, OLS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In the results, first, the health of the never married was not better than those whose relationship with their spouse was not satisfactory (reference group). Second, among women, the divorced had worse health than the married whose relationship with their spouse was not satisfactory. Third, the health disadvantage of the never married since middle age increased with age. Forth, among men, the health disadvantage of the divorced since middle age increased with age. Fifth, among women, the widowed in advanced old age had better health than persons whose relationship with their spouse was not satisfactory. Sixth, the health disadvantage of the divorced increased as income decreased. Seventh, among women, the health advantage of those whose relationship with their spouse was satisfactory increased as income decreased. Finally, the health advantage of marriage was not smaller for women than for men. These findings provide implications for policy intervention by identifying vulnerable groups that experience health disadvantages. Divorced men in old age and the low-income divorced may need social assistance for their health.

초록

선행연구들은 기혼집단이 무배우자에 비해 건강이 더 좋음을 보고해왔는데, 이러한 관계는 하위집단에 따라 차별적일 가능성이 크기에 보다 세밀한 분석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결혼만족도를 고려하여 다섯 가지로 세분화한 결혼 상태(만족결혼, 불만족결혼, 비혼, 이혼, 사별)에 따른 건강(주관적 건강, 정신 건강, 의료적 건강의 척도들을 통합)의 차이를 검토하였다. 또한 이러한 차이가 연령과 가구균등화소득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의 상호작용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대표표본 조사인 한국복지패널조사의 14차년도(2019년) 자료 중 성인만을 대상으로 남녀를 구분해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비혼집단은 불만족결혼집단보다 건강이 더 낫다고 할 수 없었다. 여성의 경우 이혼집단은 불만족결혼집단보다 건강이 더 나빴다. 남녀 모두 노년으로 갈수록 비혼 상태가 건강이 가장 나빴다. 남성의 경우 노년으로 갈수록 불만족결혼집단과 이혼집단 간 건강격차가 더 커졌다. 남녀 모두 소득이 낮을수록, 불만족결혼집단보다 이혼집단의 건강이 더 나빴다. 여성의 경우 소득이 낮을수록, 만족결혼집단과 불만족결혼집단 간 건강격차가 더 컸다. 마지막으로, 기혼여성의 건강은 기혼남성의 건강보다 나쁘지 않았다. 이처럼 결혼 상태를 세분화하고 연령과 소득에 따른 상호작용효과를 확인하는 것은 건강상 불이익을 경험하는 사회적 취약집단을 특정화할 수 있게 하는 함의를 가진다. 이혼한 남성노인, 저소득 이혼남녀는 건강이 취약한 집단으로 사회정책적 지원이 필요할 수 있다.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