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검색 결과

검색결과 2개 논문이 있습니다
1

제42권 제2호

먹거리 체계 관점에서 본 먹거리 위기와 유형
The Definition and Types of Food Crisis as See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Food System
김성아(서울연구원) ; 서다람(고려대학교) ; 김상효(한국농촌경제연구원) ; 김기랑(단국대학교)
Kim, Seong-Ah(The Seoul Institute) ; Seo, Da-ram(Korea University) ; Kim, Sang-Hyo(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 Kim, Kirang(Dankook University) 보건사회연구 , Vol.42, No.2, pp.316-326 https://dx.doi.org/10.15709/hswr.2022.42.2.316
초록보기
Abstract

This study was aimed at defining and classifying food crises in a way suitable for the situation in Korea. This study also examined potential disaster situations that may well lead to food crisis and suggested ways to keep the food security system working well even in a possible disaster situation. Through literature review, we surveyed types of food crises that can occur at each stage of the food system (supply, distribution, consumption), and then we examined the types of food crises that can be relevant to the domestic situat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 defined food crisis in terms of food insecurity. Food crisis was classified into four types, including food supply crisis, food distribution crisis, food consumption crisis, and food safety crisis. In addition, this study presented potential food crises that may occur due to a future natural or social disaster. Food crises are prominently revealed in disasters or corresponding national crises. In order for the food security system, which has been gradually working towards the ‘zero food crisis’, to respond timely to a sudden crisis, it is necessary to actively prepare for the food crises as presented in this study.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상황에 적합한 먹거리 위기를 정의하고, 유형을 분류하고자 하였으며, 먹거리 위기를 심화시킬 수 있는 재난상황과 발생 가능한 먹거리 위기를 제안함으로써, 재난상황에서도 신속하고 적절한 먹거리 보장체계가 작동할 수 있도록 도모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문헌고찰을 통해 먹거리 체계의 단계별(공급, 분배, 소비)로 발생 가능한 먹거리 위기의 사례를 탐색하여 국내 상황에 적용 가능한 먹거리 위기 사례들을 수집ㆍ종합하였고, 관련 분야 전문가의 검토와 자문을 거쳤다. 연구 결과, 먹거리 위기를 식품 불안정 상태, 식품 미보장 상황과 동일한 개념으로 정의하였으며, 먹거리 체계와 식품보장 요소를 고려하여, 먹거리 위기의 유형을 식품 공급 위기, 식품 분배 위기, 식품 소비 위기, 식품 안전 위기의 4개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자연재해, 기후변화 등의 자연재난과 사고(붕괴, 폭발, 화재 등), 감염병 확산, 식품사고 등의 사회재난에 따라 새롭게 발생 가능한 먹거리 위기상황의 사례를 제시하였다. 먹거리 위기 ‘제로(0)’를 향해 점진적으로 나아가고 있던 먹거리 보장체계가 재난과 같은 갑작스러운 위기상황에 흔들리지 않고 신속히 작동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먹거리 위기의 유형과 사례에 대한 적극적인 대비가 필요하다.

2

제29권 제2호

한국 식품 미보장 현황 및 특성
Household Food Insecurity and Its Characteristics in Korea
김기랑 ; 김미경 ; 신영전
보건사회연구 , Vol.29, No.2, pp.268-292
PDF
초록보기
Abstract

초록

이 연구는 2007년도 한국복지패널자료의 식품 보장 측정 지표를 활용하여 국내 식품 미보장 수준을 조사하고 식품 미보장 가구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수행하였다. 국내 식품 미보장은 5.4%로 다른 서구산업국가와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다. 식품 미보장은 가구와 가구주의 특성에 따른 차이를 보였는데,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가구, 소년소녀가장가구, 한 부모 가구, 독거노인 가구, 저소득 가구 등과 같은 취약 계층의 특성들을 갖고 있는 가구에서는 적게는 13% 많게는 27%의 높은 비율을 보였다. 가구주가 여자 또는 노인이고, 교육 수준이 낮고, 만성질환이 있고, 장애인이거나 직업이 없는 경우, 식품 미보장을 경험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 미보장을 경험하고 있는 가구 중 식품 지원 서비스를 받고 있는 가구는 전체 가구가 7.6%, 노인 가구가 16.4%, 아동 가구가 56.9%였고, 식품 지원 서비스를 받은 경험이 있는 가구에서 식품 미보장을 경험하고 있는 가구는 전체 가구가 29.3%, 노인 가구는 45.7%, 아동 가구는 13.1%였다. 결론적으로 국내 식품 미보장은 사회 경제적으로 취약한 가구 및 노인 가구에서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이들에 대한 식품 지원 서비스의 접근성은 낮았고, 이러한 서비스에 대한 효과도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다.;Recently, food insecurity has arisen as an issue in Korean society because of the limited access to food particularly for the socioeconomically disadvantaged population. Thu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food insecurity and its characteristics, using the third waves of Korean Welfare Panel Data. The prevalence of food insecurity was 5.4%, relatively lower than in advanced Western countries. The prevalence of food insecurity varied significantly across household types and householder's characteristics. The socioeconomically disadvantaged households had a 13% to 27% higher prevalence of food insecurity. The households headed by women, elderly, unemployed person, or people with low education level, chronic disease or disability, were more likely to be food insecure. The food insecure households had low participation in food assistance programs (7.6% total households, 16.4% for elderly households, 56.9% for households with children) and among the households participating in food assistance programs, the prevalence of food insecurity was 29.3% for total households, 45.7% for elderly households, 13.1% for households with children. In conclusion, the problem of food insecurity was apparent in socioeconomically disadvantaged households and elderly households, In addition, the access to food assistance programs for these households was low and the programs' effect was modest. Further, the trend of food insecurity needs to investigate to provide evidence for developing a food policy related to food insecurity, using persistent monitoring and longitudinal analysis through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