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란드 청년정책 동향

Youth Policy in Finland

초록

핀란드는 ‘청년법’을 바탕으로 오랫동안 청년정책과 청년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중앙정부는 4년마다 ‘국가청년사업·청년정책 프로그램’을 수립하여 청년정책의 방향과 목표를 설정하고 지방정부를 지원한다. 지방정부는 청년 대상 서비스 제공을 담당한다. 핀란드의 청년정책은 공고히 구축된 높은 수준의 복지급여와 서비스를 바탕으로 위험에 직면한 청년들이 사회적으로 배제되지 않도록 다양한 서비스를 연계하여 제공된다. 지방정부와 청년워크숍의 협력으로 시행되는 아웃리치청년사업은 사회와 단절된 생활을 하는 청년들이 사회에 진출할 수 있도록 돕는다. 전국적으로 확산 중인 오흐야모센터는 서비스 접근성을 높여 청년들에게 통합 서비스를 제공한다.

1. 들어가며

핀란드는 2010년 이후 지속적인 출산율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 2018년 출산율이 역대 최저치인 1.41명을 기록한 만큼 청년층 인구는 점차 줄어들 것으로 예측된다(Statistics Finland, 2020). 반면 핀란드의 이민가정 출신 인구 규모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1990년대 초반 이민가정 출신 인구는 5만 명 정도에 불과했지만, 2018년 현재 40만 명 이상으로 전체 인구의 7%를 넘었다(Statistics Finland, 2019). 이러한 경향에 따라 다문화 배경을 가진 청년 인구 규모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핀란드로 이주하는 이민자 규모가 매년 증가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다문화 배경의 청년 인구는 증가할 전망이다. 문제는 청년 인구가 줄어드는 상황에서 다문화 배경의 청년들 가운데 사회 진출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늘고 있다는 것이다.

새창으로 보기
표 1.

핀란드 청년 실업률 및 니트(NEET) 청년 비율 추이

(단위: %)
연도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실업률 (15~24세) 21.4 20.1 19.0 19.9 20.5 22.4 20.1 20.1 17.0 17.2
니트 비율 (15~29세) 12.6 11.8 11.9 12.3 13.0 14.3 13.2 12.6 12.0 11.0

자료: 실업률 데이터는 Statistics Finland (2020), 니트 비율 데이터는 OECD (2021)에서 발췌하였음.

이와 함께 핀란드 청년 실업률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의 영향으로 20%대로 급속히 상승한 이후 현재까지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취업 의지도 없고 교육이나 훈련을 받을 생각도 없는 청년을 뜻하는 니트(NEET; Not in Education, Employment, or Training) 청년 비율은 지속해서 10% 이상을 기록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핀란드 정부는 청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예전보다 더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핀란드의 청년정책을 소개함으로써 우리나라 청년정책 수립과 집행 관련 논의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핀란드 청년정책을 위한 제도적 환경을 살펴보고, 청년정책이 어떻게 수립되고 집행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거버넌스와 예산을 검토한다. 이후 핀란드 청년정책을 대표하는 아웃리치청년사업과 청년통합서비스센터 사례를 소개하고, 마지막으로 핀란드 청년정책이 우리나라에 주는 시사점을 찾아본다.

2. 청년정책을 위한 제도적 환경

핀란드에서 청년 지원을 위한 제도와 정책들은 ‘청년법(Youth Act)’에 근거를 두고 수립·집행된다. 이 법률은 청년정책 관련 공공기관의 구성, 권한, 의무에 관한 내용, 청년 관련 민간단체에 대한 재정 지원, 국가 차원의 청년정책 계획 수립 등을 규정하고 있다. 2016년에 새롭게 제정된 현행 청년법은 29세 미만의 사람을 청년으로 정의하고, 이들의 성장, 독립, 사회통합을 지원하기 위한 모든 사회적 활동을 ‘청년사업’, 이들의 성장, 생활환경, 세대 간 교류를 증진시키기 위해 조직화된 조치(coordinated actions)를 ‘청년정책’이라고 규정한다.

청년법에 따라 핀란드 중앙정부는 4년마다 29세 미만 청년들의 생활 및 성장 환경 개선을 위해 범정부 차원의 프로그램인 ‘국가청년사업·청년정책 프로그램(National Youth Work and Policy Programme)’을 수립해야 한다. 현행 프로그램은 산나 마린(Sanna Marin) 행정부가 2020년 1월에 발표한 ‘국가청년사업·청년정책 프로그램 2020~2023’이다. 이 프로그램의 목적은 핀란드 청년들의 사회적 배제를 방지하는 동시에 그들의 사회적 통합을 강화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해 세 가지 하위 목표를 설정하고, 각 목표 달성을 위한 정책 수단이 제시되었다(Lapsi-ja nuorisopoliittinen ministerityöryhmä, 2020). <표 2>는 이러한 하위 목표와 정책 수단을 보여 준다.

새창으로 보기
표 2.

국가청년사업·청년정책 프로그램 2020~2023 목표별 정책 수단

목표 정책 수단
I 청년들은 어려움 없는 일상생활 유지에 필요한 기본 요건들을 누리고, 사회적 배제가 줄어들 것이다. ① 청년보장제도를 통한 청년들의 교육 및 고용 기회 보장
② 청년들의 욕구와 그들에게 필요한 서비스 및 급여를 고려한 사회보장 체계 정비
③ 청년들의 정신건강 지원 서비스 확대
④ 아동복지 서비스의 보호를 받았던 청소년들을 위한 사후 관리 강화
⑤ 교과 과정에서 다양한 직군의 협력과 청년사업 강화
⑥ 독립적인 생활을 위한 젊은이들의 역량 강화 및 청년들의 노숙 방지
⑦ 취미생활을 누릴 수 있는 기회 확대
⑧ 선제적인 금융 안내를 통한 파산 방지
II 청년들은 사회 참여와 의사 결정 참여에 필요한 수단과 기술을 습득할 것이다. ① 청년들의 시민 참여를 용이하게 하는 정책 수단 마련을 위한 각종 프로젝트 실시
② 학교 및 교육기관에서 민주주의 및 인권 교육 강화
③ 기후변화 논의에 젊은이들의 의견 반영 확대
III 청년들은 사회를 신뢰하게 되고 반차별과 안전은 강화될 것이다. ① 청년들의 대인관계 기술 강화 및 집단 괴롭힘(bullying) 저지
② 차별적 사회구조 확인 및 차별적 상황에 대한 청년들의 대처 능력 증진
③ 사회적 배제에 기인한 범죄 가담 청년들을 위한 보호 서비스 개선 및 소년범죄 예방 강화
④ 소셜미디어를 통한 그루밍(grooming) 성범죄 예방책 마련

자료: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Culture of Finland (2020, pp. 13-36)의 내용을 바탕으로 재구성하였음.

2013년에 도입된 청년보장(Youth Guarantee)제도는 실업에 직면한 청년을 지원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 제도는 실업 청년이 장기 실업에 빠지지 않도록 정부가 신속하게 그들을 위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현재 유럽 국가 대부분이 이 제도를 시행하고 있어 핀란드만의 독특한 특징이라고 할 수는 없지만, 이 제도는 핀란드의 전통적인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과 결합하여 청년 실업자에게 신속하고 통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창구 기능을 하고 있다.

생애주기에 따른 사회적 위험과 욕구 때문에 발생할 수 있는 소득 손실을 보상하기 위해 구축된 핀란드의 소득보장제도는 청년들이 빈곤에 빠지지 않게 하는 사회적 안전망 역할을 하고 있다. 청년 구직자에게도 지급되는 노동시장보조금, 실업자에게도 지원되는 출산수당과 부모수당, 대학생들에게 지급되는 학업보조금 등이 대표적인 예다. 관대한 주거수당과 다양한 사회주택 프로그램은 청년들이 주거 빈곤을 겪지 않게 해 주는 안전망이다. 더욱이 직업교육과 대학교육까지 모두 무상으로 제공되므로 핀란드 청년들은 학비 걱정 없이 자신의 미래를 준비할 수 있다.

3. 거버넌스와 예산

가. 거버넌스

1) 중앙정부

핀란드 청년법은 국가 차원의 청년정책에 관한 전반적인 업무는 교육문화부(Ministry of Education and Culture)가 담당하도록 규정하는 동시에 교육문화부가 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지방정부, 청년 조직, 기타 단체, 청년 개인들과 적절히 협력할 것을 명시하고 있다. 또한 이 법률에 따라 핀란드 중앙정부는 교육문화부 산하에 국가청년위원회(State Youth Council)를 구성하여 청년정책을 수립하면서 이 위원회의 의견을 반영해야 한다. 이와 함께 국고보조금 편성 및 집행 관련 업무를 지원하는 국고보조금평가위원회(Assessment and State Aid Commission) 구성에 관한 규정도 있다. 이 위원회는 교육문화부의 청년정책을 위한 국고보조금 관련 업무를 돕기 위해 국가 차원의 지원을 받는 기관들의 국고보조금 수령 자격에 대한 의견서와 이들에게 지급할 국고보조금 편성 제안서를 교육문화부에 제출한다.

청년정책의 수립과 집행에는 교육문화부 외에도 다양한 중앙 부처가 관여하고 협력하고 있다. 청년에게 지급되는 현금급여 관련 의사 결정과 집행 권한은 각각 사회보건부(Ministry of Social Affairs and Health)와 사회보험청(The Social Insurance Institution of Finland; Kela)에 있다. 고용지원서비스는 경제고용부(Ministry of Economic Affairs and Employment) 산하 조직인 전국의 TE오피스(TE-offices)가 담당하고 있다. 청년들의 법적 권리에 대한 이해 함양과 정치 참여 지원에 관한 사항은 법무부(Ministry of Justice)가 맡는다.

2) 국가청년위원회

앞서 언급한 것처럼 핀란드 중앙정부는 국가청년위원회를 구성하고 청년정책을 수립할 때 이 위원회의 의견을 반영해야 한다. 국가청년위원회는 법정 조직이지만 위원은 모두 청년 조직이나 단체의 민간 전문가로 구성된다. 청년의 목소리를 직접 정부 정책에 반영하겠다는 의도를 확인할 수 있다. 현재 핀란드 의회를 구성하고 있는 원내 정당 소속의 청년 정치인 8명과 아동 및 청년 관련 단체 소속의 전문가 10명이 위원으로 임명되어 모두 18명이 활동하고 있다.

핀란드 청년법은 국가청년위원회의 역할을 크게 다섯 가지로 명시하고 있다. 첫째, 청년에게 근본적이고 매우 중요한 사안에 대한 대응 및 청년을 위한 서비스와 활동에 대한 중앙정부 정책 수단의 영향 평가, 둘째, 청년정책을 발전시킬 수 있는 새로운 계획 제안 및 소개, 셋째, 청년과 그들의 생활 조건에 관한 최신 데이터 구축, 넷째, 국가청년사업·청년정책 프로그램 수립 시 의견 제시, 마지막으로 청년정책을 위한 국제적인 협력과 발전 모니터링 등이다.

국가청년위원회는 청년들의 생활 조건과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정부 정책의 전반적인 효과를 주기적으로 살피기 위해 2021년부터 ‘청년웰빙지표(Hyvinvointi-indikaattorit)’를 관리하고 있다. 배경 지표, 교육·훈련, 고용과 창업, 건강, 생활 관리, 문화 및 취미생활, 사회 및 정치 참여, 개인 안전 및 법적 보호 등 8개 영역으로 구성되는 이 지표는 주제별로 담당 공공기관으로부터 수집되어 국가청년위원회 홈페이지에 공개된다(Valtion nuorisoneuvosto, 2021). 또한 국가청년위원회는 매년 민간 연구 단체인 핀란드청년연구협회(Finnish Youth Research Society)와 공동으로 15~29세 청년의 가치관과 태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청년바로미터(Youth Barometer; Nuorisobarometri)’라는 보고서를 발간한다. 이 밖에도 ‘청년생활상태연감(Living Conditions of Young People Yearbooks)’, ‘아동과 청년의 여가 설문조사(Leisure survey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선거 연구(Election studies)’ 등 다양한 연구를 시행하여 보고서를 발표하고 있다.

3) 지방정부

핀란드의 사회서비스 기획 및 제공의 법적 책임은 지방정부(municipalities)에 있다. 지방정부가 담당하는 사회서비스에는 보건의료, 복지, 보육, 재활, 청년사업 등이 포함된다. 따라서 청년을 위한 다양한 사회서비스 역시 지방정부가 직접 설계하고 집행한다. 2020년 현재 핀란드는 310개의 지방정부로 구성되어 있다.1)

지방정부는 높은 수준의 자치권을 바탕으로 지역 내 청년워크숍(Workshops), 청년단체, 전문가와 협력하여 청년사업과 각종 프로그램을 지역 단위에서 운용한다. 개별 지방정부가 제공하는 청년 관련 서비스의 접근성과 품질 평가는 전국 6개 권역에 설치된 광역행정청(Regional State Administrative Agencies)이 담당한다. 광역행정청은 중앙정부의 청년 예산을 담당 지역 내 지방정부로 편성하는 권한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주관 부처인 교육문화부가 수립한 청년정책과 예산은 310개 지방정부, 6개 광역행정청과의 협의와 협력을 통해 지역별로 집행된다.

4) 청년워크숍

핀란드 청년워크숍은 지역에서 청년사업을 수행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청년워크숍은 청년의 사회 진출과 고용 증진을 돕기 위해 그들의 생활기술과 직업기술에 초점을 맞추어 통합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단체는 민간 조직이지만 지방정부와 긴밀하게 협력할 뿐 아니라 지방정부로부터 매년 보조금을 받아 지역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운용한다. 2020년 현재 310개 지방정부 가운데 90%에 달하는 270개가 넘는 지역에 청년워크숍이 있다(Into, 2020).

워크숍 이용 자격에 나이 제한이 없어 누구나 청년워크숍의 서비스와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다. ‘아웃리치청년사업·워크숍활동연합회(Association for Outreach Youth Work and Workshop Activities; Into)’는 전국 조직으로 청년워크숍 직원들을 대변하고 그들의 활동을 지원하는 통솔 기구 역할을 하고 있다.

2018년 통계에 따르면 전국 청년워크숍 이용자 수는 모두 2만 7275명이었고, 이 가운데 청년은 1만 4620명이었다. 워크숍을 이용하게 된 경로는 TE오피스나 사회서비스기관의 제안, 이용자의 개인적인 방문, 청년사업 프로그램 혹은 교육 프로그램으로부터의 위탁 등 다양했다. 참여자 가운데 약 80%가 워크숍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수료했고, 35%는 학위 과정에 입학했으며 16%는 취업에 성공했다. 18%는 다른 기관의 프로그램을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Into, 2020).

나. 예산

중앙정부 청년정책 예산 대부분은 복권과 슬롯머신 사업을 관리하는 공기업 베이카우스(veikkaus)의 수익금으로 조달되고, 나머지는 중앙정부의 조세 수입으로 충당된다. 이 예산은 주로 목적이 구체적이고 분명한 활동이나 프로젝트를 위해 교부되지만, 지방정부의 자유재량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경우도 있다. 2019년 중앙정부의 청년정책 총예산 규모는 약 7800만 유로였다. 이 가운데 민간 청년단체 중앙조직 지원(23.3%)에 가장 큰 비중이 투입되었고, 아웃리치청년사업 및 청년보장제도 시행(17.4%)과 청년워크숍 지원(17.2%)이 뒤를 이었다. 연구조사 사업에는 전체 예산 가운데 4.8%가 사용됐다(European Commission, 2021a).

핀란드 지방정부는 지역 주민들로부터 직접 거두는 개인소득세를 바탕으로 공공서비스 예산을 마련한다. 보통 지방정부의 개인소득세율은 20% 정도다. 지역 내 청년을 위한 각종 서비스 역시 이 예산을 활용하여 제공되는데, 인구 규모가 작은 지방정부는 소득세 규모가 작아 중앙정부의 보조금으로 부족한 재정을 메운다. 이 과정에서 중앙정부의 보조금 집행과 관리를 교육문화부가 담당하는 것이다.

새창으로 보기
표 3.
2019년 핀란드 중앙정부의 청년정책 예산 편성
항목 예산 규모(유로) 비중
민간 청년단체 중앙조직 지원 18,300,000 23.3%
아웃리치청년사업 및 청년 보장 13,650,000 17.4%
청년워크숍 13,500,000 17.2%
지방정부 청년사업 지원 7,975,000 10.2%
전국 9개 국립청년센터 운영 5,700,000 7.3%
전국 6개 청년사업전문센터 운영 5,000,000 6.4%
지역 단위 청년 성장 및 생활 조건 개선 지원 4,670,000 6.0%
연구조사사업 3,748,000 4.8%
국제 협력 1,250,000 1.6%
국가청년자문위원회 등 정부 조직 운영 1,050,000 1.3%
사미(Sámi) 언어 보호 850,000 1.1%
창업 및 경제활동 교육 800,000 1.0%
기타 1,900,000 2.4%
총예산 78,393,000 100.0%

자료: European Commission. (2021a)의 자료를 바탕으로 재구성하였음

4. 아웃리치청년사업

사회사업(social work)이 나이와 상관없이 모든 시민을 대상으로 다양한 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활동이라면, 청년사업(youth work)은 청년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자립과 웰빙 증진을 돕기 위한 활동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19세기 말 민간 조직을 중심으로 시작된 핀란드의 청년사업은 오랜 전통을 이어 오고 있고, 여전히 청년정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청년법은 지방정부가 청년사업의 내용을 기획하고 수행해야 할 의무를 규정하고 있다. 청년사업에는 청년을 위한 교육 안내, 시설, 취미활동, 정보 및 카운슬링을 비롯해 청년 단체를 위한 지원, 스포츠·문화·다문화·해외교류 관련 청년 활동, 청년 대상 환경 교육, 청년워크숍 서비스, 아웃리치청년사업(Outreach youth work) 등이 포함된다(European Commission, 2021b).

청년법은 특히 아웃리치청년사업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지방정부가 이를 적극적으로 수행해야 한다고 규정한다. 아웃리치청년사업이란 교육 과정에 참여하지 않고 직업도 없는 상태에서 어떠한 사회서비스에도 접근하지 않고 있는 29세 미만의 청년을 대상으로 그들이 사회 속에서 미래를 준비하며 생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활동을 말한다(Etsivä nuorisotyö, 2021a). 청년법은 아웃리치청년사업 참여 여부는 반드시 해당 청년의 자율적 결정에 따라야 하고, 아웃리치청년사업가(Outreach youth workers)는 충분한 훈련과 경험을 가진 전문가로서 공무원이거나 지방정부에 의해 고용된 신분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고 규정한다.

전체 지방정부 가운데 90% 이상이 아웃리치청년사업을 시행하고 있을 정도로 이 사업은 핀란드에서 매우 보편적이다. 아웃리치청년사업을 통해 서비스를 받기 시작하는 청년들은 주로 청년워크숍이 제공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때문에 지방정부와 청년워크숍 사이의 협력이 매우 중요하다.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청년들은 복지서비스, 보건의료서비스, 고용서비스, 여가서비스 등 그들이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사회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얻어 직접 서비스를 이용하게 된다. 2017년 한 해 동안 아웃리치청년사업가의 안내를 받아 사회생활을 다시 시작한 청년 수는 1만 8238명이었다. 설문 결과에 따르면 이들 가운데 92%가 사회적으로 통합된 느낌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Etsivä nuorisotyö, 2021b).

5. 청년통합서비스센터

가. 오흐야모 프로젝트

2015년 핀란드의 수도이자 지방정부인 헬싱키(Helsinki)는 유럽사회기금(European Social Fund)의 지원금을 바탕으로 ‘오흐야모(Ohjaamo)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이 프로젝트의 목표는 헬싱키에 거주하는 15세 이상 29세 이하 청년들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원스톱 서비스센터인 오흐야모센터를 설립하는 것이었다(European Commission, 2021c). 오흐야모는 ‘조종실’을 뜻하는 핀란드어로 청년들이 자신의 커리어를 직접 조종할 수 있는 장소라는 의미에서 명명되었다.

오흐야모 프로젝트는 서비스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헬싱키 거주 청년은 누구나 쉽게 예약 없이 이 센터를 방문하여 원하는 서비스를 문의하거나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그 결과 오흐야모센터 개장 이후 18개월 동안 6000명이 넘는 청년이 방문했다(European Commission, 2021c). 이와 같은 성공적인 성과로 인해 프로젝트가 종료된 후에도 헬싱키 정부는 이 센터를 상설 기관으로 계속 운영하고 있다.

오흐야모 프로젝트의 성공으로 헬싱키의 오흐야모센터 모델은 핀란드 전역으로 확산되었다. 2019년 현재 60개 이상의 지방정부에 오흐야모센터가 설립되었고, 전국에 500명 이상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다(Kotaamo, 2020).

아웃리치청년사업이 사회와 단절된 생활을 하는 취약계층 청년에게 초점을 맞췄다면, 오흐야모센터는 청년 누구나 쉽게 방문할 수 있는 서비스 허브(service hub) 역할을 강조한다. 또한 아웃리치청년사업에서는 지방정부와 계약을 맺은 아웃리치청년사업가만이 사업을 수행하지만, 오흐야모센터에서는 다양한 인력이 근무하며 청년들에게 필요한 각종 서비스를 제공한다.

나. 오흐야모센터 운영 방식과 현황

오흐야모센터는 지방정부의 역량에 따라 지역별 특성과 서비스 이용자들의 욕구를 반영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설립·운영되고 있어 모델을 하나로 확정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핀란드 전역 모든 오흐야모센터의 공통된 특징은 다양한 공공 조직과 민간 조직의 인력이 하나의 공간에 모여 청년들에게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가장 큰 규모인 헬싱키 오흐야모센터의 경우 지방정부인 헬싱키시청 소속 직원, 중앙정부인 사회보험청과 TE오피스의 공무원, 시민단체 전문가가 함께 모여 일하고 있다. 파견된 기존 인력이 제공하기 어려운 서비스가 필요하면 오흐야모센터 소속의 새로운 인력이 채용되기도 한다.

지방정부가 오흐야모센터 운영의 주체이므로 지방정부 소속 직원이 담당하는 프로그램은 일반적으로 상시 제공되는 반면, 중앙정부나 민간 조직에서 파견된 직원이 담당하는 프로그램은 정해진 일정에 따라 상대적으로 낮은 빈도로 제공된다. 이 외에도 오흐야모센터는 기업 및 외부 기관과 협력하여 취업박람회, 창업 워크숍, 직업교육 오리엔테이션 등 대규모 행사도 개최한다.

오흐야모센터 직원들은 서로 다른 조직에서 모인 전문가들이다. 이 때문에 센터의 유기적인 운영과 성공적인 목표 달성을 위해 이들 사이의 소통과 조직 학습이 강조된다. 헬싱키 오흐야모센터 직원들은 매일 아침 대민 업무를 시작하기 전 2시간씩 정보 교류와 개별 사례 관리를 위한 회의를 한다. 일주일에 한 번씩은 워크숍을 개최하여 전 직원 간 주간 업무를 파악하고 센터 운영 방식을 논의한다. 이처럼 다른 조직 소속의 전문가와 직원들이 함께 일하면서도 적극적이고 효과적인 협력이 가능한 이유 가운데 하나는 직원 개인의 실적이 아닌 기관의 궁극적인 목표 달성을 강조하는 핀란드 공공기관의 성과 평가 방식이다. 이러한 조직 문화로 인해 오흐야모센터에서 일하는 직원들은 개인의 실적에 연연할 필요 없이 센터 방문자들에게 통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다른 직원과 자연스럽게 소통하고 협력할 수 있는 것이다.

2019년 핀란드 전국 오흐야모센터 총이용자는 4만 3257명, 총방문 횟수는 약 15만 6000회였다. 연령별로는 18세 이상 24세 이하 이용자가 66%로 가장 많았고, 25세 이상 이용자와 17세 이하 이용자는 각각 26%와 8%였다. 직업별로는 63%가 실업 상태였고, 9%만이 고용 중이었으며, 학생이 20%였다. 개인 상담에서 다루어진 주제 가운데 고용 및 창업이 30%로 가장 높은 관심을 받았다. 그다음으로 교육과 학습 22%, 건강과 웰빙 13%, 재정 13%, 주거 6% 등이었다(Määttä, 2020).

6. 나가며

지금까지 살펴본 핀란드 청년정책의 특징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핀란드는 위험에 처한 청년이 사회적으로 배제되지 않도록 지원할 수 있는 무상교육제도, 노동시장정책, 소득보장제도, 사회주택제도 등을 안정적으로 구축하고 있다. 둘째, 청년법은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역할을 명확히 규정하고, 청년을 위한 서비스와 프로그램 관련 원칙과 규제를 명시한다. 셋째, 국가청년위원회는 청년정책 수립 시 청년층의 목소리를 대변하고, 청년의 삶의 질을 지속해서 모니터링한다. 넷째, 지방정부와 청년워크숍은 아웃리치청년사업을 통해 가장 접근하기 어려운 환경에 있는 청년에게까지 다가가 그들이 다시 사회로 나올 수 있도록 돕고 있다. 다섯째, 최근 핀란드 전역에 설치되고 있는 오흐야모센터는 청년들의 서비스 접근성을 높여 통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여섯째, 다양한 기관과 주체들이 청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극 협력하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도 심각한 청년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많은 예산을 투입하며 다양한 청년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청년들을 위한 급여와 서비스가 충분히 마련되어 있지 않아 청년정책의 효과가 제한적인 경우가 많다. 청년이 감당하기에 너무 비싼 대학교 등록금과 직업훈련 프로그램의 부족은 또 다른 장애 요인이다. 많은 청년 지원 프로그램이 관 주도로 이루어지다 보니 형식적인 목표와 성과 달성에 매몰되는 현상도 자주 발견된다. 핀란드처럼 청년들에게 실질적이고 통합적인 서비스가 제공되려면 다양한 주체가 참여하여 우리나라 청년정책을 전체적으로 재검토해야 한다. 새로운 발전 방향과 구체적인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Notes

1)

핀란드는 보건사회서비스 전달체계를 개편하여 보건복지서비스 제공 권한을 지방정부에서 광역의 주(County)정부로 이양할 예정이지만, 청년사업 및 관련 서비스는 계속 지방정부가 담당하게 할 예정이다.

References

1 

Etsiva nuorisotyö. (2021a). What is outreach youth work?. https://www.intory.fi/etsiva-nuorisotyo/in-english/what-is-outreach-youth-work/에서 2021. 6. 21. 인출.

2 

Etsiva nuorisotyö. (2021b). Numbers of outreach youth work. https://www.intory.fi/etsiva-nuorisotyo/in-english/what-is-outreach-youth-work/numbers-of-outreach-youth-work/에서 2021. 6. 21. 인출.

3 

European Commission. (2021a). YouthWiki: Finland: Youth Policy governance: Funding youth policy. https://national-policies.eacea.ec.europa.eu/youthwiki/chapters/finland/17-funding-youth-policy에서 2021. 1. 25. 인출.

4 

European Commission. (2021b). YouthWiki: Finland: Youth Work: General context. https://national-policies.eacea.ec.europa.eu/youthwiki/chapters/finland/101-general-context에서 2021. 1. 25. 인출.

5 

European Commission. (2021c). Ohjaamo: the “one-stop guidance shop”. https://ec.europa.eu/esf/main.jsp?catId=46&langId=en&projectId=2859에서 2021. 1. 29. 인출.

6 

Into. (2020). Into - Association for Outreach Youth Work and Workshop Activities. https://www.intory.fi/jarjesto/briefly-in-english/에서 2020. 10. 11. 인출.

8 

Lapsi- ja nuorisopoliittinen ministerityoryhma. (2020). The National Youth Work and Youth Policy Programme 2020-2023. Aiming to ensure a meaningful life and participation in society for all young people. Opetus- ja kulttuuriministerio.

10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2021). Youth not in employment, education or training (NEET). https://data.oecd.org/youthinac/youth-not-in-employment-education-or-training-neet.htm에서 2021. 9. 17. 인출.

11 

Statistics Finland. (2019). Statistical Yearbook of Finland 2019.

12 

Statistics Finland. (2020). Number of young people in danger of diminishing considerably due to the decrease in birth rate. https://www.stat.fi/til/vaenn/2018/vaenn_2018_2018-11-16_tie_001_en.html에서 2020. 10. 23. 인출.

13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Culture of Finland. (2020). The National youth work and youth policy programme 2020-2023: Aiming to ensure a meaningful life and social inclusion for all young people. https://julkaisut.valtioneuvosto.fi/handle/10024/162381에서 2020. 9. 16. 인출.

14 

Valtion nuorisoneuvosto. (2021). Hyvinvointi-indikaattorit. https://indikaattorit.tietoanuorista.fi/에서 2021. 8. 5. 인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