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시대 싱가포르 저소득층 아동·청소년을 위한 사회서비스 동향

New Paradigm on Social Services for Children and Youth from Low-Income Families in Singapor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초록

코로나19로 수많은 확진자와 사망자가 전 세계에서 발생하고, 이로 인해 사회적 위기와 불안이 고조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이러한 위기와 문제는 저소득층 아동·청소년들에게 보다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열악한 주거환경과 온라인 학습 기기 부재는 재택원격수업 참여를 어렵게 한다. 사회적 거리 두기로 학교급식을 이용하지 못하여 결식아동은 증가한다. 또한 아동학대나 방임 사례가 증가하고 돌봄 사각지대가 커지면서 이들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도 여러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코로나19 시대 저소득층 아동·청소년을 위한 사회서비스 지원이 무엇보다도 시급한 현실이다. 이 글에서는 코로나19 발생 이후 저소득층 아동·청소년을 위하여 싱가포르 정부가 어떠한 사회정책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지 학습 지원, 경제 지원, 학대 예방, 돌봄 지원, 심리정서 지원 서비스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싱가포르 사례를 통하여 사전예방 서비스의 중요성, 기관 간의 상호 유기적이고 신속한 협력 관계 유지,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사회서비스 지원이라는 세 가지 주요 시사점을 도출한다.

1. 들어가며

코로나19가 빠른 속도로 전 세계에 확산되면서 일자리 감소, 임금 삭감, 신체 및 정신건강, 가족해체 등 다양한 문제점이 사회 전반에 대두되기 시작했다. 특히 사회적 거리 두기 정책이 시행되면서 학교가 문을 닫고, 비대면 재택원격수업으로 전환되면서 아동·청소년의 학업과 일상생활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변화는 저소득층 아동·청소년에게 보다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일례로 물리적 가정환경이 열악하여 가정에서 원격수업에 참여하기 힘든 경우가 많고, 컴퓨터 기기와 인터넷이 설치되지 않아 학업을 진행하기가 힘든 사례가 자주 보고된다. 또한 저소득층 아동 중에서 학교에서 급식 보조를 받는 경우 사회적 거리 두기 기간 동안 학교에서 급식을 이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가정폭력, 부모의 아동학대 및 방임 사례가 증가하면서 아동·청소년들이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그럼에도 사회적 거리 두기로 인하여 가정에서 일어나는 아동·청소년 위기를 발견하기가 더욱 어려워지고, 학교나 지역사회 서비스 이용에도 여러 제약이 발생하고 있다. 이뿐만 아니라 코로나19로 인하여 아동·청소년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도 여러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사회적 거리 두기로 야외활동, 사회적 관계 형성, 병원 이용 등에 많은 제약이 따르면서 학생들 중에 소외감이나 우울증을 호소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학업이나 또래 친구와의 관계에 대한 불안감, 가족 갈등 및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심화되고 있다.

싱가포르는 2020년 1월 코로나19 첫 확진자가 발생한 이후 2021년 3월 현재 인구 570만 명 중 6만 152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고, 30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보건부(MOH: Ministry of Health), 2021). 코로나19 확진율이 증가하면서 싱가포르 정부는 2020년 4월 한 달간 사회적 거리 두기(‘서킷브레이커(circuit-breaker)’라고 명함)를 실시하였고, 사회적 거리 두기는 이후 6월 1일까지 연장되었다(Mohan, 2020). 2021년 확진율이 급격하게 감소하여 외국에서 입국한 확진 사례를 제외하고, 지역사회 감염자는 없거나 하루에 한두 명 정도로 점차 안정되어 간다. 그러나 지속적 예방을 위하여 여전히 사회적 거리 두기 2단계를 실시 중이다(보건부, 2021).

코로나19로 야기된 사회 전반적인 변화는 특히 저소득층 아동·청소년에게 더 큰 위험과 불평등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예방하기 위하여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정책적 대안 마련과 사회서비스 제공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싱가포르는 보건부, 교육부(MOE: Ministry of Education), 사회가족개발부(MSF: Ministry of Social and Family Development) 등 관계 부처들과 병원이 협업하여 기존의 사회서비스와 더불어 코로나19 시대 저소득층 아동·청소년들을 위한 새로운 사회서비스를 개발해 제공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싱가포르 정부가 저소득층 아동·청소년들을 위하여 어떠한 사회정책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지 학습 지원, 경제 지원, 학대 예방 및 돌봄 지원, 심리정서 지원 서비스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한국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2. 저소득층 아동·청소년 학습 지원 서비스

가. 재택원격수업(Home-based Learning)

2020년 4월 3일 싱가포르 리셴룽(Lee Hsien Loong) 총리는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한 사회적 거리 두기의 일환으로 초등, 중등, 대학교 모든 수업을 일시적으로 재택원격수업으로 전환한다고 발표하였다. 정부 교육 담당자들의 염려와는 달리 대부분의 학생들은 줌(Zoom)이나 다른 온라인 교육매체를 이용한 원격수업에 비교적 잘 적응하였고, 학부모와 교사들 간의 지속적인 피드백을 통하여 학생들의 원격수업은 시간이 지날수록 점차 원활하게 진행되었다.

그러나 재택원격수업이 진행되면서 몇 가지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특히 저소득층 아동·청소년의 경우 협소한 주택 사정상 독립적인 학습 공간을 확보하기 어렵고, 원격수업을 위한 컴퓨터 기기와 인터넷 보급이 원활하지 않아 비대면 수업 참여가 불가능한 사례가 자주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정부에서는 노트북과 태블릿피시 약 1만 2500개와 1200여 개의 인터넷 연동 전자 기기를 학생들에게 무상으로 대여해 주었다. 또한 가정에서 온라인수업에 참여하기 어려운 아동·청소년들을 위하여 예외적으로 학교에 나가 온라인수업을 들을 수 있도록 정부에서 지원하였다. 예를 들어 부모가 코로나 방역 최전선에서 일하거나 자녀 돌봄이 어려운 경우 또는 학교의 특별 지원이 필요한 학생의 경우 각 학교 교사들이 예외적으로 학교에 나가 학생들을 관리하고 온라인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책을 시행하였다. 2020년 4월 20일 재택원격수업 기간 동안 4000명 이상의 학생이 학교에서 원격수업 지원을 받았다(Gov.sg, 2020. 4. 8.).

나. 디지털 리터러시(Digital Literacy)

사회적 거리 두기로 모든 일상생활이 비대면으로 이루어지면서 아동·청소년의 온라인 이용 시간이 급격하게 증가하였고, 이에 따른 인터넷 활용 문제점을 걱정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싱가포르는 2014년부터 아동·청소년의 디지털 기술에 대한 이해와 활용 능력을 높이고, 올바른 온라인 이용과 사이버상에서의 안전을 위한 사이버 웰니스(Cyber Wellness) 교육을 하고 있다(Ministry of Education[MOE], 2021). 사이버 웰니스 교육은 온라인상에서 자신을 포함한 모든 이용자를 존중, 안전하고 책임감 있는 온라인 이용, 그리고 긍정적인 또래 영향 향상이라는 세 가지 중요한 목표 아래 워크숍이나 프로그램 참여 등의 형태로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교육 커리큘럼이다.

사이버 웰니스 교육은 5가지 영역(사이버 이용, 사이버 정체성, 사이버 관계, 사이버 시민의식 및 사이버 윤리)으로 구성되어 있다(표 1 참조). 초등학교 재학 기간에는 총 14세션을 이수하게 된다. 중등학교 1~2학년 기간에는 인성시민교육(CCE: Character and Citizenship Education) 커리큘럼의 한 영역으로 사이버 웰니스 교육을 받으며, 중등학교 3~4학년 기간에는 총 8세션(각 세션 1시간)을 이수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전문대학에서는 인성시민교육의 일환으로 총 2세션을 이수하게 된다. 이 커리큘럼을 통해 싱가포르 아동·청소년들은 초등학교 때부터 온라인 이용 능력과 예절을 배우게 되고, 온라인상에서 위험에 처했을 때 안전과 도움을 구하는 매뉴얼을 학습하게 된다.

새창으로 보기
표 1.
사이버 웰니스 커리큘럼
영역 교육 내용
사이버 이용(Cyber Use) ∙온라인과 오프라인 활동의 적절한 균형 유지
사이버 정체성(Cyber Identity) ∙건강한 온라인 정체성 계발
∙적절한 온라인 표현
사이버 관계(Cyber Relationships) ∙네티켓
∙사이버 불링
∙안전하고 공손한 온라인 관계 계발
사이버 시민의식(Cyber Citizenship) ∙사이버 세계 이해
∙온라인 콘텐츠와 행동 관리
∙사이버 커뮤니티상에서 긍정적 행동
사이버 윤리(Cyber Ethics) ∙책임감 있는 온라인 콘텐츠 양성과 공유
∙저작권 보호

사이버 웰니스 교육은 코로나19에 따른 아동·청소년들의 온라인 이용에 긍정적인 게이트키퍼(Gatekeeper) 역할을 하였다고 평가되고 있다. 특히 사회적 거리 두기의 일환으로 기존 워크숍이나 프로그램 참여 등 대규모 사이버 웰니스 교육 방식에서 학급별 소규모 그룹 방식으로 운영체계를 바꾸었는데, 학생들의 만족도는 기존 교육 프로그램보다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학급별 두 명의 또래 리더를 선정하여 기존 교사가 이끄는 강의 중심 교육이 아니라, 학생들이 중심이 되어 다양한 토론과 사례 논의 등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커리큘럼으로 2022년까지 사이버 웰니스 교육 과정을 변경할 계획이다(Channel News Asia, 2020. 11. 7.).

다. 교육부 학생 급식 지원 확대

싱가포르 교육부는 초중등학교 저소득층 학생들을 위하여 재정지원제도(Financial Assistance Scheme) 중 학교급식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저소득층 학생들이 소유한 학교스마트카드(스마트칩이 삽입된 학생증)에 교육부가 일정한 금액을 2주에 한 번씩 충전해 주면, 학생들이 학교 식당에서 급식을 할 때, 또는 교내 매점이나 자판기를 이용할 때 현금이 아닌 자신의 학교스마트카드를 이용해 구매할 수 있다. 그러나 코로나19로 인하여 전면 재택원격수업이 시작됨에 따라 저소득층 학생들의 급식 지원에 차질이 생기지 않도록 싱가포르 정부는 재정을 확대하고 신속한 급식 서비스 대안을 마련하였다. 이뿐만 아니라 싱가포르 커뮤니티재단은 저소득층 학생들을 위하여 펀드(Sayang Sayang Fund)를 조성하여 학교가 문을 닫는 기간에도 학생들의 급식 지원을 연장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었다. 학생 급식 지원 확대 비용은 총 450만 싱가포르달러(약 38억 원)인데, 약 4만 5000명의 학생이 적용 대상에 포함되었다(MOE, 2020. 4. 13.).

학교급식이 중단된 재택원격수업 기간 동안 초등학생은 80싱가포르달러(약 6만 7500원), 중등학생은 120싱가포르달러(약 10만 1300원)가 2주에 한 번씩 학교스마트카드에 충전되었다. 기존에는 학교 안에서만 사용할 수 있었지만, 재택수업 기간에는 학생들이 학교스마트카드를 이용하여 푸드코트, 슈퍼마켓, 편의점 등에서 음식이나 식품을 충전된 금액만큼 구매하는 것이 허용되었다(MOE, 2020. 4. 13.). 학교스마트카드에 충전되는 급식 지원금은 오직 음식과 식품 구매에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부모가 모두 코로나19 관련 업무로 자녀의 식사를 챙기기 어려운 경우나 어린 형제자매가 함께 거주하는 경우에는 사회복지기관과 연계하여 저소득층 아동·청소년을 위한 도시락 배달 서비스도 하고 있다.

3. 저소득층 경제 지원 서비스

가. 가족 재정 지원 서비스

코로나19로 인해 많은 가정이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게 되면서 싱가포르 정부는 세 가지 종류의 재정 지원 서비스를 아래와 같이 제공한다(Gov.sg, 2020. 5. 1.).

  • • 임시구호기금(Temporary Relief Fund): 코로나19로 사회적 거리 두기를 실시한 2020년 4월 직장을 잃거나 임금이 30% 이상 삭감된 경우 일회적으로 500싱가포르달러(약 42만 원)를 지급한다.

  • • 코로나19 지원보조금(COVID-19 Support Grant): 코로나19 기간 동안 3개월 이상 실업 상태인 경우, 무급휴직을 통고받은 경우, 또는 임금이 30% 이상 삭감된 경우 최대 월 800싱가포르달러(약 67만 5000원)를 3개월 동안 제공한다.

  • • 격려기금(The Courage Fund): 코로나19 기간 동안 자가격리로 인해 경제적 활동을 할 수 없는 저소득층 가정의 경우 일시불로 최대 1000싱가포르달러(약 84만 원)의 현금을 코로나 격려금으로 제공한다.

나. 코로나19 회복기금(CRG: COVID-19 Recovery Grant)

이뿐만 아니라 코로나19 영향으로 직장을 잃거나 무임금 또는 임금 삭감으로 어려움에 처한 저소득층 및 중산층 가정을 대상으로 2021년 일시적인 재정 지원을 하고 있다. 이 회복기금은 부동산 등 고정자산이 2만 1000싱가포르달러(약 1800만 원) 미만이고, 코로나19로 영향을 받기 이전 월평균 임금이 가구당 7800싱가포르달러(약 650만 원) 미만 또는 가구 1인당 2600싱가포르달러(약 220만 원) 미만인 경우, 직장에서 해직된 경우는 3개월 동안 최대 월 700싱가포르달러(약 59만 원)를 지원한다. 임금이 50% 이상 삭감된 경우는 3개월 동안 최대 월 500싱가포르달러(약 42만 원)를 지원받게 된다. 회복기금은 2021년 1월 18일부터 12월 31일까지 신청할 수 있다(MSF, 2021).

4. 저소득층 아동·청소년 학대 예방 및 돌봄 지원 서비스

가. 아동보호 서비스

싱가포르 사회복지 서비스센터에 따르면 사회적 거리 두기가 시작된 이후 2주 동안 가정폭력 사례가 14% 증가하였고(Channel News Asia, 2020. 4. 23.), 싱가포르 경찰(Singapore Police Force)은 2020년 4월 7일 사회적 거리 두기가 시행된 이후 한 달 동안 가정폭력 신고가 22% 증가하였다고 발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코로나19 기간 동안 가정에서 폭력이나 학대 등에 노출되는 아동·청소년이 늘어나고 있다는 것을 보여 준다. 가정폭력 위기에 노출된 아동·청소년들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가족과 친인척, 친구, 그리고 학교와 지역사회가 다 함께 노력해야 한다. 하지만 실제 코로나19 기간 동안 사회적 거리 두기로 인하여 이러한 문제들은 오히려 은폐되고 더욱 심각한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싱가포르에서는 2020년 7월 아동·청소년법(CYPA: Children and Young Persons Act) 수정법안이 통과되면서 아동·청소년 보호를 위해 정부와 지역사회 서비스 지원이 확대, 강조되고 있다. 수정법안에서는 아동·청소년 연령 범위를 기존 16세 이하에서 18세 이하로 2년 연장함으로써 보다 많은 아동·청소년들이 법적으로 보호받고 다양한 서비스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최근 청소년 재범률이 증가하면서 이들의 재범을 예방하고 성공적으로 사회에 복귀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시스템 마련의 중요성을 각인하고 범죄 청소년들의 자아개발과 재범을 예방하는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 실행하고자 한다.

수정된 아동·청소년법은 아동·청소년의 복지, 보호 및 교정을 위하여 아래와 같은 서비스를 제공한다(Ministry of Social and Family Development[MSF], 2020).

  • • 아동학대와 방임 보호

    • - 18세 이하 학대 및 방임 아동 보호

    • - 강화된 돌봄 보호 명령을 통한 지속적이고 확실한 돌봄서비스 제공

    • - 아동 발달을 위하여 정부와 부모가 현명한 결정을 내리도록 권고

  • • 청소년들이 다시 일상으로 돌아올 수 있도록 지지·지원

    • - 비행·범죄 청소년들을 위한 교육·훈련

    • - 범죄 청소년들의 정체성 개발과 재범 예방을 위한 지원

  • • 가족의 돌봄과 육아를 돕기 위한 지역사회의 지지·지원

    • - 가족의 책임 강조, 부모를 위한 가족 프로그램 제공

아동·청소년법을 근거로 싱가포르는 강력한 아동 보호 서비스(Child Protect Services) 조직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MSF, 2021). 아동서비스네크워크는 지역사회 기반 서비스(Community-based services), 특화된 지역사회 기반 아동 보호 개입(Specialised community-based child protection intervention), 법정 아동 보호 개입(Statutory child protection intervention) 3단계로 이루어진다(그림 1 참조).

첫째, 지역사회 기반 서비스는 가족의 정서적, 경제적 스트레스 등으로 인하여 아동·청소년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우 낮은 단계의 아동 보호 개입이 이루어지는 단계로 주로 가족서비스센터(한국의 종합사회복지관)에서 서비스를 제공한다.

둘째, 특화된 지역사회 기반 아동 보호 개입은 적절하지 못한 아동 양육이나 체벌로 신고된 부모가 스스로 양육 방법 개선 의지가 있는 경우 중간 단계의 아동 보호 개입이 이루어지는 단계로 정부가 지정한 아동보호특별센터에서 서비스를 제공한다. 첫 번째 단계보다는 아동학대나 방임 정도가 높고, 서비스도 보다 전문적인 아동 보호 개입과 관리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셋째, 법정 아동 개입은 성적 학대, 부모가 매우 위험한 신체적 학대나 방임을 가한 경우 가장 높은 단계의 아동 보호 개입이 이루어지는 단계로 사회가족개발부(MSF)에 설치된 아동보호서비스국(Child Protective Service)에서 직접 서비스를 제공한다.

나. 아이 돌봄 서비스

2012년 이후 싱가포르의 종일반 유치원이 9만 곳에서 18만 곳으로 2배로 증가하였다. 2025년까지 아동 10명 중 8명은 정부가 지원하는 유치원에서 교육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싱가포르 차일드케어나 영아케어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모든 아동은 기본 보조금을 받고 있다. 특히 저소득층 가정 자녀들에게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유치원 아웃리치 프로그램(Preschool Outreach Programme)과 키드스타트(KidSTART)를 시행하고 있다(Gov.sg, 2020. 6. 26.). 유치원 아웃리치 프로그램은 저소득층 부모들에게 집에서 가까운 유치원을 소개해 주고, 입학 신청서 작성과 보조금 관련 정보를 제공해 주는 프로그램이다. 키드스타트는 저소득층 부모를 위하여 2016년에 시행되어 자녀가 태어나기 이전부터 부모들은 자녀 양육, 자녀 건강 및 영양에 대한 정보와 양육 기술을 교육받을 수 있다. 또한 자녀와 부모의 애착 관계 형성 및 아동의 학습과 발달에 필요한 교육훈련 프로그램과 놀이 그룹 활동을 제공하여 저소득층 아동들이 부모와 건강하고 성숙된 관계를 형성하고 발달 단계에서 균형 있는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발달을 이루고 안전한 가정 환경을 유지하도록 한다.

2020년 6월부터 사회적 거리 두기 단계가 3단계에서 2단계로 하향되면서 어린이집(Childcare center)이 다시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학급 사이즈를 줄이고, 센터 안에서 거리 유지, 손 씻기, 마스크 쓰기, 하루 두 번 온도 체크하기 등 정부 정책을 철저히 따르면서 돌봄서비스가 꼭 필요한 가정 우선으로 시행되고 있다. 아웃리치 프로그램과 키드스타트도 면대면 상담보다는 온라인이나 전화 상담 위주로 실시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로 경제적 위기에 처한 저소득층 가정의 부모들이 늦은 밤까지 일을 하게 되면서 야간 아이 돌봄 서비스 수요가 증가하였다. 이러한 야간 돌봄서비스 요구에 대응하여 아동 돌봄 서비스 기관들이 저소득층 아동들을 대상으로 저녁 시간에도 무료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 중이거나 이미 시행 중이다. CareNights@Agape Villiage라는 새로운 돌봄서비스센터는 6~14세 저소득층 아동들이 저녁 6시에서 10시까지 돌봄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운영하고 있다(The Straits Times, 2021. 1. 30.).

5. 저소득층 아동·청소년 심리정서 지원 서비스

가. 코로나19와 신체건강 현황

코로나19 기간 동안 봉쇄조치(Lockdown)가 되면서 아동·청소년의 건강과 관련된 여러 문제점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싱가포르의 경우 감기인플루엔자나 플루 발병률은 감소하는 추세지만, 댕기 발생률은 2019년에 비해 2020년 6월 약 2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싱가포르국립환경국(NEA: National Environment Agency), 2020). 또한 코로나19 기간 동안 병원 출입이 제한, 통제되면서 영유아 백신 정기 접종률이 크게 감소하였고, 이로 인하여 말라리아 등 전염병 사례가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부모들이 코로나19 노출에 대한 염려로 병원 방문을 꺼리면서 아동의 필수 백신 접종이 연기되고, 병원 예약과 직접 상담의 어려움으로 검진이나 치료가 미뤄지면서 또 다른 병력이나 건강 문제를 야기하는 악순환도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사회적 거리 두기로 외부 활동이 제한되면서 아동·청소년의 불균형한 식습관, 운동 부족, 전자기기 과다 사용 등 올바르지 못한 생활습관으로 과체중과 비만 문제, 불면증 같은 다양한 건강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Chia, Chang, & Roy, 2020). KK여성·아동병원(KK Women’s and Children’s Hospital)이 5세부터 14세 아동의 부모 100명을 대상으로 아동의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설문조사를 한 결과 43%의 아동이 코로나19로 활발한 신체활동을 하지 않고, 25%의 아동은 하루 약 10시간 정도 앉아 있는 생활을 하고 있으며, 20%의 아동은 주중 권장 수면 시간보다 부족한 수면을 취하고, 20%의 아동은 하루 4시간 이상 인터넷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he Straits Times, 2021. 1. 9.).

나. 코로나19와 정신건강 현황

코로나19로 인하여 많은 사람들이 우울증이나 불안감을 느끼고, 언제 끝날지 모르는 전염병에 대한 두려움으로 심리적, 정신적으로 고통을 받고 있다. 특히 아동·청소년의 경우 또래 친구들과의 관계가 줄어들고 비대면 온라인수업이 일상화되면서 정신적 스트레스가 높아지고, 가정에서 부모, 형제들과 함께 있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가족 갈등이나 사회적 고립감 등의 문제점들을 호소하고 있다. 또한 마스크 착용의 의무화, 손 소독, 사회적 거리 두기 등 새롭게 바뀐 사회정책과 분위기로 다시 일상으로 돌아갈 수 없을 수도 있다는 부정적인 인식들이 팽배해지며, 스트레스 관리와 정신건강 문제가 중요한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Chia et al., 2020; Wong, Ming, Maslow, & Gifford, 2020).

다. 건강 및 심리정서 지원 서비스

지역아동센터와 청소년복지센터들이 건강한 식습관, 활동적인 라이프스타일, 안전과 위생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하여 다양한 홍보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각 초중등학교와 병원에서도 사회적 거리 두기 실행 매뉴얼, 올바른 손 씻기와 마스크 쓰기, 백신 접종의 필요성을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교육하고 있다. KK여성·아동병원은 싱가포르 의학협회, 스포츠의학협회, 소아과학회 등 여러 의학 관련 협회들이 협력하여 아동·청소년들의 신체적 건강 증진을 위하여 개발한 통합 24시간 활동 가이드라인을 홍보하고 관련 교육을 하고 있다(The Straits Times, 2021. 1. 9.). 활동 가이드라인에는 하루에 적어도 1시간 신체활동하기, 일주일에 세 번 이상 근력 및 골격 강화 운동하기, 영양소가 풍부한 식품과 음료로 식단 구성하기 등이 포함된다.

또한 심리적 불안과 스트레스, 정신건강 문제를 호소하는 아동·청소년이 증가함에 따라 병원, 국립정신보건센터, 아동·청소년을 담당하는 정부기관 및 사회복지서비스센터에서 다양한 온라인 상담 채널을 개설하여 전화나 인터넷을 통하여 비대면 상담을 진행하고 있다(표 2 참조).

새창으로 보기
표 2.
아동·청소년을 위한 헬프라인
기관 대상자 주요 서비스
CHAT Hub(*SCAPE) 정신건강이나 진단 서비스가 필요한 경우 청소년 정신건강 정보 및 무료 정신건강 진단 서비스 제공
eC2.sg(Fei Yue 지역사회서비스) 아동·청소년 중 본인의 이야기를 들어 주는 상담이 필요한 경우 전문 상담사가 무료 상담 서비스 제공
Hear4U 코로나19로 인해 심리적 어려움을 겪는 경우 전화나 왓챕 채팅을 통한 온라인 상담 서비스 제공
Help123 디지털 이용 중독이라고 느끼는 경우 사이버 웰빙을 위한 서비스 제공
Child Guidance Clinic(CGC) 심리적, 행동적 문제가 발생한 경우 심각한 심리적 문제나 행동 문제가 발생한 경우 서비스 제공
싱가포르정신건강협회(Singapore Association for Mental Health) 정신건강 문제로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한 경우 심리상담사, 정신의학의 상담
정신보건 헬프라인(Mental Health Helpline) 정신건강 위기로 인해 전문적인 조언이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국립정신보건센터 전문 상담가들의 상담 제공

6. 나가며

이 글에서는 코로나19가 발병한 이후 싱가포르 정부가 저소득층 아동·청소년을 위하여 제공하고 있는 최신 사회서비스 동향을 살펴보았다. 특히 저소득층 아동·청소년들에게 중요한 학업 문제, 경제적 문제, 학대 예방 및 돌봄 문제, 건강 및 심리정서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어떠한 사회서비스가 제공되는지 보여 주었다. 이를 통해 한국 사회에 몇 가지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첫째, 사전예방 서비스의 중요성을 들 수 있다. 코로나19처럼 예기치 못한 팬데믹의 발생은 자칫 국민들의 불안을 초래할 수 있다. 직간접으로 위험에 노출되기 쉽고 신체적, 경제적 피해를 입는 경우가 다수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사후 서비스뿐만 아니라 사전예방 대책도 무척 중요하다. 특히 아동·청소년에게 제공하는 정신보건 상담 서비스나 학업 관련 멘토링 프로그램 서비스, 디지털에 대한 이해력을 높여 주는 사이버 웰니스 교육 등은 코로나19 시대 예기치 못한 사회변화 속에서도 아동·청소년들이 올바른 디지털 예절을 습득하고 건강한 학업 생활을 가능하게 하는 원동력이 되고 있다. 둘째, 작은 도시국가인 싱가포르는 새로운 정책이나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제기되면 정부가 비교적 신속하게 실행하여 국민들이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는 관련 기관들과 이해당사자 간의 유기적인 협업이 이루어질 때 가능하다. 기관들 사이에 이해가 상충되거나 업무가 중복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할 수 있지만, 코로나19처럼 갑작스런 국가 위기 상황에서는 기관들과의 공조 관계를 통한 신속 대응과 서비스 제공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싱가포르의 경우 보건부, 교육부, 사회가족개발부, 그리고 다른 정부기관과 사회서비스 기관들이 유기적인 상호 협력을 통해 아동·청소년들의 요구를 파악하고, 이에 따른 서비스를 적절하게 제공하려고 한다. 마지막으로 싱가포르의 사례를 통하여 저소득층 아동·청소년을 위한 사회서비스는 일회성 재난지원금보다는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사회서비스 지원 방식이 보다 효율적일 수 있다. 언제 끝날지 모르는 코로나19 시대에 일회성 복지서비스보다는 장기적인 사회서비스 전략을 수립하여 저소득층 아동·청소년의 학업과 일상생활 영위를 위해 필요한 서비스 부재나 사각지대를 막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References

1 

Channel News Asia. (2020. April. 20.). More than 4,000 students continue to go to school during COVID-19 circuit breaker period: MOE. Retrieved from https://www.channelnewsasia.com/news/singapore/more-than-4-000-students-continue-to-go-to-school-during-covid-12658184.

2 

Channel News Asia. (2020. April. 23.). COVID-19: MSF keeping ‘close watch’ on domestic abuse cases as more reach out for help over circuit breaker period. Retrieved from https://www.channelnewsasia.com/news/singapore/covid-19-msf-domestic-abuse-violence-cases-circuit-breaker-12671330?cid=h3_referral_inarticlelinks_24082018_cna.

3 

Channel News Asia. (2020. November. 7.). Cyber wellness education to help students tackle bullying, fake news. Retrieved from https://www.channelnewsasia.com/news/singapore/cyber-wellness-education-to-help-students-tackle-bullying-fake-12532784.

4 

Chia S. M., Chang S. Y. S., Roy C. S. (2020). Effects of nationwide lockdown and school closur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on children’s physical health and beyond. Singapore Medical Journal, 1-12.

5 
6 

Gov.sg. (2020. May. 1.). Financial support to help Singaporeans affected by COVID-19. Retrieved from https://www.gov.sg/article/financial-support-to-help-singaporeans-affected-by-covid-19.

7 

Gov.sg. (2020. June. 26.). How is preschool in Singapore being made more affordable and accessible?. Retrieved from https://www.gov.sg/article/how-is-preschool-in-singapore-being-made-more-affordable-and-accessible.

8 

Ministry of Education. (2020. April. 13.). Extension of school meal subsidies to students on MOE Financial Assistance Scheme during full home-based learning period. Retrieved from https://www.moe.gov.sg/news/press-releases/20200413-extension-of-school-meal-subsidies-to-students-on-moe-financial-assistance-scheme-during-full-home-based-learning-period.

9 

Ministry of Education. (2021). Practising cyber wellness. Retrieved from https://www.moe.gov.sg/programmes/cyber-wellness.

10 

Ministry of Health. (2021). Updates on COVID-19 (Coronavirus disease 2019) local situation. Retrieved from https://www.moh.gov.sg/covid-19.

11 

Ministry of Social and Family Development. (2020). Protection under Children & Young Persons Act. Retrieved from https://www.msf.gov.sg/policies/Children-and-Youth/Pages/Protection-under-Children-and-Young-Persons-Act.aspx.

12 

Ministry of Social and Family Development. (2021). Protecting the safety and well-being of children. Retrieved from https://www.msf.gov.sg/policies/Strong-and-Stable-Families/Nurturing-and-Protecting-the-Young/Child-Protection-Welfare/Pages/Protecting-Children.aspx.

13 

Ministry of Social and Family Development. (2021). COVID-19 Recovery Grant. Retrieved from https://www.msf.gov.sg/assistance/Pages/covid-recovery-grant.aspx#processingtime.

14 

Mohan M. (2020. April. 21.). Circuit breaker extended until Jun 1 as Singapore aims to bring down community cases ‘decisively’: PM Lee. Channel News Asia.

15 

National Council of Social Service. (2020). List of Helplines. Retrieved from https://www.ncss.gov.sg/NCSS/media/NCSS-Documents-and-Forms/NCSS%20Internal%20Documents/LIST-OF-HELPLINES.pdf.

16 

National Environment Agency. (2020. June. 3.). Number of weekly dengue cases expected to exceed the historical high of 891 unless urgent collective community action is taken. Retrieved from https://www.nea.gov.sg/media/news/news/index/number-of-weekly-dengue-cases-expected-to-exceed-the-historical-high-of-891-unless-urgent-collective-community-action-is-taken.

17 

Singapore Police Force. (2020. May. 14.). Enhancing Police’s response to combat family violence. Retrieved from https://www.police.gov.sg/Media-Room/News/20200514_OTHERS_Enhancing_Police_Response_To_Combat_Family_Violence. Public Affairs Department.

18 

The Straits Times. (2021. January. 9.). Singapore launches 24-hour activity guideline to improve the health of children and teens. Retrieved from https://www.straitstimes.com/singapore/singapore-launches-24-hour-activity-guideline-to-improve-the-health-of-children-and-youths.

19 

The Straits Times. (2021. January. 30.). Covid-19 drives demand for night-time childcare in Singapore. Retrieved from https://www.straitstimes.com/life/covid-19-drives-demand-for-night-time-childcare.

20 

Wong C. A., Ming D., Maslow G., Gifford E. J. (2020). Mitigating the impacts of the COVID-19 pandemic response on at-risk children. Pediatrics, 146(1), e202009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