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의 인구고령화와 노인빈곤

The Population Ageing and Pensioner Poverty in the UK

초록

이 글은 영국의 인구고령화와 노인빈곤 수준을 개괄적으로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영국은 한국에 비해 고령화 정도가 높지만, 여타 유럽 복지국가들에 비해 출산율과 유소년인구 비율이 높아 상대적으로 점진적인 고령화가 진행 중이다. 영국은 지난 25년간 강력한 노인빈곤 완화 정책을 펼침으로써 노인빈곤율은 크게 감소하였으나, 높은 고령인구 비중과 노인에 대한 소득보장 지출의 지속적 증가는 공공재정에 대한 강한 압박으로 작용하고 있다. 현재 영국의 노인 집단은 인구 집단 내에서 가장 빈곤율이 낮지만 최근의 복지 긴축과 맞물려 노인빈곤율이 증가하는 추세이므로 향후 노인빈곤 추이와 이에 대응하는 사회 정책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가 요구된다.

1. 들어가며

영국을 포함한 대부분의 서구 복지국가들은 한국에 비해 인구고령화 정도가 높지만 연금제도의 성숙으로 노인들의 공적이전소득이 높고 노인빈곤율은 낮다(OECD, 2019). 국가마다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 출산율도 한국보다 높은 수준을 안정적으로 유지함으로써 한국에 비해 완만한 속도로 고령화를 겪고 있다. 그렇다고 해서 서구 복지국가가 고령화로 인한 문제에서 자유로운 것은 아니다. 높은 고령인구 비율은 공적연금 지출 부담으로 이어지며, 특히 영국과 같이 조세에 의한 국가보건서비스(NHS: National Health Service)를 갖춘 경우 의료비에 대한 과중한 조세 부담으로 연결되므로 고령화 이슈는 항상 중요한 사회 정책 안건이다(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2018).

이 글에서는 영국의 인구고령화가 어떤 수준인지 비교적 맥락에서 검토한 후 노인빈곤 현황을 살펴보고자 한다.

2. 영국의 인구고령화

현재 영국 인구의 고령화 정도는 한국보다 높은 수준이나, 장기간 유럽연합(EU) 회원국 평균 이상의 출산율을 유지함에 따라 영국의 고령화 진행은 한국에 비해 훨씬 점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OECD, 2019). 이에 따라 영국은 한국의 인구 감소가 예상되는 시기에도 계속된 인구 증가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2018).

가. 영국의 고령화와 저출산 현황

영국의 고령화와 저출산 수준을 가늠해 보려면 한국 및 영국 주변 국가들과의 비교적 맥락에서 살펴보는 것이 도움이 된다. 먼저 한국과의 비교적 맥락에서 살펴보면, 영국의 2018년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총인구의 18%로 한국의 14.3%에 비해 높은 수준이나 고령화 진행 속도는 한국에 비해서는 완만하다(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2019c). 한국은 2018년에 처음으로 고령인구 비율이 14%를 초과함으로써 ‘고령사회(Aged society,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총인구의 14% 이상인 상태)’에 진입하였으나 영국은 1976년 고령사회에 진입한 후 40여 년이 지난 현재에도 고령인구가 18% 수준에 머물고 있다. 특히 영국의 고령인구는 2026년 20%, 2036년 23.9%, 2046년 24.7%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는데, 한국의 고령인구 비율이 2025년 20%, 2036년 30%, 2051년 40%로 급속하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는 것과 달리 고령화가 매우 점진적으로 진행되고 있다(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2017; 통계청, 2019)(표 1).

새창으로 보기
표 1.
영국의 인구구성 분포 변화(1976~2046년 전망)
0~15세(%) 16~64세(%) 65세 이상(%) 영국 총인구(명)
1976년 24.5 61.2 14.2 56,216,121
1986년 20.5 64.1 15.4 56,683,835
1996년 20.7 63.5 15.9 58,164,374
2006년 19.2 64.9 15.9 60,827,067
2016년 18.9 63.1 18.0 65,648,054
2026년 18.8 60.7 20.5 69,843,515
2036년 18.0 58.2 23.9 73,360,907
2046년 17.7 57.7 24.7 76,342,235

자료: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2017). Overview of the UK Population: July 2017. Newport: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영국과 한국의 이 같은 고령화 속도 차이는 두 국가 간 확연한 출산율 차이와 관련이 있다. 한국은 1960년대에 시작한 산아 제한 정책으로 1983년 합계출산율이 인구대체율 2.1명 이하인 2.06으로 처음 떨어진 이후 출산율 감소가 이어지다 2000년대 이후 초저출산을 경험하며 2018년에는 합계출산율 0.98의 저출산을 기록한 반면, 영국은 지난 30여 년 이상 1.8 수준의 합계출산율을 안정적으로 유지해 왔다(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2019a; 서상목 외, 2016)(그림 1). 특히 영국은 2000년대 이후 적극적인 가족 정책과 이민 정책을 도입함에 따라 2009년 이후 합계출산율이 인구대체율에 근접한 수준으로 상승하여 2012년에는 1.92를 기록하기도 했다(이삼식, 최효진, 2014;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2019e).

새창으로 보기
그림 1.
영국의 합계출산율 변화 추이(1979~2018년)
gssr-14-67-f001.tif

자료: 1)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2019e). Vital statistics in the UK: births, deaths and marriages. Newport: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2) 통계청. (2020). 2019년 출생통계(확정), 국가승인통계 제10103호 출생통계.

영국의 출산율은 유럽연합 회원국 평균 합계출산율보다 높은 수준으로, 프랑스보다는 낮지만 독일, 이탈리아 등 여타 유럽연합 국가들보다는 높다(표 2).

새창으로 보기
표 2.
영국과 주요 외국의 합계출산율 비교(국가별 합계출산율, 2010~2017년)
(단위: %)
연도 영국 호주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유럽연합(28개국)
2010 1.92 1.95 2.03 1.39 1.46 1.62
2011 1.91 1.92 2.01 1.39 1.44 1.59
2012 1.92 1.93 2.01 1.41 1.43 1.59
2013 1.83 1.88 1.99 1.42 1.39 1.55
2014 1.82 1.80 2.00 1.47 1.37 1.58
2015 1.80 1.80 1.96 1.50 1.35 1.58
2016 1.79 1.79 1.93 1.60 1.34 1.60
2017 1.74 1.74 1.90 1.57 1.32 1.59

자료: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2019a). Births in England and Wales: 2018. Newport: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그 결과, 영국은 2005년 이후 0.6~0.8% 사이의 안정된 인구성장률(전년 대비 인구변화율)을 보이고 있으며 향후에도 인구 증가 속도가 완만할 것으로 예측된다. 2018~2028년 사이 인구의 4.5%(300만 명)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 기간의 연평균 인구성장률은 0.4%로 전망된다.1) 이로써 2018년 6640만 명인 인구는 2043년 7240만 명으로 증가할 전망이다(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2019d)(표 3). 이는 한국의 인구성장률이 2017년 0.28%, 2019년 0.20%에서 2030년이면 –0.03%로 인구 감소가 본격화할 것으로 추정되는 것과 대조된다(통계청, 2019).2)

새창으로 보기
표 3.
영국의 인구 전망
(단위: 백만 명)
2018년 2023년 2028년 2033년 2038년 2043년
영국(UK) 66.4 68.1 69.4 70.5 71.4 72.4
잉글랜드 56 57.6 58.8 59.8 60.8 61.7
웨일스 3.1 3.2 3.2 3.2 3.2 3.3
스코틀랜드 5.4 5.5 5.5 5.6 5.6 5.6
북아일랜드 1.9 1.9 2 2 2 2

자료: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2019d). Statistical Bulletin: National population projections: 2018-based. Newport: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이처럼 영국은 인구대체율에는 못 미치지만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출산율을 장기간 유지함에 따라 점진적 고령화와 함께 계속된 인구 증가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령인구 증가는 영국 내에서도 중요한 정책 어젠다로 자리 잡고 있다.

나. 영국 인구고령화의 거시경제에 대한 함의

거시경제적 관점에서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고령인구는 영국 사회에 중요한 시사점을 준다. 이는 영국의 총 공공 지출에서 노인에 대한 지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기 때문이다. 영국에서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지급되는 국가기초연금(State Pension)은 영국의 사회보장 지출 중 단일 항목으로는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할 뿐만 아니라[2018년 국내총생산(GDP) 대비 4.6%], 영국 내 총 복지 지출의 40% 이상을 차지한다(OBR, 2018;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2019b).3) 또한 교육을 제외한 의료, 장기요양, 복지서비스 등 주요 공공서비스의 혜택도 65세 이상 고령 노인에게 집중되어 있다(OBR, 2017)(그림 2). 따라서 계속되는 고령인구 증가는 영국의 국가 재정을 압박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다(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2018).

새창으로 보기
그림 2.
연령별 조세 납부와 사회서비스 및 복지 수급 개요 도식
gssr-14-67-f002.tif

자료: OBR. (2017). Fiscal sustainability report – January 2017 (pp. 1–100). London: OBR(Office for Budget Responsibility).

3. 영국의 노인빈곤 현황

영국의 노인빈곤은 보수당 집권하에 있던 1990년대 후반까지 전체 인구 빈곤에 비해 매우 높은 수준이었다. 이에 1997년에 집권한 노동당 정부에서는 노인빈곤 완화와 아동빈곤 척결을 사회 정책의 최우선 과제로 설정하고 각종 소득보장 정책을 강화한 결과 노인빈곤 완화에 눈에 띄는 성과를 거두었다(Goodman, Myck & Shephard, 2003; JRF, 2020). 이 장에서는 영국 노인빈곤 수준에 대한 보다 상세한 내용을 살펴보기 전에 먼저 영국 노인빈곤 통계의 주요 특징을 알아보도록 한다.

가. 영국 노인빈곤 통계의 주요 특징

영국의 노인빈곤 통계는 노동연금부(DWP: Department of Work and Pensions)에서 실시하는 가족자원조사(FRS: Family Resources Survey)를 기반으로 하는 평균소득 이하 가구(HBAI: Households Below Average Income) 자료를 통해 제공된다. 이 자료는 세 가지 특징이 있다.

첫째, 평균소득 이하 가구(HBAI)에서 사용하는 빈곤 기준은 유럽연합 통계(Eurostat)와 대다수 유럽 국가에서 상대적 빈곤을 측정할 때 사용하는 ‘중위소득 60% 미만’이다(Department for Work and Pensions, 2019c).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나 유엔(UN)에서 사용하는 상대적 빈곤 기준인 ‘중위소득 50% 미만’보다 높은 수준으로, 상대적 빈곤을 더욱 포괄적으로 규정한다고 볼 수 있다(UNECE, 2017). 또한 노인 소득에 대한 통계는 노동연금부의 노인 소득(PI: Pensioners’ Incomes) 자료를 통해 제공된다.

둘째, 영국 노인빈곤 통계의 특징 중 하나는 ‘노인’을 ‘연금 수급자(pensioner)’라 지칭한다는 것이다. 이는 통계상 노인을 연령으로 구분하지 않고 국가기초연금 수급 연령인 자로 정의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2017/18년 65세 이상 전체 인구의 97%가 국가기초연금 수급자이다. 65세 미만의 연금 수급자가 일부 포함되어 있지만 소수에 불과하며 기초연금 수급 연령 또한 점진적으로 높아지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두 명칭이 혼용되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Department for Work and Pensions, 2019b).4)

셋째, 영국의 빈곤통계에서는 주거비 지출 전(BHC: Before Housing Cost)과 주거비 지출 후(AHC: After Housing Cost)에 따른 빈곤율을 구분한다. 주거비에는 임대료(주거급여를 수급할 경우 주거급여 총액), 각종 상하수도세, 주택융자 이자, 주택보험료, 대지세와 서비스비용(ground rents and service charges)5)이 포함된다(Department for Work and Pensions, 2019c). 주거비 지출 후 빈곤율은 런던과 같이 주거비가 상대적으로 비싼 지역의 가구 소득이 과대평가되지 않도록 해 준다. 영국 노인 집단에서는 주거비 지출 전과 후의 빈곤율 차이가 특히 큰 편이기 때문에 이를 잘 구분하는 것이 중요하다.

나. 영국의 노인빈곤 현황

현재 영국의 노인빈곤율은 25년 전에 비해 거의 절반에 가깝게 하락하는 성과를 이루었다. 1990년대 중반 25~27% 수준이었던 노인빈곤율(중위소득 60% 미만 기준)은 2000년대 이후 꾸준히 감소하여 2011~2013년에는 주거비 지출 후 빈곤율이 13%까지 하락한 것이다. 노인빈곤율이 계속 감소함에 따라 전체 인구 빈곤율과의 격차가 줄어들었으며, 2000년대 후반부터는 노인빈곤율이 전체 인구 빈곤율에 근접하여 2011/12년과 2014/15년에는 전체 인구 빈곤율과 같아지기도 했다.

이 같은 빈곤율 감소는 1997년에 집권한 노동당 정부가 실시한 적극적인 연금급여 개선 정책, 민간연금 수급 노인 수의 증가, 노인의 주택 점유율 증가 등에 따른 결과로 분석된다(Goodman et al., 2003; Price, 2006; JRF 2020). 노동당 정부는 1999년 4월 최저소득보장(Minimum Income Guarantee)을 도입하여 연금 수급권이 없는 노인에 대한 소득부조제도를 도입하였다. 이는 2003년 연금 크레딧(Pension Credit)으로 명칭이 변경되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으며, 소득과 저축이 일정 수준에 못 미치는 노인에 대한 소득보장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2011년에는 노인 연금 가치 보전을 위한 삼중보안(Triple Lock)제도를 도입함으로써 연금급여의 현재 가치 유지를 보장하였다(Thurley & Mclnnes, 2020).6) 또한, 민간연금을 수급하는 노인이 증가하면서 노인들의 은퇴 후 소득이 증가하였고, 민간 임대료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가운데 노인들의 주택 점유율이 증가하면서 노인들의 주거비 지출 감소에 따른 빈곤 완화 효과도 있었던 것으로 분석된다(Goodman et al., 2003; Price, 2006; JRF 2020). 그러나 최근 노인빈곤율은 다시 증가하는 추세로, 주거비 지출 후 13%까지 하락하였던 노인빈곤 수준은 2017/18년 16%로 상승한 바 있다. 이에 대해서는 추후 더욱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7)

새창으로 보기
그림 3.
영국의 노인빈곤율 추이(1994/95-2017/18)
gssr-14-67-f003.tif

주: 2002/03년 이전 자료에서는 북아일랜드 자료를 포함하지 않음.

자료: Department for Work and Pensions. (2019e). National Statistics: Households Below Average Income: 1994/95 to 2017/18 (https://www.gov.uk/government/statistics/households-below-average-income-199495-to-201718).

노인 집단 내 주택 점유 상태에 따른 빈곤율 차이는 매우 두드러진다. 영국 전체 인구 빈곤율의 경우, 주거비 지출 전보다 주거비 지출 후 빈곤율이 더 높게 나타나는 반면, 노인의 경우 주거비 지출 후에 오히려 빈곤율이 감소한다. 영국 노인은 전체 인구 집단 중에서 자가 점유율이 가장 높은데, 이는 곧 주거비 지출이 타 인구 집단에 비해 최소 수준임을 의미한다(Department for Work and Pensions, 2019a).8) 2017/18년의 경우, 영국 노인의 80%가 자가 점유 상태인데, 이 중 주택융자(mortgage)가 남아 있는 노인은 5%에 불과하고, 나머지 74%는 온전한 자가 점유상태이다(표 4). 근로연령인구는 20%가량만이 융자 없는 자가 점유 상태인 것과 대조적이다(Department for Work and Pensions, 2019a).

이에 따라 노인빈곤율은 주택 점유 상태에 따라 주거비 지출 전후로 큰 차이를 보인다. 주거비 지출 전 노인 평균 빈곤율은 18%이며, 무대출 자가 점유 노인의 빈곤율이 19%로 가장 높고, 민간주택 세입자(18%), 주택융자 자가 점유(15%), 공공주택(social housing) 세입자(14%) 순으로 나타난다(표 4). 반면, 주거비 지출 후에는 자가 점유 노인의 빈곤율이 무대출인 경우 13%, 융자가 남아 있는 경우 14%로 주거비 지출 전 빈곤율의 3분의 2 수준으로 낮아지지만, 민간주택 세입자와 공공주택 세입자의 빈곤율은 2배가량 증가하여 각각 35%, 29%이다. 상대적으로 주거비 지출이 많은 민간주택 세입자의 주거비 지출 후 빈곤율은 자가 점유 노인의 2.7배 수준으로, 주택 점유 상태에 따른 빈곤율 격차가 매우 높다.

새창으로 보기
표 4.
영국 노인의 주택 점유별 비율과 빈곤율(2017/18년)
주택 점유 상태 노인 수(백만 명) 비율(%) 빈곤율 (%)
주거비 지출 전 주거비 지출 후
자가 점유 9.5 80 19 13
무대출 자가 점유 8.5 74 19 13
주택융자 자가 점유 0.6 5 15 14
공공주택 세입자 1.8 15 14 29
민간주택 세입자 0.7 6 18 35
전체 노인 11.9 100 18 16

주: 각 수치는 소수점 이하를 반올림하여 제시한 수치로, 세부 수치의 합이 총합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

자료: Department for Work and Pensions. (2019e). National Statistics: Households Below Average Income: 1994/95 to 2017/18 (https://www.gov.uk/government/statistics/households-below-average-income-199495-to-201718).

공공 및 민간주택 임차 노인의 빈곤율이 이처럼 높은 이유는 비록 공공주택의 임대료가 민간주택보다는 낮지만 그 또한 지난 20년간 지속적으로 상승하였으며 민간주택 세입자를 위한 주거급여 인상률이 임대료 인상률 수준에 못 미친다는 점과 관련이 있다(JRF, 2020). 또한, 자가 점유 노인의 경우 주거비 지출은 적지만 영국의 주택은 대부분 노후하여 주택 수리와 난방에 드는 비용이 높음에 따라 많은 노인들이 이러한 비용을 지불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Wallace, Rhodes & Roth, 2018).

이처럼 영국의 노인빈곤율은 2000년대 이후 크게 완화되었지만 공공 및 민간주택 임차 노인의 빈곤율은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또한, 최근 재상승 추세를 보이는 노인빈곤율의 증가 요인에 대한 분석과 향후 추이에 관심이 쏠린다.

4. 나가며

이 글에서는 영국의 인구고령화 수준을 검토한 후 노인빈곤율 현황을 개괄적으로 살펴보았다. 영국은 유럽 복지국가들 중 출산율과 유소년인구 비율이 높아 향후에도 지속적인 인구 증가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는 점에서 고령화 진행에 있어서는 여타 복지국가들에 비해 유리한 측면이 있다(OECD, 2019;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2019d). 또한 영국은 2000년대 이후 저소득 노인에 대한 다수의 소득보장 강화 정책을 도입함으로써 노인빈곤 문제를 크게 개선하였고, 그 결과 현재 영국에서 노인은 전체 인구 집단 중 가장 빈곤율이 낮은 집단을 형성하고 있다(Bourquin, Joyce & Keiller, 2020). 특히 빈곤율이 25년 전보다 절반 가까이 감소한 것은 괄목할 만한 성취이다. 그러나 노인에 대한 국가기초연금과 국가보건의료서비스(NHS)에 대한 재정 부담이 지속적으로 증가한다는 것은 영국에서도 고령화가 정치적, 경제적 부담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음을 의미한다.

최근에 들어서는 노인에 대한 급여 증가가 정체되고 노인빈곤율 또한 다시 상승하는 추세로, 노인빈곤이 사회문제로 재부상할 가능성이 높다. 특히, 공공 및 민간주택 임차 노인의 빈곤이 심각한 수준인 가운데 공공주택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등 노인빈곤이 악화될 여지가 충분하기 때문이다. 또한 급여 신청 과정이 점점 복잡하고 까다로워짐에 따라 급여에 대한 노인들의 실질적 접근성이 떨어지는 등 영국 또한 복지 사각지대 문제에서 자유롭지 못한 상태이다(Age UK, 2016; 임완섭 외., 2019). 그럼에도 불구하고 노인 집단이 영국 인구 집단 중 내에서 가장 ‘덜’ 빈곤한 집단인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최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전반적인 경제가 악화되면서 모든 것이 불확실한 상황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향후 노인빈곤 정책도 어떻게 변화할지, 그에 따라 노인빈곤 수준은 어떻게 양상을 달리할지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Notes

1)

2018~2040년 영국의 인구성장 전망치(14%)는 유럽연합 회원국 평균(2%)보다 훨씬 높은 수준으로, 유럽연합 내 가장 큰 4개국(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영국) 중에서도 가장 높은 수준이다(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2019d).

2)

통계청. (2019). ‘장래인구추계 2017-2067년’ 중 중위추계 결과.

3)

이 같은 지출 비중은 유럽연합 평균과 비교하면 그리 높은 수준은 아니다. 2015년 EU 28개국의 평균 사회보장 지출은 GDP 대비 26.0%였으며, 그중 연금 지출 평균이 그 절반에 조금 못 미치는 12.8%였다. 영국의 경우 GDP 대비 11.4%로 평균보다 낮은 수준이었다(Eurostat, 2018; Eurostat 2019).

4)

구체적으로 영국의 기초연금 수급 연령은 남성은 65세, 여성의 경우 1950년 4월 5일 혹은 그 이전 출생은 60세이고, 그 이후 출생은 2010년 4월에서 2018년 11월에 걸쳐 65세까지 점진적으로 높아졌다. 이후 2018년 12월부터 성별에 관계없이 기초연금 수급 연령이 점진적으로 높아져 2020년 10월에는 66세가 될 예정이다. 이후 2026~2028년의 기간 동안 점진적으로 상향되어 67세로 높아진다. 이에 따라 가장 최신 자료인 2017/18 재정연도 조사 당시 국가연금 수급 연령은 남성 65세, 여성 63세 9개월이었으며, 2017/18 재정연도 말에는 여성 64세 6개월이었다. 이에 따라 영국의 노인빈곤 통계에서는 65세 이하 인구가 일부 포함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국가기초연금 수급 연령 이상인 독신자를 ‘독신 연금 수급자(single pensioner)’로, 혼인 혹은 동거 상태인 커플 중 한 사람이라도 연금 수급 연령 이상일 경우 ’커플 연금 수급자(couple pensioner)’로 정의하고 있다(Department for Work and Pensions, 2019c).

5)

영국에서는 플랫(Flat, 한국식 아파트 혹은 빌라)의 경우 플랫 소유와 대지 소유가 별도로 이루어지기도 하는데, 플랫을 구입하더라도 대지 소유주가 별도로 있다면 대지세를 지불해야 한다. 또한 건물 관리에 대한 서비스 비용도 별도로 발생하게 된다.

6)

2011년 4월 영국의 연합정부하에 도입된 삼중보안제도는 국가기초연금을 매년 소득인상률에 따라 연동하던 것을 소득인상률, 소비자물가, 2.5% 중 가장 높은 수준에 맞춰 연동함으로써 연금급여의 현재 가치를 최대한 보전할 수 있도록 한 제도적 장치이다(Thurley & Mclnnes, 2020).

7)

노인에 대한 급여 지출(국가기초연금, 연금 크레딧, 겨울 난방비 지원)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다 2015/16년 이후부터 현재까지 정체된 상태이다. 반면, 노인 외 집단에 대한 총 급여 지출은 2012/13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해 왔다(JRF, 2020).

8)

2019년 영국의 사회계량위원회(SMC: Social Metrics Commission)에서 제안한 새로운 빈곤선(소득 기준에 유동자산을 더하고 불가피한 비용을 제외하며, 중위소득 55% 미만을 기준으로 함)에 따르면 전체 인구 빈곤율은 22%인 데 반해 노인빈곤은 그 절반에 이르는 11.4%로 낮게 나타나기도 하였다(SMC, 2019).

References

1 

서상목, 조남훈, 최순, 서문희, 전광희, 이삼식, 윤홍식. (2016). 한국 인구정책 50년: 출산억제에서 출산장려로. 세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부. pp. 1-396.

2 

이삼식, 최효진. (2014). 영국의 인구 변동과 정책 동향. 보건복지포럼, 78-88, 국제 보건복지 정책 동향1.

3 

임완섭, 정은희, 이아영, 정용문, 윤여선, 신봉하, 최은혜. (2019). 사회보장 분야 사각지대 축소와 부적정 지출 관리 방안 연구-노인에 대한 공공부조 제도를 중심으로. 세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4 

통계청. (2020). 2019년 출생통계(확정), 국가승인통계 제10103호 출생통계. 대전: 통계청.

5 

통계청. (2019). 장래인구추계 2017-2067.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009에서 2020년 7월 27일 인출. 대전: 통계청.

6 

Age UK. (2016). How we can end pensioner poverty. London: Age UK.

7 

Bourquin P., Joyce R., Keiller A. N. (2020). Living standards, poverty and inequality in the UK: 2020. London: The Institute for Fiscal Studies. pp. 1-43.

8 

Department for Work and Pensions. (2019a). Households Below Average Income: An analysis of the UK income distribution: 1994/95-2017/18. London: Department for Work and Pensions. pp. 1-14.

9 

Department for Work and Pensions. (2019b). Pensioners' Incomes Series: An analysis of trends in Pensioner Incomes: 1994/95-2017/18. London: Department for Work and Pensions.

10 

Department for Work and Pensions. (2019c). Pensioners’ Incomes Series United Kingdom, 2017/18: Background information and methodology. London: Department of Work and Pensions.

11 

Department for Work and Pensions. (2019d). National Statistics: Households Below Average Income: 1994/95 to 2017/18. London: Department for Work and Pensions.

12 

Goodman A., Myck M., Shephard A. (2003). Sharing the Nation's Prosperity? Pensioner Poverty in Britain. London: IFS (The Institute for Fiscal Studies). pp. 1-54.

13 

Eurostat. (2018). Social protection statistics – pension expenditure and pension beneficiaries: Expenditure on pensions, 2015 (online data code: spr_exp_pens). Data extracted in October 2018.

14 

Eurostat. (2019). Social protection expenditure, 2016 (% of GDP) (online data code: spr_exp_sum). Data extracted in November 2019.

15 

JRF. (2020). UK Poverrty 2019/20. York: JRF (Joseph Rowntree Foundation). pp. 1-98.

16 

OBR. (2017). Fiscal sustainability report – January 2017, 1-100. London: OBR(Office for Budget Responsibility).

17 

OBR. (2018). An OBR guide to welfare spending March 2018. London: OBR(Office for Budget Responsibility). pp. 1-29.

18 

OECD. (2019). Pensions at a Glance 2019: OECD and G20 Indicators. Paris: OECD Publishing. .

19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2017). Overview of the UK population: July 2017. Newport: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pp. 1-11.

20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2018). Living longer: how our population is changing and why it matters. Newport: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pp. 1-53.

21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2019a). Births in England and Wales: 2018. Newport: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22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2019b). Living longer and old-age dependency – what does the future hold?. Newport: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pp. 1-14.

23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2019c). Living longer: caring in later working life. Newport: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pp. 1-11.

24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2019d). Statistical Bulletin: National population projections: 2018-based. Newport: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25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2019e). Vital statistics in the UK: births, deaths and marriages. Newport: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26 

Price D. (2006). THE POVERTY OF OLDER PEOPLE IN THE UK. Journal of Social Work Practice, 20(3), 251-266.

27 

SMC. (2019). A new measure of poverty for the UK: The final report of the Social Metrics Commission. London: SMC (Social Metric Commission). pp. 1-147.

28 

Thurley D., Mclnnes Rod (2020). State Pension triple lock, Briefing Paper Number CBP-07812. 25 June 2020. London: House of Commons Library.

29 

UNECE. (2017). Guide on Poverty Measurement. New York and Geneva: United Nations.

30 

Wallace A., Rhodes D., Roth F. (2018). Home-owners and poverty. York: Joseph Rowntree Foundation.

31 

한국통계청 국가통계포털. http://kosis.kr/index/index.do.

32 

영국통계청. https://www.ons.gov.uk.

33 

영국 노동연금부 (Department for Work and Pensions) 평균소득이하가구(Households Below Average Income) 통계. https://www.gov.uk/government/statistics/households-below-average-income-199495-to-201718.